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무나 정치적인 시골살이 - 망해가는 세계에서 더 나은 삶을 지어내기 위하여
양미 지음 / 동녘 / 2024년 9월
평점 :
저자가 2022년 6월부터 2023년 8월까지 무주와 진안을 돌아다니며 취재한 내용들이다.
자본주의 구조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지위 하락과 주변화, 빈곤화가 필요하다.
자본은 여성 노동의 평가 절하를 시작으로 노동에 위계를 세울 수 있었다. 자본주의는 이를 통해 완성되었다.
학교의 내용과 형식은 모두 정치적이다. 이번 계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쟁중심의 학교 교육을 벗어나야 한다. 완전히 새로 만들어야 한다. 국제 바칼로레아 IB International education - International Baccalaureate®도입도 생각해볼 만 하다.
착취하지 않는 삶을 살고자 하는 저자의 뜻과 나는 같이한다. 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다.
테두리 노동은 공짜가 되거나 삭제되거나 저렴해지는 구역에서의 노동. 자본주의의 이익은 이곳에서 나온다. 인류는 2000년 넘게 계급사회를 유지해왔다. 위계를 만들고 희생양을 만들어 착취해왔다. 여성 노동자 문제와 비정규직 문제는 그 선상에 있다. 어떤 존재도 도시라는 상업화된 공간에서 착취와 위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에너지 문제나 쓰레기 문제만 생각해도 자명하다.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44.76%가 산다. 도시에 사는 인구는 전체의 91%다.
시골의 시스템은 무능하거나 부패했다. 지적당하지 않는 기득권은 성찰할 줄 모르고, 노골적이며 부끄러움을 모른다. 오히려 시골에서 환경과 기후위기, 젠더, 인권, 동물권 등을 말하기 쉽지 않다.
각종 지원금 사업은 '마을만들기 사업'이라는 명목하에 비리를 양산하고 고착화하기도 한다.
도시에 살면 내지 않아도 되는 빚을 시골에서 살기 위해 내야 한다. 대표적인 것이 불편한 대중교통을 대신할 자차 구입비다.
행정은 더 나은 세상을 향한 활동가들의 가치 노동을 무급화하거나 시험 능력주의에 기반한 서열주의 안에 가두고 등급을 매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