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
무라카미 하루키.가와카미 미에코 지음, 홍은주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예전만큼 그렇게 '무라카미 하루키'를 좋아하지 않지만, 이 책을 읽는 동안은 즐거웠다. 38년간 꾸준히 글을 써온 작가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을 듣는다는 건, 언제까지고 읽고 쓰는걸 계속하고 싶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으니까. 게다가 하루키의 의도가 독자에게 어떻게 전해졌다한들, 하루키 본인은 '결국은 선한 이야기'를 쓰고 싶은 사람이라고 얘기한다. 해피엔딩이 아니어도 어쨌든 '계속 살아나가자'하는 이야기를 쓰고 싶고, 선한 이야기를 쓰고 싶다고. 그래야만 한다고. 물론 선하다는 것은 각자의 판단 기준에 따라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다가갈지 알 수 없지만, 나의 선함이 너의 선함이나 모두의 선함으로 연결되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한들 모두를 오래 속이는 것은 불가하다고 얘기한다. 


또한 문체와 문장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얘기한다. 하루키는 레이먼드 챈들러의 문장을 예로 들어 독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문장을 쓰고자 계속 노력한다는데, 나 역시 글에 있어서 문장과 문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바, 크게 동의하며 읽었다. 아울러, 하루키가 늘상 인지하고 가는것처럼, 나 역시 챈들러의 '잠 못 이루는 밤은 뚱뚱한 우편배달부만큼 드물다'는 문장을 계속 저기 안쪽에 넣어두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결국 내용은 누가 쓰든 크게 달라질 바 없지만, 문체가 그 책이 더 재미있는 책이 될 수 있는가를 결정한다는 하루키의 말은 틀리지 않다.


하루키가 매일 정해진 시간에 꼬박꼬박 글을 쓰고 달리기 역시 꼬박꼬박 하는 것은, 하루키의 팬이 아니어도 많은 사람들이 다 아는 사실이다. 하루키는 일기를 쓰지는 않지만 그런 매일의 기록을 숫자로 남기는 것은 끊임없이 한다고 한다. 이를테면 오늘 달리기를 얼마나 했는지의 수치에 관한 기록.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보여준다는 하루키의 신념이다. 하루키는 자신이 '소설에 대해서는 근면한 편'이라고 하는데, 소설가가 소설에 대해 근면한 편이라는 것은 얼마나 마땅하며 근사한가. 이런 하루키의 생각을 읽는 것이 이 책의 기쁨이었다.



어쩔 수 없이 나도 하루키의 영향을 어느 부분 받았거나 받게될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어쩌면 그건 하루키의 영향이라기 보다는 나의 성향 탓이겠지만, 매일매일 꼬박꼬박 글을 쓰고 읽고 앞으로도 계속 그걸 놓지않으려는 자세라고 해야할까. 그런 삶의 태도들. 그건 내가 좋아서 하는 것이겠지만, 그러나 나 역시 하루키가 그런 삶을 살고 있다는 걸 아는만큼, 어떻게든 내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지금은 회사를 다니고 있기 때문에 고작 이정도 뿐이지만, 나는 나중에도 일정시간을 책을 읽고 글을 쓰는데에 내어주고 싶다. 그것이 나의 가장 큰 기쁨이니까. 이를테면 내가 회사를 그만두고 하루를 온전히 내게 쓸 시간이 지금보다 더 늘어났을때, 과연 그런 날이 올지는 모르겠지만 더이상 돈벌이에 연연하지 않아도 좋을 때, 그럴 때에도 나는 하루중 어느만큼의 시간을 뚝 떼어내 글을 쓰는데 들이고 싶다. 내가 혼자 산다면 혼자 사는대로, 혹은 동거인이 있다면 있는대로, 그 동거인이 단순히 한 공간을 함께 이용하는 동거인이라거나, 아니면 나랑 함께 한침대에서 잠드는 이라해도, 그 성별이 남자이든 여자든 그러니까 어떤 형태로 존재한다고 해도, 내가 글을 쓰는 공간으로 들어가 어느정도의 시간을 보낸다는 것을, 내 동거인도 너무나 당연한듯이 받아들여주기를 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함께 쓰는 방이 있어야 할 것이고, 따로 쓰는 방도 있어야 할터이니, 큰 집에 살아야 한다. 역시 돈을 벌어야........ 돈이 최고되는 것이다.



