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고 유익한 이 책에서 미심쩍은 점들.

87쪽
“엔간하다”를 “어여간하다”의 준말이라 했는데, 엔간하다는 “어연간하다”의 준말이다. 아마 오타인 듯.

109쪽
“하룻강아지”가 “하릅강아지”에서 온 말임을 설명하면서, 하릅강아지는 “한 살짜리 강아지, 곧 태어난 지 1년 된 강아지”라 했다. 그런데 한 살짜리 강아지와 태어난 지 1년 된 강아지는 다르다. 태어난 지 1년 된 강아지는 이제 한 돌이 지날 무렵, 막 두 살이 되려고 하는 강아지다. 한 살짜리 강아지는 “태어난 지 채 1년이 안 된 강아지”라고 해야 옳지 않을까? 사람의 경우에도 돌을 맞은 아기와 채 돌도 지나지 않은 아기는 명백히 다르지 않으냔 말이다.

158쪽
고려의 어원을 ‘산고수려’라 한 데에 대해서는 http://www.aladin.co.kr/blog/mypaper/653237에 썼다.

181쪽
단말마(斷末魔)를 설명하면서 본뜻은 “혈(말마 : 산스크리트 marman)을 끊음, 곧 죽음이나 죽을 때”를 의미하고, 바뀐 뜻은 “숨이 끊어질 때 마지막으로 지르는 비명을 말한다.”고 했는데, 요즘에도 ‘단말마의 비명’ 하는 식으로 많이 쓰일 뿐이지 단말마란 말 자체가 “숨이 끊어질 때 지르는 비명”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02쪽
백병전을 설명하면서 “혼자 몸으로 자기 무기만을 가지고 싸우는 육박전”이라고 했는데, 이렇게 설명하면 혼자만 싸우거나, 1 대 다수로 싸우는 것이란 느낌이 든다. 그러나 백병전은 “여럿이 1 대 1로 붙는 싸움”을 뜻한다. 곧 한 사람 한 사람이 몸 부딪히며 1 대 1로 붙어 싸우기는 하지만 전체로 봐서는 두 패거리가 치고받고 싸우는 경우다.

211쪽
소경을 가리키는 “봉사”를 설명하면서 한자로 奉事라고 썼는데, 소경을 의미하는 봉사는 한자어가 아니다.

248쪽
장안을 설명하면서 “조선시대 중국을 섬기는 모화사상에 물든 양반들”이 중국 한나라의 수도 장안이란 말을 서울을 가리키는 말로 들여왔다고 했는데, 정말 조선시대부터 쓰기 시작했을까? 장안이 마지막으로 중국 왕조의 수도가 된 건 당나라 때인데, 당나라는 조선이 세워지기도 훨씬 전인 907년에 망했다.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건 삼국 시대부터이고, 907년이면 통일신라 때다. 그런데 조선시대에 와서야 “장안”이란 말을 들여왔을까?

258쪽
아우트헤벤(aufheben) → 아우프헤벤(aufheben)

259쪽
“지향”의 한자를 指向이라고 썼는데, 여기서 설명하는 의미(목적, 목표를 가리키는 말)에 맞는 한자는 志向이 옳다. 指向은 작정하거나 지정한 방향으로 나아감을 뜻한다.

261-262쪽
차비(差備)에 대해 설명했는데, 차비란 한자어는 “채비”로 변형되었다. 곧 채비의 원말로서 차비를 설명해야 하는데, 이 책에서는 ‘채비’란 말을 아예 언급하지 않는다.

264-265쪽
청서를 설명하면서, 영국에서 정부의 정책안을 기록한 책에 표지를 청색으로 했기 때문에 나온 말이라고 했다. 그런데 203쪽에서는 백서를 설명하면서 “17세기 영국에서는 정부의 보고서 표지에는 흰 표지를 붙이고, 의회의 보고서에는 푸른 표지를 붙였다.”고 했다. 의회의 보고서에 붙이는 ‘푸른 표지’는 청색이 아니고 녹색인가? 아니면 다른 시대 이야기인가?

