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성장시키는 독서법 - 책에게 질문을 던지는 소통의 책 읽기 노하우
채석용 지음 / 소울메이트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독서는 책의 내용 파악에 그치는 게 아니라 저자와 소통해야 한다는 거다.

동의하고 열광하거나, 부정하고 비판하라는 얘기다.

소통이 안되는 독서는 그저 수동적인 내용파악일 뿐이라는 거다.

인터넷, 멀티미디어, 다큐같은 다양한 매체도 독서의 좋은 도구라고 긍정하고 있다.

다큐 중에서 <살아있는 지구>, <토론의 달인, 세상을 이끌다>가 좋다니 찾아보자.

환단고기와 주역은 읽지 말라고 한다. 환단고기는 그렇다 치고 주역은 점치는 책이니 읽지 말라는 것이다.

역사책 읽기 방법에서는 이덕일과 오항녕의 논쟁 같은 걸 즐기라고 한다.

조선의 역사는 서인과 남인만 알면 된다는 간편한 설명이 인상 깊었다.

서인들은 임금보다 신하를 중시했고, 남인들은 신하보다 임금을 중시했다. 서인들은 주기론(主氣論)을 신봉했고 남인들은 주리론(主理論)을 신봉했는데, 이런 철학적 입장의 차이가 정치적 입장의 차이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고 한다.

동양 고전에 관한 김용옥 책을 매우 높이 평가하고 있다.

 

책에서 권장하는 저술 목록이 꽤 된다.

정리해 보자.

 

고미숙, 열하일기

정민, 한시미학산책, 비슷한 것은 가짜다

조동일, 문학연구방법

이종묵, 우리 한시를 읽다

열국지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김용옥, 논어 한글 역주, 노자와 21세기, 금강경 강해

한형조, 조선유학의 거장들

강신주,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시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진래, 송명성리학

김영두,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

플라톤, 박종현역, 국가·정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등과 자주를 외친 동학농민운동 주춧돌 5
이이화 지음, 김태현 그림 / 사파리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동학농민운동의 배경과 전개과정을 배웠다.

학교에서든 어디서든 동학에 대해 이렇게 자세하게 배운 적이 없는 것 같다. 왜일까?

 

1894년 가을,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죽을 길이란 걸 뻔히 알고서도 싸움에 뛰어들었다.

그들의 생각은 누구보다도 앞서 있었고, 또 정당했다.

전봉준이 법정의 심문에 답한 재판 기록인 <전봉준 공초>가 지금도 서울대 규장각에 남아있다고 한다.

거기 나오는 전봉준의 말은 동학농민운동이 왜 일어났는지를, 왜 정당하고 정의로운 운동인지를 알려준다.

 

동학은 과거 잘못된 세상을 고쳐 다시 좋은 세상을 만들려고 나선 것이라, 민중에 해독되는 탐관오리를 버히고 일반 인민이 평등적 정치를 바로잡는 것이 무엇이 잘못이며 사복(私腹)을 채우고 음탕하고 삿된 일에 소비하는 국세와 공전을 거두어 의거에 쓰는 것이 무엇이 잘못이며 조상의 뼈다귀를 우려 행악(行惡)을 하고 여러 사람의 피땀을 긁어 제 몸을 살찌우는 자를 없애 버리는 것이 무엇이 잘못이며 사람으로서 사람을 매매해 귀천이 있게 하고 공토로서 사토를 만들어 빈부가 있게 하는 것은 인도상 원리에 위반이라, 이것을 고치자 함이 무엇이 잘못이며 악한 정부를 고쳐 선한 정부를 만들고자 함이 무엇이 잘못이냐? 자국의 백성을 쳐 없애기 위해 외적을 불러들였나니 너희들 죄가 가장 중죄한지라. 도리어 나를 죄인이라 이르느냐? (298-299)

 

하나 더 놀라웠던 건 동학군이 행동 강령에 따라 백성들에게 거의 피해를 입히지 않았던 모습이다. 그들 스스로가 그랬다고 자화자찬한 게 아니라 타인의 눈에도 그렇게 보였다.

전봉준이 이끄는 농민군을 취재한 일본 기자가 <동경일일신문>에 다음과 같은 글을 실었다.

 

동학당은 술과 여자를 탐하지 않고 담배를 피우지 않는 등의 규율이 있고, 당원들은 그것을 잘 지켜 조금도 농민을 해치는 일이 없었다. 왜 농민군으로 참여했냐고 묻는 자가 있으면, 정부의 잘못된 정치를 고치고 조선에 있는 외국인을 추방해 국민의 만복을 도모한다고 했다. 그리고 그들이 약속한 말이 항상 실현되었다. 일찍이 고부에서 전주로 진격할 때 구경꾼들이 산을 이루어 논밭 도로들이 다 밟혀 엉망이 되는 것을 보고 단지 농작물을 상하게 하는 것을 경계해 공포를 쏘아 논밭에서 물러나게 한 것도 그 한 보기다.

