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유명한 연예인 커플의 이혼 소식을 접했는데, 나는 읽지 않았지만 포털의 댓글을 본 친구가 정말 끔찍하다고 말했다. 이혼을 앞둔 여자는 악녀가 되어 있었다고.
결혼이 그러한 것처럼 이혼 역시 당사자들의 몫이고 사적인 것이지만, 나는 어쨌든 이혼하기로 결정한 이상, 이혼한 여자가 앞으로 훨훨 날아가기를 바란다. 자유롭게.
자유롭게 저 하늘을 날아가도 놀라지 말아요, 우리 앞에 펼쳐질 세상이 너무나 소중해 함께라면... 여기서 함께는 남편과 하는 함께가 아니라, 다른 많은 여성들과의 연대를 의미하는 것. 날아갑시다, 훨훨.
마침, 어제 그런 소식을 접하고 내가 읽게된 성의 변증법에서는, 파이어스톤이 결혼에 대해 말하고 있었다. 1970년에 발표된 이 책에서, 스물다섯의 파이어스톤은, 이미 결혼이 어떤 건지 다 파악하고 있었어. 아, 천재여..
결혼은 교회와 마찬가지의 상태에 있다. 양쪽 모두 기능적으로 무능하게 되어, 그 설교자들이 부활을 예고하기 시작하면서 공포 시대의 개종자들에게 열심히 점수를 따고 있다. 종종 신은 죽었다고 선언되지만 신이 교활하게 그 자신을 부활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람들이 결혼의 정체를 폭로하지만 결국은 결혼으로 끝나는 것이다. (p.314)
결혼제도의 실용적인 기반들이 모호해지는 것과 더불어 커지는 압력 아래서, 성 역할은 빅토리아 시대의 사람들이 수치스럽게 여길 정도로까지 완화되었다. 그는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도, 결혼의 기능과 가치에 대해서도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그에게 결혼이란 단순히 이기적 이득에 대한 경제적 약정이고, 육체적 욕구를 가장 쉽게 만족시켜주며 상속자를 재생산하는 것일 뿐이었다. 그의 아내 역시 의무와 보상에 관해서 명확하게 알았다. 즉, 그녀 자신과 성적 ·심리적인 것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 그리고 평생동안 가사노동으로 봉사하고 그 보상으로 지배계급의 일원에 의한 장기적인 후원과 보호를 받는 것이다. 답례로 그녀는 아이들이 일정한 나이에 이를 때까지 제한적인 지배권을 갖게 된다. 오늘날 분리된 역할에 기반한 이러한 계약은 감정에 의해 위장되어 왔기 때문에 수백만의 신혼부부들이나 결혼한 지 오래된 대부분의 부부들조차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p.314-315)
경고는 아무런 효과를 가질 수 없다. 논리는 사람들이 결혼하는 이유와 아무런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들은 자기만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 자신의 부모이다. 만일 그녀가 모든 증거들을 가리기로 선택한다면, 그것은 그녀가 그렇게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통제할 수 없는 세계에서, 개인들에게 통제에 대한 환상을 주고 안정성, 쉴 곳, 혹은 따뜻함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는 유일한 제도들은 '사적'인 제도들이다. 종교, 결혼-가족,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정신분석 치료가 그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보아온 대로, 가족은 사적인 것도 피난처도 아니다. 가족은 개인이 더 이상 맞설 수 없는 더 큰 사회의 병폐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그 원인이기까지 하다. (p.317)
그럼에도 결혼은 바로 그 정의상 참자가들의 욕구를 절대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결혼은 우리가 이제서야 바로 잡는 기술을 가지게 된 근본적으로 억압적인 생물학적 조건을 중심으로 조직되었고 그것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결혼제도를 가지는 한 우리는 그것에 내재된 억압적인 조건들을 가질 것이다. (p.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