이 책은 '무라카미 하루키를' '가와카미 미에코'가 인터뷰한 기록이다. 가와카미 미에코는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제목은 들어본 책, 《젖과 알》의 작가이다. 《젖과 알》은 출간 당시 독특한 문체로 유명했다 하고 하루키 역시도 그 문체를 극찬하는데, 정작 가와카미 미에코는 그렇게 쓰지 않기로 했다한다. 자신이 '여성'이기 때문에, '여자'작가이기 때문에 문체만 가지고 이러쿵저러쿵 말이 많았다는 것. 인터뷰중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고 칭하던데, 페미니즘을 알고 있는 여성 작가가 인터뷰어가 되어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은 언젠가 한번은 꼭 거쳐야 하는 게 아니었나 생각하던 바, 즐거이 읽을 수 있었다. 게다가 고대하던 질문 역시 나온다. 가와카미 미에코는 하루키를 인터뷰 하기 위해 그의 책들을 한 번 더 읽기도 하고,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이데아'를 파악하기 위해 플라톤을 읽기도 하며, 이 모든 것들을 기억하고 기록해 인터뷰에 임한다. 정말이지 성실한 인터뷰어가 아닐 수 없다. 물론 하루키에 대한 선망을 가진 터라 또한 인터뷰어와 인터뷰이로 만난 거라 하루키에 대해 등을 질 순 없는 자세를 베이스에 두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네 작품에서 여성들은 보조적이다, 왜 그렇게 그리느냐'라고 묻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지점이었다. 가와카미 미에코는 자신의 친구들도 하루키의 작품을 읽고 그 점에 의문을 품었다 했고, 나 역시 여성을-특히나 소녀를-그런 식으로 다루는가에 대해 불만이 있던 터다.


하루키의 대답은 이 부분에서 실망스러웠다. 자신은 딱히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는 것. 자기는 남자든 여자든 그런것에 크게 개의치 않고 쓴다는 거다. 이 부분에 있어서 하루키가 거짓말을 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그 말은 그에게 진실이겠고 또 진심이겠지만, 그렇기 때문에 여성문제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구나, 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냥 관심이 없어. 가와카미 미에코가 자신이 여자 작가이기 때문에 받는 부당함에 대해 토로하지만 하루키는 '그런가요?' 정도로 응시하는거다. 아 그래? 그렇구나, 그건 그대로 힘들겠구나, 하고 넘어간달까. 이 인터뷰를 하던 당시에 하루키의 나이는 68세였고 1949년생이다. 그래, 49년에 태어난 일본 남자에게 뭐 크게 여성문제에 대해 기대할게 있을까, 앞으로 딱히 바뀌는 것도 없겠지, 하게 되지만, 그래도 이 긴 인터뷰를 거치며 여성작가로부터 그런 생각, 그런 말을 들었으니, 그래도 아예 듣기 전으로 돌아갈 순 없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오래해왔다는 것은 반드시 선은 아니겠지만, 그토록 오랜 시간 글을 써오면서 굳은 독자층을 형성했다는 것은, 그의 이야기가 어느 지점에서 신뢰를 주고 있다는 뜻일테다. 하루키가 지향하는 그 결국은 선에 대한 이야기를 독자들도 알아챈걸지도 모르겠다. 사실 나는 그의 유머가 좋아서 그의 책을 읽곤 했지만, 돌이켜보건대, 그의 이야기가 악하거나 한심했다면 진작에 내치지 않았을까.