320쪽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의 유래를 중국 역사책인 [오대사(五代史)] ‘왕언장전’에 나오는 고사에서 찾았다. 전쟁터에서 포로가 된 왕언장이 “표범은 죽어서 아름다운 가죽을 남기는데 하물며 사람이 이름을 가벼이 여겨서야 쓰겠는가. 나는 떳떳하고 아름다운 이름을 남기겠노라.”라고 말한 것이 일본으로 건너가 표범 대신 호랑이로 바뀐 듯하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왕언장에게 귀순을 권한 적국 임금을 “당나라 황제”라고 했다. ‘당나라’라고 하면 고구려 백제 신라와 싸운 그 당나라를 떠올리게 된다. 그러니 오대사 속의 당나라는 ‘후당’이라고 써야 한다.

352쪽
“쌍심지를 켜다”란 말을 설명하면서 “쌍심지는 한 등잔에 있는 두 개의 심지를 말한다. 심지가 두 개나 있는 등잔이니 보통 등잔보다 배는 밝고 뜨겁다.”는 데서 이 말이 왔다고 했다. 글쎄, 내 생각에는 사람 두 눈이 빛날 때, 그 두 눈동자를 심지 두 개로 비유해서 표현한 것 같은데.

353쪽
“쑥밭이 되다”란 말에 대해 설명하면서, “쑥은 키가 크기 때문에 다른 잡초보다 더 무성하게 자란다.”고 했다. 쑥이 키가 크다고? 사전에서 찾아보니 쑥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높이 60~120cm에 이른단다. 그러니까 1미터가 넘게 자라기는 자란다는 말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쑥이 다른 잡초에 비해 크다고?

359쪽
“어안이 벙벙하다”를 설명하면서 어안이란 “정신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했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어안은 “어이없어 말을 못 하고 있는 혀 안”이다.

373쪽
천애고아를 설명하면서 ‘천애’는 ‘천애지각(天涯之角)’의 준말이라고 했는데, 천애지각의 한자 표기는 天涯之角이 아니라 天涯地角이다.

393쪽
부/분(分)을 설명하면서 ‘푼’을 “어떤 것을 10으로 나누었을 때 그것의 10분의 1을 가리키는 말”이라 했다. 그게 10분의 1이란 말인지 100분의 1이란 말인지 표현이 불분명하다. 푼은 1할의 10분의 1, 곧 전체 수량의 100분의 1이다. (단, 길이와 무게의 단위로 쓰였을 때는 한 치의 10분의 1, 한 돈의 10분의 1을 가리킨다고 한다.)

399쪽
“애매모호하다”라는 말에 대해서, 애매(曖昧)는 일본어로서 우리말 모호(模糊)와 같은 뜻이라고 했다. 그러니 “애매하다”, “애매모호하다”는 말은 쓰지 말고 “모호하다”라고 쓰자고 한다. 흔히 이렇게들 알고 있는데, 내가 대학국어 시간에 배웠을 때도 그렇고, 또 표준국어대사전을 보고 생각해봐도, 이건 틀린 설명이다. 애매와 모호는 같은 말이 아니다. 애매하다는 것은 이를테면 A인지 B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잘 구별이 안 된다는 뜻이다. 모호하다는 말은 흐릿하여 파악할 수가 없다는 뜻이다. 애매한 것이나 모호한 것이나 그 정체가 불분명한 점은 같지만, 정확히 같은 뜻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게 동그라미를 비뚤게 그린 건지 세모를 두루뭉수리하게 그린 건지 애매하다.
그는 워낙 모호하게 말해서, 그가 정말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건지 모르겠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두 말이 같은 뜻으로 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의 대답은 긍정인지 부정인지 애매했다.
그는 대답을 모호하게 얼버무렸다.


400쪽
오재미를 놀이주머니를 뜻하는 일본말이라고 했는데, 표준어는 오자미로 우리말이다. 가르쳐준 치카님께 감사!

