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50
고미숙 지음 / 책세상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시대는 근대인가? 현대인가? 아직도 전근대와 근대적 특징들이 혼용된 사회를 살아가면서 시대적 구분이나 특징들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규정짓고 구별짓는 것은 건널 수 없는 강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대한 비판적 반성이며 미래를 꿈꾸기 위한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근대를 기점과 특징에 대한 허다한 논의들 중에서 고미숙의 책은 이채롭다. 먼저 접근 방법을 살펴보자. 당시의 문헌과 신문과 잡지를 뒤적인다. ‘대한매일신보’나 ‘독립신문’ 혹은 신채호의 <독사신론>을 꼼꼼히 짚어낸다. 그리고 미셸푸코의 <성의역사>나 <광기의 역사>, 가리타니 고진의 ‘병이라는 의미’, 빌헬름 라이히의 <파시즘의 대중심리>, 아노 카렌의 <전염병의 문화사>를 통해 현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 당시의 문화적 현상이나 시대적 특징을 찾아내는 혜안을 가지려면 일단 기준과 특징을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 사회과학적 접근 방법이 아니더라도 당대를 읽어나가기 위한 노력은 그리 만만치가 않다. 저자 고미숙은 그 특징을 세가지로 요약했다. 민족, 섹슈얼리티 그리고 병리학이다.

  먼저 민족이라는 원초적 개념과 민중들에게 파급되는 과정 그리고 교묘한 은유와 무의식적 믿음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민족담론은 여전히 굳건한 뿌리를 가지고 해체 되거나 변화의 조짐들이 일반화 되고 있지 않다. 여전히 한의 정서가 민족의 보편적 정서라는 사실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거론되고 있으며 국가와 민족은 개인의 권익에 우선한다는 사실이 당연하고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기원과 뿌리를 확인하는 작업은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대안은 자연스럽게 찾아질 것이라는 순진한 믿음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맹목적인 종교 수준의 믿음은 두렵기만 하다.

  두 번째로 섹슈얼리티의 문제는 단순하게 ‘근대’의 특징이라고만 규정지을 수는 없다. 다만 근대로의 이행기에 보여지는 특징들이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가의 현상에 주목한다. 근대계몽기의 성담론은 조선 후기에서 이어진다. 여성 자체를 국민으로 받아들이지 못한 시대에서 섹슈얼리티에 주목하는 사회로의 변화는 급격한 변화를 야기한다. 그러면서 어머니와 여성이 분리되고 국가에 대한 충애를 바탕으로 국민이 되어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로 병리학과 기독교의 문제이다. 수잔 손택의 <은유로서의 질병>는 이 부분에 대한 좋은 참고 도서가 될 것이다. 고미숙은 목욕탕과 병원, 교회를 근대의 성소라고 표현하고 있다. 문명개화하기 위한 위생과 병원에서 벌어지는 분리와 배제, 격리과 수용은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에서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적 기독교의 수용이 결합된다.

  고미숙의 이 책은 재미있다. 주제를 다루는 방법과 문장을 이끌어 가는 힘이 남다르다. 딱딱하고 분석적인 어조로 지루하게 이끌어가면 대개 지치고 무료해지면서 다른 생각을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짧은 분량에 대한, 가볍고 흥미있는 책이 되겠다는 사명감이 투철하다. 그렇다고 논의의  초점이 무디거나 건성건성 넘어가는 법은 없다. 특유의 사유 방식과 근대를 다루는 폭넓은 사고는 저자만의 고유한 특징이 된다.

  문명과 지식을 가로지르는 유목민의 모습을 고미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많은 책들 속에서 이 책은 또 한 번 고미숙의 진면목을 엿볼 수 있게 한다. ‘근대’가 왜 중요한 것인지, 우리들의 현재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지금도 그 연장 선상에 놓여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많은 즐거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는 책이다. 누구나 한 번쯤 가볍게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민족과 섹슈얼리티 그리고 병리학이라는 주제와 별개로 맺음말에서 저자는 ‘기차와 인터넷’으로 분량에 대한 아쉬움과 다루지 못한 주제에 대해 미련을 말하고 있다. 근대의 상징으로 기차를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한다. 시공간을 가로지르는 맹목의 질주와 직선의 이동. 인터넷은 21세기의 기차이다. 그것이 또 다른 탈근대의 징후로서 현대를 특징짓는 기호가 될 것인가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이 책은 끝을 맺는다.

  그렇다면 이제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낯설고 이질적인 장 속에 능동적으로 뛰어들 수 있는 용기뿐이리라.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공상과학영화 <공각기동대>가 바로 이런 주제를 다루고 있다. 영화의 마지막 대사로 우리도 마무리를 하자.
  “네트는 광대해” - P. 172


  ‘시간을 달리는 소녀’에서 주인공 소녀는 과거의 시간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그러나 <나비효과>처럼 결국 수많은 네트들의 연결은 현실의 한 칸만을 되돌리거나 바꿀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현재를 이루고 있는 모든 틀 전체가 흔들리고 전혀 다른 양상으로 진행된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 광대한 네트에 대한 인간들의 도전과 모험은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영원히 계속될 것이다.


070724-09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7-26 0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터넷을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 년 되지 않았는데 없으면 불편한 존재로 자리잡았네요.
역사가 짧아서인지 이용하는 사람들의 의식이 그래서인지 배려가 부족하고 상처내는 일들이 많아서 불쾌할 때가 많아요.

sceptic 2010-01-31 2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사 때문이 아니라 익명성때문이죠...관계 자체가 불연속이니까요...

반딧불이 2010-01-29 1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내용을 잘 요약해주셔서 마치 책 한권을 다 본듯 합니다. 그래도 책은 읽어야겠지요? thanks to~ 수잔 손택 여사의 책은 <질병으로서의 은유>가 아니라 <은유로서의 질병>입니다.

sceptic 2010-01-31 21:03   좋아요 0 | URL
오타 수정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