하루키는 이야기에 힘이 있다고 믿고, 이야기가 오래 버텨온만큼 앞으로도 이야기가 오래 남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나 역시 그렇다고 생각한다. 결국은 이야기가 아닌가. 각자가 근면한 지점이 모두 다를 것이다. 누군가는 운동에, 누군가는 산책에, 누군가는 공부에 근면할 수 있을 것인데, 하루키는 소설에 있어서 자신이 근면하다 했다. 아, 달리기에 있어서도 그렇지. 소설에 대해 근면한 편이라고 말하는 하루키를 보면서 나는 나 역시 읽고 쓰는 일에 매우 근면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봐, 얼마나 꾸준히 읽고 쓰고 있는가. 나 자체가 딱히 근면한 사람이라고 부를만한 사람은 아니겠지만(물론 게으른 사람은 더더욱 아니다), 읽고 쓰기에 있어서는 근면함을 발휘한다. 누구보다 성실하게 읽고 쓰고 있다. 게다가 굳이 덧붙이자면, 나는 사랑에 있어서도 그렇다. 어느 한 사람을 마음으로 사랑한다면, 그 사랑에 대해서도 쉽게 포기하지도 돌아서지도 않는 것 같다. 사랑을 꾸준히, 성실히, 근면하게 하는 편이다.



나 역시 그동안 보잘것 없는 많은 글들을 써오면서 그 안에 선함을, 그리고 옳은 방향을 담아내고자 했었다. 그 길이 맞다는 확신이 조금 더 들게하는 좋은 책읽기였다. 이 책을 읽고 하루키가 더 좋아진 건 아니지만, 38년이나 글을 써온 소설가의 글에 대한 생각을 읽는 것은 매우 좋은 책읽기가 틀림없다. 앞으로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 특히나 소설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것이다.




덧.

이들은 총 네 번에 걸쳐 인터뷰를 하고 그 때마다 장소를 이동하는데,  '신초샤 클럽'에서 두번째 인터뷰를 했다며 네 시간 가까이 이어진 인터뷰 동안


'간식으로 나는 초콜릿, 무라카미 씨는 도넛 반 개를, 저녁으로는 모두 함께 가락국수를 먹었다' (p.77)


고 한다. 나는.... 너무 놀랐다. 간식으로... 초콜릿... 고작 그것을......아니 게다가 하루키는 뭐여...도넛 반 개라니.. 장난하나. 도넛 한 개도 아니고 두 개도 아니고 반 개를 간식으로 먹다니.. 도넛이 지름 30센치는 되는 거였을까. 대체 도넛 반 개를 뭐하러 먹지? 너무 이해 안되는 부분인 것이다. 사실 사람들 다 간식..도넛 반 개로 끝내는건가요? 간식은 햄버거나 샌드위치, 치킨 두 조각... 정도 되야 하는거 아닌것인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충격적인 부분이었다............지나치게 적은 간식, 게다가 저 가벼운(!) 저녁은 또 뭐람?


엊그제도 퇴근길에 혼자 순댓국 시켜 소주 마신 사람으로서, 정말이지, 놀라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네. 일단 씁니다. 만약 친구가 와주지 않더라도 와줄법한 환경을 만들어둬야죠. 저쪽에 방석도 좀 깔아놓고, 청소도 하고, 책상도 닦고, 차도 내려두고. 아무도 오지 않을 때는 그런 ‘밑준비‘라도 해두는 겁니다. 아무도 안 오니까 오늘은 실컷 낮잠이나 자볼까, 이러지는 않아요. 전 소설에 대해서는 근면한 편이라서요. - P82

링컨이 말했듯이, 아주 많은 사람을 일시적으로 속일 수도 있고 얼마 안 되는 사람을 오랫동안 속일 수도 있어요. 그러나 많은 사람을 오랫동안 속이기는 불가능해요. 그것이 이야기의 기본 원칙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 P106

글쎄요. 꼭 해피엔드여야 한다는 말도 아닙니다. 오히려 제 소설에는 해피엔드가 별로 없지 않나요. 『양을 쫓는 모험』도 왠지 쓸쓸하게 끝나고,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드랜드』의 주인공은 결국 그 세계에 남잖아요. 그림자와 헤어져서 혼자. 결코 해피하게 끝나지 않죠. 그래도 역시, 사람들이 이 세계에서 계속 살아가리라는 일종의 신뢰감 같은 것이 독자의 마음속에 생겨납니다. 살아남는 것, 혹은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 그건 이야기의 아주 중요한 요소죠. 적어도 어느 정도 길이가 있는 픽션에는. - P178