420쪽
매머드를 “홍적기 시대”에 살던 코끼리과 화석 동물이라고 했는데, 홍적기 시대란 무슨 말인가? 정확히 “홍적세”라고 써야 옳다. 홍적세는 지질학적인 시대 구분으로, ‘-기’는 ‘-세’보다 큰 단위다. 이를테면 신생대의 제4기 중 앞 시대를 홍적세, 그 뒤를 충적세라고 한다.

431쪽
실루엣을 “하나의 색조만을 사용한 도안이나 물체의 윤곽이 뚜렷한 그림자를 가리킨다.”고 했는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이 훨씬 이해하기 쉽다.

실루엣
(&프silhouette)
「명」「1」『미』윤곽의 안을 검게 칠한 사람의 얼굴 그림. 18세기 말에, 프랑스의 재무상 실루엣이 극단적인 절약을 부르짖어 초상화도 검은색만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한 데서 유래한다. 「2」『수3』옷의 전체적인 외형. ¶우아한 실루엣의 드레스. §「3」『연』그림자 그림만으로 표현하는 영화 장면. '음영'으로 순화. ¶실루엣의 기법을 잘 살린 영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437쪽
유럽(Europe)이란 낱말이 아시리아어의 ‘엘레브’에서 유래했으며 그 말은 ‘해지는 곳, 어두운 곳’이란 뜻이라고 했다. 그런데 내가 알기로 해지는 곳, 어두운 곳이란 뜻에서 생겨난 말은 Occident이고, 유럽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에우로파와 관계가 있다. 정확히 어느 쪽이 옳은지 모르겠다.

442쪽
캉캉(cancan)을 “프랑스의 속어로 ‘욕설’이란 뜻이다.”라고 했는데, 내가 가진 민중 불한사전에 따르면 cancan은 오리 울음소리를 흉내낸 의성어이기도 하고, 또 “험담, 뒷공론”을 뜻하기도 한다. 욕설과 험담은 다르지 않은가.

460쪽
“오라질”이란 말을 설명하면서 “‘질’은 ‘지다’의 원형으로 ‘묶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말이다.”라고 했다. ‘질’은 ‘지다’의 원형이란 게 무슨 말인지? 게다가 '지다'가 '묶다'는 뜻이라고? 그럼 오라를 진다는 말이 오라를 '묶는다'는 뜻이 되게? 그냥 오라에 묶이는 것을 “오라를 진다”고 할 뿐이다.

465쪽
“화냥년”에 대해서는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92361에 썼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주미힌 2005-12-30 2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감탄하면서 읽었습니다...
제가 어떤게 '정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은 없어도 숨은아이님의 한글에 대한 애정은 대단하게 느껴지네용...

瑚璉 2005-12-30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지적입니다.

하늘바람 2005-12-31 1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하세요. 숨은 아이님은 숨어서 다 관찰하시나봐요^^ 멋지십니다.

숨은아이 2005-12-31 1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주미힌님/하하, 칭찬 고맙습니다. 한글에 대한 애정이라기보다는 그냥 모르던 걸 아는 게 재미있어서 그러지요.
호정무진님/날카롭게 지적해주시는 호정무진님께 인정 받으니 기분 좋군요. ^^
바람구두님/어머나, 아니어요. 글 쓰고 책 내는 분이 있으니까 관찰도 할 수 있는 거지요. 전 누군가의 노고의 결실인 책을 읽고 의견을 낼 뿐인걸요. 이 책에서 많이 배웠어요.
하늘바람님/이렇게 열심히 조사해 책을 낸 분이 더 대단하지요. 제가 모르는 것, 잘못 알고 있는 것도 많구요. ^^

superfrog 2005-12-31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숨은아이님, 책 잘 도착했습니다..^^
벌써 4권까지 봤어요. 몰지각한 누군가가 난도질을 했지만 꿋꿋하게 보고 있습니다..^^ 엽서도 잘 받았구요, 옆지기님과 함께 숨은님도 행복하고 건강한 한해 되시길 바랄게요.*^^*

숨은아이 2006-01-01 2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금붕어님/해 안에 들어가서 다행이에요. ^^ 원래 대여점 책이었던 거라 그런 모양이에요. 우리 다 같이 행복하고 건강한 한 해~!
새벽별님/벌써 읽고 계시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