그들이 마을에 들어올 때는 잡다한 물건이라 할지라도 그에 맞는 현금을 주고 사서 상업적으로도 약간의 이익을 주었다. 그래서 백성들에게 해를 미치지 않는다고 하여 백성들 사이에서는 자못 평판이 좋다. 농민군의 이런 행동 원칙은 결코 과장이 아니었다. (114-115)

 

전봉준이 훗날 을사오적의 한 사람이 될 충청감사 박제순에게 보낸 편지는 너무 안타깝다.

씨알도 안 먹힐 얘기를 할 수 밖에 없는 농민군의 처지는 완전하고 철저한 비극으로 치닫는 최적의 조건 아니던가.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사람은 기강이 있어 만물의 영장이라고 일컫는다. 거짓말하고 마음을 속이는 자는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 일본의 도둑들이 군대를 움직여 우리 임금을 핍박하고 우리 백성을 걱정스럽게 하니 어찌 참는단 말인가? 임진왜란의 원수를 초야(시골)에 있는 필부나 어린애까지도 그 울분을 참지 못하고 기억하는데, 하물며 각하는 조정의 녹을 먹는 충신이니 우리 무지렁이들보다 몇 배 더하지 않겠는가?

지금 조정 대신들은 망령되고 구차하게 자기의 안전에만 빠져서 위로는 군부를 협박하고 아래로는 인민을 속여 일본 군대와 손을 잡아 삼남의 인민들에게 원한을 불러오고 임금의 군사를 움직여 옛 임금의 힘없는 백성을 해치려 하니 진실로 무슨 의도이며 무슨 짓을 하려는 것인가? 지금 내가 하려는 일은 지극히 어렵겠지만 일편단심 죽음을 무릅쓰고 나라의 신하로서 두 마음을 품는 자들을 쓸어 조선 500년의 은혜를 갚으려는 것이다. 각하는 크게 뉘우쳐서 대의를 위해 함께 죽는다면 얼마나 다행이겠나. (209-210)

 

어떻든지 박제순은 죽기는 싫었겠지.

어떻게 된 게 무지렁이가 죽음을 무릅쓰고 나라의 은혜를 갚으려고 하고, 조정의 대신이란 자는 제 배때지 불리려 나라까지 팔아 먹는지.

예나 지금이나 별로 달라진 게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mes and the Giant Peach (Paperback)
로알드 달 지음, 레인 스미스 그림 / Puffin / 199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알드 달 책을 원서로 처음 읽었다.

불쌍하고 불쌍한 제임스의 기괴한 여행은 무섭고도 유쾌했다.

 

 

줄거리는 그야말로 기묘하고, 당혹스러웠고 난데없이 등장하는 유머와 말장난에 피식피식 웃음이 나온다.

로알드 달은 어디서 어떻게, 왜 웃음이 터지는지 정말 제대로 아는 사람이다.

말도 안되는 이야기로 가득 찬 어린이 책이 분명하건만, 전혀 유치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아니, 이렇게 행복한 결말로 끝나는 마지막 부분에서 왜 눈물이 나오는 건지 도대체 모르겠다.

난 이제 동심이 메말랐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닌 건가. 아니면 내게 동심과 관계없는 무언가 트라우마가 있는 건가.

뉴욕의 아이들이 모두 달려들어 복숭아를 씨만 남기고 다 먹어버리는 그 장면은 마치 <향수>에서 그루누이의 마지막을 떠올리게도 했다.

 

 

예전에 큰애와 함께 <멋진 여우씨>를 한글로 읽었을 때는 로알드 달의 매력을 몰랐는데 원서로 읽으니 정말 잘 알겠다.

아, 나도 제임스와 거대 곤충들처럼 502 마리의 갈매기를 매단 슈퍼 복숭아를 타고 어디로건 멀리, 저 멀리, 날아가 보고 싶다.

 

 

There was not a sound anywhere. Traveling upon the peach was not in the least like traveling in an airplane. The airplane comes clattering and roaring through the sky, and whatever might be lurking secretly up there in the great cloud-mountains goes running for cover at its approach. That is why people who travel in airplanes never see anything.