제 생각에, 한 사람이 인생에서 정말 진심으로 신뢰할 수 있는, 혹은 감명받을 수 있는 소설은 몇 편 되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은 그걸 몇 번이고 읽으며 찬찬히 곱씹죠. 소설을 쓰는 사람이건 쓰지 않는 사람이건, 자신에게 정말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소설은 평생 대여섯 권 정도 만나지 않을까요. 많아야 열 권 남짓일까. 그리고 결국 그 몇 안 되는 책이 우리 정신의 대들보가 되어줍니다. 소설가의 경우는 그 스트럭처를 몇 번이고 반복하고, 바꿔 말하고 풀어 말하면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자기 소설에 편입해갑니다. 우리 소설가들이 하는 일이란 결국 그런 게 아닐까요. - P197

다시 말해 여성 캐릭터가 성적인 역할만을 완수하기 위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 이야기, 남성, 우물 등을 그릴 때는 그렇게 아낌없이 발휘되던 상상력이 ‘여자와의 관계‘에서는 발휘되지 않아요. 여자가 여자 자체로 존재하지 못하죠. 주인공이든 조역이든 이른바 주체성을 지니고 자아실현을 이루는 전개도 얼마든지 가능할 텐데, 늘 남자 주인공의 희생양처럼 되어버리는 경향이 있거든요. 무라카미 씨 소설에서 여성 캐릭터는 왜 그런 역할이 많은가 하는 거죠. (가와카미 미에코) - P257

그런데, 이렇게 말하면 좀 그렇지만 저는 어떤 등장인물에 대해서든 그리 깊이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남성이건 여성이건 그 인물이 어떤 세계에 관계되었는가, 요컨대 그 인터페이스(접면)가 주된 문제지, 존재 자체의 의미나 무게, 방향성 등은 오히려 필요 이상으로 묘사하지 않으려 주의하는 편이에요. 앞서 말했듯이 자아에 대해서는 되도록 다루지 않으려 합니다. 남성이건 여성이건. - P257

결국 말이죠. 소설에 직접적인 형태로 써넣으면 동기가 어쨌건 사건을 겪은 사람들을 소설적으로 이용하는 셈입니다. 가슴 아픈 일을 당한 사람들을 픽션의 형태로 이용하고 싶지 않아요. 그런 큰 사건뿐 아니라 일상생활도 마찬가지고요. - P348

인류 역사에서 이야기의 계보가 끊긴 적은 없습니다. 제가 아는 한, 단 한 번도요. 레이 브래드버리 원작,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의 <화씨 451>이라는 영화가 있죠. 아무리 책을 불태워도, 작가를 죽이고 묻어도, 책을 읽는 이들을 모조리 감옥에 보내도, 교육 시스템을 망가뜨리고 아이들에게 글을 가르치지 않아도, 인간은 깊이 숲속으로 들어가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그것이 좋은 이야기이기만 하다면. - P352

설령 종이가 없어도 인간은 이야기를 이어갈 것입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역사라고 해봐야 아직 십 년도 되지 않았잖아요. - P352

그에 비해 이야기는 적어도 사만 년, 오만 년은 이어져 왔는걸요. 축적의 정도가 완전히 다릅니다. 두려워할 건 아무것도 없어요. 이야기는 그렇게 간단히 죽지 않아요. - P352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0-04-22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전 예전에 읽다 말았는데, 다시 읽어봐야겠어요. ㅎㅎ
하루키는 남자 주인공은 분명 의도를 갖고 쓰는 거 같은데....(본인 로망 실현 ㅋㅋㅋㅋ) 여성 캐릭터는 그렇단 말이죠? 흠....
딱히 좋아하는 작가는 아니지만 꾸준히 쓰고 늘 달리는 것만큼은 정말 존경스러운 사람입니다.
무언가를 꾸준히 한다는 거 정말 어려운 일이니까요. ㅎㅎ

그나저나 저렇게 소주 한 병 주문하면 몇 잔이나 마셔요? 설마 한 병 다???

다락방 2020-04-22 10:44   좋아요 0 | URL
여성인권엔 딱히 관심 없는 사람이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렇지만 1949년생 일본 남자에게 무엇을 기대하겠는가 싶기도 하고요. 말씀하신 것처럼 꾸준히 쓰고 달리고 또 이야기의 힘을 믿는 것, 선한 의도를 담고자 하는 것들은 참 좋았어요. 괜히 잘 팔리는 작가가 아니구나 싶고요.
잠깐 멈춰서, 가만, 내가 읽고 쓰는 건 어떠한가, 하고 돌아보게 만드는 좋은 책읽기 였어요.


