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한 번의 방송분이 더 남은 <무한도전> 프로레슬링 에피소드는 나처럼 오랫동안 이 프로그램을 보고 사랑해온 팬들에게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감동을 주었다. 연기자들을 혹사시키다시피 하는 김태호 PD가 너무한다는 생각도 적지 않았지만, 뭔가 이유가 있을 거야 하고 있다가 아 그럼 그렇지 하고 (이번에도) 그만 무릎을 꿇고 말았다. '평균 이하 남자들'의 무모한 도전들이 쌓이는 동안 시청자들이 그들에게 정들게 하고 연기자들을 성장시키고 마침내 쇼의 제작자와 시청자 경계를 지운다는 것은, 이론 또는 이상으로는 가능한 시나리오일지 모른다. 그러나 그것을 실제로 이루어내는 것은 다른 얘기다. 옛날에 릴케는 로댕의 작품들을 찬양하면서, 조각을 할 때도 저울이나 무기를 만들 때처럼, 외관을 통한 효과를 중시하는 것보다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무한도전>은 잘 만들었기 때문에 좋은 프로그램이다. 매체와 장르를 떠나 '잘 만든' 프로그램은 이렇게 어떤 대작 예술영화처럼 감동을 준다. 그것은 (텐아시아 강명석 기자의 표현대로) 5년간 지켜보아온 팬들만이 알 수 있는 기적이기도 하다.
그러면 김태호 PD는 어떻게 이렇게 쇼 프로그램을 잘 만들었나? 나는 무엇보다 그가 자기만의 말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연기자와 스탭들을 다독이고 설득하고 믿고 기다리는 것을 포함해서 시청자들이 때로 오해하고 멀어지고 돌아오도록 기다리면서, 실없는 게임과 인내를 요하는 장기 프로젝트를 병행하면서, 실패한 에피소드를 스스로 희화화 하고 자랑스러운 순간에는 마음껏 뽐내면서, TV라는 매체를 자신에게 제일 좋은 방식으로 이용해서 '쇼'로서 '쇼'를 말했다. 지난주, 음악도 조명도 없는 무대 밖에서 연기자들이 토하고 쓰러지고 실려갈 때, 영문을 짐작도 못하는 관객들은 무대의 화려한 쇼에 기뻐하며 함성을 질렀다. 부상에도 불구하고 무대에 오른 연기자가 악역을 수행할 때, 역시 아무것도 모르는 관객들은 악의 없이 그러나 마음놓고 야유를 퍼부었다. 뚱보라고 놀림 받는 두 덩치-그것도 곧잘 구설수에 오르는 한 사람과 개성 없다고 무시당하는 한 사람-들이 서로에게 기대어 흥분한 관객들이 기다리는 무대에 오를 준비를 하는 뒷모습은 또 얼마나 많은 것을 말하던가. 이 시대 광대들에 대한 솔직한 보고서이자 경외에 가까운 찬사. TV 프로그램 PD만의 말하기 방식이었다. 이 천재 혹은 악마 연출자에게 나는 경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어제는 자기만의 말하는 방법이 있는 건 얼마나 부러운 일인가 생각하면서 소고기 감자국을 끓이다가 (응?) <배철수의 음악 캠프>에 게스트로 나온 작가 미치 앨봄의 말하는 방식에 또 무척 감명을 받았다. 배철수 아저씨는 미치 앨봄의 이야기를 듣다 말고 "근데 이상하게 오늘은 제가 영어가 들리네요"라고 말했다. 이 현명하고 사려 깊은 작가는 정말 쉬운 단어로, 복잡하지 않은 문장으로, 돌리지 않은 표현으로 조곤조곤 자기 생각을 말했다. 아주 좋은 말하기 방법이었다. 새삼스러운 얘기지만 말의 내용만큼이나 말하는 방법이 중요하구나. 쓰느니 보도자료, 쓰느니 광고 카피, 쓰느니 메일이라 글쓰기에 부쩍 의기소침해졌던 네꼬 씨는 기운을 내서 내 식대로 말하고 글쓰기를 속개하기로 마음 먹었다. 네꼬 씨 식의 글쓰기란 대체로 실없는 농담에 가깝고 억지스러운 비유와 과장이 난무한 것이지만 적어도 솔직하긴 한 것. 이런 생각을 하게 해준 많은 분들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천년만의 페이퍼(이것봐 또 과장)를 마무리 짓느라, 오늘 적어두려고 했던 몇 권의 책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으로 미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