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적절한 비유가 있을 것 같은데 가물가물 잡히지 않는다. 할 수 없이 있는 그대로 설명하자면 이런 것이다. 

내 마음에 상처가 생겼다. 처음 생겼을 때 정말이지 당황스러울 만큼 아팠다. 몸이든 마음이든 매일매일 25%정도씩 줄어드는 것만 같았다. 지금은 많이 지나갔지만, 안 그러려고 해도 이따금 되새겨져서 고통스럽다. 아마 꽤 오랫동안 그럴 거다. 그래서 나는 내 마음을 일단 외면하고 있다. 그 방식은 뭐냐면, 우선 그 일에 대해 말을 꺼내지 않는 것이다. 사정을 알거나 짐작하는 친구들에게도, 말을 하지 않았다. 설명하면서 무너지기 십상이니까 조심해야 했다! 그리고 또 생각해봤는데, 어차피 남은, 걱정을 하고, 그렇다고 말한다 뿐이지 공감은 못하는 거다. 공감한다고 해도 달라질 건 없고.  

또 하나는, 좋은 책을 읽거나 새로운 영화를 보거나 하지 않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감동을 받으면 곤란하니까. 어떤 식으로든 마음을 울리면 곤란한 상황이니까. 아주 조심해야 했다. 책을 만들면서 영혼이 필요할 때는 남의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가져다 썼다.  못났다고 애인한테 미움받을까봐 조마조마했으므로 애인한테 잘보이는 데 남은 힘을 쓰기도 약간 부족할 때도 있었다. 애인은 때로 안아주고, 때로 모른척해주고 때로 냉정하게 다그치면서도 계속 손을 잡아줬다. (대단한 남자다.)  

또 하나는, 근무 시간엔 전화통화를 하거나 동료에게 말을 자꾸 걸어서,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누군가 내 말을 듣고 있다면, 그러니까 내가 누군가를 의식한다면 내 속의 문제를 꺼낼 틈이 없을 테니까. 내 말소리를 듣기 위해서, 나는 자꾸만 이야기를 한다. 쓸데없는 말이라도 자꾸. 고통을 피하지 말고 직면해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내가 가만 누워서 생각해봤는데, 솔직히 나 정도면 이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 것 같은데, 한마디로, 닥치세요.

그러니까 당연히, 나는 서재에 들어올 수가 없었다. 글을 쓸 힘이 있나, 쓸 거리가 있나. 누가 다정하게 말 걸어주면 그걸 감당할 수가 있나. 좋아하는 친구들 보고 싶어서 눈물 쏟아지는 걸 참을 수가 있나. 남들 나누는 다정한 대화 엿보면서 샘을 안 낼 자신이 있나.  

그러다 연습장에서, 지난겨울의 낙서를 보았다. 이렇게 쓰여 있었다.

상처를 무기로 삼지 말자.    

그러게. 그래, 내가 그러진 않지. 그런데 그 아래엔 또 이렇게 쓰여 있었다.  

상처를 방패로 삼지 말자.  

 

*   

 

그러니까 나는 최소한 여러분 나 힘들어요~ 하고 징징대지도 않았고, 촐싹 맞게 난 씩씩해요! 라고 외치지도 않았다. 나 아프니까 막 할 거야, 하고 으르렁대지 않았다. 난 힘드니까 숨어버릴 거야,는 조금 아슬아슬했다. 실제로는 약간 거기 가까웠지만 용케, 아주 넘어가진 않았다! 그러니까 친구 여러분이 나를 미워하지도 않았으면 좋겠고, 걱정하지도 않았으면 좋겠어요. 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05-13 21: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노아 2011-05-13 2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상처를 무기로 삼지 말고 방패로도 삼지 말자라니, 오늘의 잠언이고 오늘의 교훈이에요.
나는 네꼬님을 미워하지 않고, 이렇게 글도 보았으니 걱정도 하지 않을 거예요.
다만 아주 반가워는 할 거예요. 보고 싶었어요. 네꼬님! 이름을 보는 순간 반짝반짝 빛이 났어요!

다락방 2011-05-13 2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겠지만, 알고 있댜는거 알지만,
나 여기 계속 있었어요.
지금도 이렇게 있고.
:)

2011-05-13 23: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섬사이 2011-05-14 0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됐어요.
내가 여기 있듯이
네꼬님도 여기 있으면
그걸로 됐어요.
왕창 반가워요, 네꼬님.

paviana 2011-05-14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가끔은 징징대거나, 으르렁거려도 되요.우리들의 네꼬님이잖아요.

나는 네꼬님을 미워하지 않고, 이렇게 글도 보았으니 걱정도 하지 않을 거예요.
다만 아주 반가워는 할 거예요. 보고 싶었어요. 네꼬님! 22222

2011-05-14 1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치니 2011-05-14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앙!!!!!!!
그러니까, 이제는 그래도 초큼, 초큼 나아진 거죠? ㅠㅠ 그렇다면 참 좋겠어요.
사랑해요, 네꼬 님.

세실 2011-05-14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네꼬님....꼬옥 안아줄께요. 힘내세요.
그런데 고미숙씨는 힘들면 힘들다고 말을 하라네요.
참기 힘들면 말해요.

레와 2011-05-17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부가 궁금했어요. 토닥토닥토닥토닥..

네꼬 2011-05-18 1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모두 감사합니다. 으쓱. 뻔뻔. 으쓱.

무스탕 2011-05-18 2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난 지금에야 이 글을 봤어요. 왜 이렇게 된거지? 곰곰 따져보니 지난 토요일에 시어머니 생신이라서 시댁엘 다녀왔네요. 토요일 내려갔다 일요일 올라왔다 월요일 출근했다 어제도 출근했고.. 그러니 날짜는 자꾸자꾸 흘러가서 서재 브리핑엔 뜨지 않았고 네꼬님의 정성이 애정모드 따라와서 오늘 본거에요. 어머, 울뻔했어요.

네꼬님을 미워하지도 걱정하지도 않아요.
다만, 조금 아니 꽤 궁금했어요.
그건 친구로서 당연한거 아니에요?

잘 왔어요. 안아줄게요. 댓가로 고릉고릉만 해주시면 되어요 :)

2011-05-23 10: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moonnight 2011-06-24 16: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어. 저 이제야 이 글을 봤어요. ㅠ_ㅠ
고통을 피하지 말라고 직면하지 못하면 비겁자라고 그러는 사람들이 있어요. 저도 닥치라고 말하고 싶을 때 많았지만 그러지 못했어요. 네꼬님 글을 읽으며 괜히 막 용기가 나요. 고마워요. 그치만 전 네꼬님처럼 의연하게 버티지 못했어요. 상처를 무기로 삼지 말고 방패로도 삼지 말고. 그렇게 하는 것이 정말 더 용기있는 행동인데, 그러지 못하고 주위의 사람들을 괴롭혔네요. 나 힘들어. 나 상처받았어. 너도 그만큼 아프란 말이야. 이러면서요. 바보바보.


제가 맘에 드실진 모르겠사오나 저도 네꼬님 꼭 안아드리고 싶어요. 지금에라도. 좀 늦었더래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