저렇게 소주 한 병 시키면 보통 반병이나 그보다 조금 더 마셔요. 혼자 식당가서 시켜서 한 병 다 마신 적은 없어요. 집에서는 혼자 마셔도 한 병 다마시곤 하는데 밖에서는 한 병 다는 안마셔요. 엊그제는 소주 석잔쯤 남기고 온 것 같아요. 다 마시고 싶었는데 참았네요. ㅋㅋㅋㅋㅋ

감은빛 2020-04-23 1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방금 북플 앱으로 길게 댓글 남겼는데, 자꾸 옆의 다른 자판이 눌러지는 불편한 폰 자판으로 힘들게 남겼는데, 등록 버튼을 누른 다음 순간 갑자기 북플 앱에서 로그아웃되면서 제가 남긴 댓글이 없어진 것 같네요. 분명 저는 댓글만 썼을 뿐 로그아웃 버튼을 누르지 않았는데, 이런 버그는 왜 생기는 건지 따지고 싶네요.

암튼 퇴근길 순대국에 소주, 탁월한 선택이었습니다. 요새 계속 칼바람이 불어 따뜻한 국물에 소주 한 잔이 땡기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저도 새벽에 순대국( 수육)에 소주 마셨어요. 시간 차이는 있지만 같은 음식을 먹었군요. ㅎㅎ

하루키가 숫자를 기록한다는 부분이 인상적이어서 저도 따라해보고 싶네요. 지금 저는 습관 기록앱에 매일 그 활동을 했는지 안 했는지만 체크하고 있어요.

독서, 글쓰기, 달리기, 맨몸운동, 케틀벨운동, 바벨운동 등으로 큰 틀에서 분류해 간편하게 기록하고 확인할 수 있는 건 좋지만, 나중에 무엇을 얼마나 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네요.

요걸 어떻게 기록하면 좋을지 고민해봐야 겠어요. 간편하게 꾸준히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어요.

다락방 2020-04-23 12:00   좋아요 0 | URL
북플 앱으로 긴 댓글을 시도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저는 북플앱에 들어가 스맛폰에서 댓글 남기는 거 너무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앱으로 들어가면 댓글을 잘 안남기게 돼요. 넘나 아날로그 세대인 것입니다. ㅋㅋㅋㅋㅋ

감은빛 님 운동 열심히 하시니까 하루키처럼 기록하시는 거 되게 좋을 것 같아요! 뭔가 스스로 성취감도 느껴질 것이고 또 나중에 어떻게 변화가 있었는지도 수치상으로 파악 가능하니까요. 도전 응원합니다!!

jeeinn 2020-04-27 0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은 말고) 에세이를 좋아하는 데, 이 인터뷰집은 계속 읽을까 말까 했어요.. 님의 평을 보고 장바구니에 담습니다. 하루키의 성실함은 이상하게 위안을 주는 거 같아요. 물론 재능도 있겠지만 성실함.이란 단어는 재능보다 성실.에 조금 더 무게를 주어, 성실하기만 하다면 나도! 라는 생각이 들게 하거든요. 자기 위안 일수도 있겠지만요. 어쨋든 서평 감사합니다.

다락방 2020-04-27 09:42   좋아요 0 | URL
저는 하루키의 소설도 참 좋아했어요. 하루키 특유의 유머가 너무 좋거든요. 그래서 열심히 하루키의 소설을 읽어 왔습니다. 이 인터뷰집은 저도 사놓고 안읽다가 최근에 읽었는데, 읽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성실함에 대해서라면 저 역시 높게 사는바, 그리고 그건 내가 따라할 수 있잖아, 하는 생각도 들어서, 꾸준히 성실히 글 쓰고 조깅하는 하루키를 만나는 것이 저에게도 위안이 됩니다. 특히나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이 인터뷰집을 읽는게 매우 도움이 될것 같아요. 즐거운 독서 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