But the peach...ah, yes...the peach was a soft, stealthy traveler, making no noise at all as it floated along. And several times during that long silent night ride high up over the middle of the ocean in the moonlight, James ans his friends saw things that no one had ever seen before. (87)

 

 

 

이런 장면을 어떻게 상상해내는 걸까.

로알드 달 책은 보통 퀸틴 블레이크 삽화로 되어 있는데, 이 책에는 레인 스미스가 1996년에 그린 삽화가 들어있다.

집에 있는 번역본에서 퀸틴 블레이크 삽화도 살펴봐야겠지만, 레인 스미스 그림이 이야기의 분위기를 잘 살려낸 거 같다.

 

 

 

환상적인 이야기 속에 황당한 리얼리티가 살아있는 동화책이다.

1961년에 쓴 책을 이제서야 읽어본 게 너무 억울하지만, 이제라도 읽었으니 다행이다.

원서 읽기 시작해서 건진 최고의 애들 책을 꼽는다면 하나는 <Bud, Not Buddy>, 그리고 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1318 교양문고 5
주경철 지음 / 사계절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띄엄띄엄 읽어서 좀 오래 걸리긴 했지만 재밌게 읽었다.

중세와 근현대로 올수록 흥미진진한 주제가 많았다. 세계사의 줄거리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읽는다면 더 좋을 것 같다.

청소년 대상이라지만 그렇게 쉬운 책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이집트 피라미드, 스파르타, 로마, 바이킹, 마녀사냥, 근대의 가정, 군사, 사랑, 음식, 술, 예술 등 문화의 다양한 요소들을 역사의 맥락 속에서 다른 관점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꼭지가 끝날 때마다 소개된 글상자 내용은 충격적인 것도 많았다.

 

책에서 기억해 둘 만한 것들을 적어 본다.

 

 

피라미드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을 강제로 동원하고 채찍을 휘두르며 일을 시켰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사람들은 농한기에만 나와서 일을 했으며 그것도 강제 노역이 아니라 식량을 지원받았기 때문에, 아주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일종의 '영세민 취로 사업'이라고 보아도 좋다. (40)

 

따라서 피라미드를 최악의 전제정치의 산물로만 볼 수는 없다는 거다.

 

 

그밖에도 아래 내용들을 흥미있게 읽었다.

 

 

크레타섬의 신화인 미노타우로스는 미노스 왕비가 암소 가죽을 덮어쓴 다음 수소와 교미해서 낳은 괴물이란다. 사람고기를 먹는다. 미노스왕은 너그럽기도 하지. 이런 괴물을 살려주는 것도 모자라 미궁 속에 가둬 놓고 먹이까지 공급해 준다.

스파르타는 헤일로타이 계층을 지배하였다. 일 년에 한 번 헤일로타이 마을을 습격하여 인간사냥을 했다네. 헉! 지배층(스파르타)보다 피지배층(헤일로타이)이 10배나 많았다고 한다. 그런데도 찍소리 못했단다.

바이킹은 이미 10세기에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다네? 원주민과 교역하다 쫓겨났다고 한다.

 

기독교의 시대라는 중세에도 그 안을 들여다 보면 이런 사정이 있었다.

 

 

일반 민중들은 마술적 사고에 흠뻑 젖어 있었다. 말하자면 이들에게는 자연 세계와 초자연 세계의 경계가 흐릿해서 신과 악마가 끊임없이 그 사이로 비집고 들어와서 활동하고 있었다. 이는 단순한 '미신' 정도가 아니라 일상생활과 깊이 연관된 '문화'였다. 그리고 사실 기독교 이전의 많은 민중 신앙이 가톨릭 교회 속으로 들어와 있었다. 예컨대, 농사가 잘되라고 신부가 밭 둘레를 돌면서 밭에다가 성수를 뿌리는 행위는 기독교 교리와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었다. 병에 걸렸을 때 특정 성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기독교 이전의 신앙과 관련이 있었다. 병이란 악마적인 힘이 일으킨 것이며 이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그 힘을 다스릴 수 있는 무당이나 신에게 부탁해야 한다는 사고인데, 아마도 기독교 이전에 한참 '날리던' 지방의 신이 가톨릭 성인으로 변신해서 편입해 들어왔을 가능성이 크다. 또 삶과 죽음이 연결되어 있어서 귀신들이 횡행하는 것으로 사람들은 이해하고 있었다. 무지몽매한 일반 민중들만 이런 식의 사고를 한 것은 아니었다. 프랑스 국왕 루이 11세는 마법의 메달을 달고 살았고 귀족들은 점성술에 빠져 있었다. (177)

 

 

그런가 하면 요즘 한국 현대사에 관심이 많다보니 '마녀사냥' 이야기가 어쩐지 낯설지 않았다.

