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소 - 죽음을 부르는 만찬
윌리엄 레이몽 지음, 이희정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5월
절판


제1차 세계대전 초 덴마트인들은 되지고기와 동물성 지방을 많이 섭취했다. 하지만 연합군의 경제봉쇄로 식습관을 바꿔야만했다. 그 때부터 덴마크 사람들은 기름진 육류 대신 밀기울이 섞인 빵, 곡물, 채소를 먹어야 했다. 우유는 계속 배급해주었고 치즈는 가끔 식탁에 올랐지만 육류는 거의 사라졌다. 전쟁이 끝날 즘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사망률이 그 어느 때보다 낮았다. 1917년 사망률은 1000명당 10.4명, 1914년 사의의 12.5명보다 낮았다.-261쪽

1인분 음식양증가, 신경마케팅, 치밀하게 계획된 액상과당 사용, 공장식 축산, 오염된 채소와 과일, 유독한 식품보존료 사용, 트랜스지방-291쪽

1909년 미국 잡화회사 Procter & Gamble사가 부분경화유의 발명권을 샀고, 그 기술을 이용하여 '크리스코'라는 쇼트닝을 발명. 이는 감자튀김, 비스킷, 초콜릿 바등에 사용. -292쪽

소 몸무게의 43%는 우리 식탁 위에 오르고 36%는 일상생활 용품으로 쓰인다.
가족은 구두, 가방, 지갑을 만드는데 쓰고 귀털은 붓, 나머지의 부위의 털은 가구나 바이올린 줄을 만드는데 사용. 뼈로는 칼손잡이, 발굽으로는 사탕과 디저트와 화장품에 들어가는 젤라틴을 만든다. 사진필름이나 풀을 만들 때도 아주 유용.내장과 호르몬 분비선에서는 부신피질 호르몬, 인슐린, 호르몬, 타르를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 화학적으로 변형시켜 타이어 과열을 방지하는 제품을 만들기도 한다. 지방은 비누, 껌, 사탕을 만드는데 사용.
-2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