 

 

인간의 지성은 갈수록 발달하고 사회는 더욱 문명화되는 것일까? 만일 그렇다면 지금쯤 우리는 지상낙원에서 오순도순 살아가고 있을 것이며, 비참한 탄압과 야만적인 전쟁 같은 것은 아예 사라졌을 것이다. 마녀사냥과 같은 현상을 보노라면 우리 마음 속에 집단 광기가 숨어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하게 된다. 마녀사냥은 그 모습 그대로는 근대 초 유럽의 특이한 현상이지만 유사한 현상은 언제나 있었다. 사회 전체를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불순한 세력! 그것은 히틀러에게는 유대인이고, 파시스트들에게는 공산주의자들이며, 남한 정권에게는 북한이 사주하는 불순 세력이고 북한 정권에게는 '남한과 미제의 스파이들'이다. 때로 권력은 일부러 그런 위험 세력을 조작해 내서 사람들을 선동하려 한다. 그런 조작이 너무나도 쉽게 먹혀 들어간다는 사실 자체가 우리 내면에 '마녀사냥'식의 충동이 잠재해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194-195)

 

 

근대의 가정집 구조에서 확실하게 부부만의 침실 공간을 나누게 된 이후에 사랑도 변했다는 얘기도 재미있었다.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바꿔버린 기차 얘기도 나왔다.

노예는 노동착취만 당한 것이 아니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와 같이 백인들을 가르치기도 했다는 거다.

독일 나치에 대항한 청소년 집단, '에델바이스해적단'과 '스윙클럽'은 이름부터 남다르지 않은가. 단순한 동네 깡패들만은 아니었을 거다. 아이들은 어쨌든 본능적으로 파쇼에 저항했던 거다.

마지막 디즈니 만화에 대한 비판은 새겨들어야 할 논리였다. 암 생각 없이 좋다꼬 디즈니 애니매이션 보던 내가 다 한심해진다.

 

 

한 호흡으로 순식간에 읽을 책은 아니다.

서른 다섯 꼭지마다 많은 생각거리를 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이 순간의 역사 한홍구의 현대사 특강 2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홍구 교수의 2009년 특강을 정리한 책이다.

1980년 5·18 민주화항쟁 이후 현대사를 파악하는데 아주 좋은 텍스트이다.

 

 

우리나라의 민주화가 광주항쟁에서부터 시작했다고 보고 있는데, 그 때 도청에 끝까지 남아 계엄군에 희생 당했던 사람들에 대한 미안함과 함께 하지 못했던 죄책감이 80년대 운동권의 성장과 민주화 운동의 발판이 되었다는 거다.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을 거쳐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과 인물들에 대한 평가가 자세하게 나온다.

노무현보단 김대중을 더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였다. 참여정부는 너무 기대를 저버린 면이 많았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어렸을 때 나는 참 세상 돌아가는 일에 너무 관심이 없었다는 걸 알았다. 창피하다.

마지막에 나온 보수야당과 진보정당에 대한 비판과 충고는 여전히 유효하다.

야당이 보수여당 따라서 부자 만들기 당 하지 말고 기층 민중에게 다가가야 한다는 충고,

진보정당은 자기들만의 경직된 언어에서 벗어나서 대중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충고.

 

 

 

진보진영이 대중성도 부족하고 말이 어렵고 재미없어요. 촛불 때 다 들통이 났잖아요. 운동권이 마이크를 잡으면 분위기가 싸해졌잖아요. 왜? 세 마디만 들어보면 알거든요. "신자유주의의 구조적 위기" 이렇게 나오면 딱 운동권입니다. 제가 운동하면서 민망해본 적이 없는데 현장에서 그분들이 마이크 잡았을 때는 낯이 뜨거울 만큼 민망했어요.

정파나 대중성 부족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현재 진보가 갖고 있는 이미지예요. 진보 하면 칙칙하잖아요. 운동권인지 아닌지 보면 대충 압니다. 사실 저도 이런 옷 입고 다니면 안 되는데…… 진보도 옷 잘 입고 모양도 잘 가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 동구가 왜 무너졌다고 생각하세요? 뭐 때문에 무너졌습니까? '블루진' 때문에 무너진 것 아닙니까? 마이클 잭슨이 들어가서 공연한 지역부터 차례차례 무너졌어요. 팝과 코카콜라, 블루진. 젊은이들이 따라 하고 싶어해야 하지 않습니까? 그걸 못 만들어내면서 어떻게 우리 편이 되라고 하겠어요? 나는 진보도 그런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3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