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거짓말 창비청소년문학 22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훌륭한 책은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책이라고, 누가 한 말을 주워들은 적이 있다. 아마 카프카쯤 될 것이다. 말하자면 얼음을 깨는 도끼 같은 책이어야 한다고 했던가, 그랬다. 그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나는 기분이 좋지 않았다. 무슨 독서가 그렇게 고통스러워야 돼? 유쾌한 책만 읽으려고 애를 써도 할 수 없이 고통스러운 책은 만나게 마련이다. 액션 영화만 보려고 티비 채널을 열심히 돌려도 이따금 가슴이 먹먹한 영화의 한 장면을 마주쳐야 하는 것과 비슷하다.  

이 책이 카프카가 만족할 만큼 좋은 책일지, 무섭게 말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말처럼 어딘가 아쉬운 점이 있는 책일지, 어쩌면 '자살, 우정' 이 얽힌 짐작하기 쉬운 청소년소설일지, 모르겠다. 내가 아는 건 이 책을 읽는 동안 너무 많이 울었다는 것이다. 고통스러워서 울었는지, 울어서 고통스러웠는지 모르겠다. 다만 편집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네, 저는 지금 사적인 이유로 이 글을 쓰고 있어요) 리뷰를 써야 했고 그래서 다시 책을 들추어야 했을 때 그러고 싶지 않을 만큼, 이 책은 나를 고통스럽게 했다. 왜일까? 가까운 친구의 은밀한 괴롭힘을 견디지 못해 자살한 천지가 불쌍해서? 딸을 가슴에 묻고도 바로 그 슬픔 때문에 씩씩하던 엄마가 "아가! 좋은 배 타고 편히 가거라!" 라면서 흔들리는 장면 때문에? 죽지 않고서는 풀리지 않는 비밀들이 실타래처럼 풀려나는 것이 한스러워서? 친구를 죽게 한 화연이의 못된 방황이 안타까워서? 글쎄, 그럴 수도 있고 다 아닐 수도 있다. 내가 고통스러웠던 것, 내가 운 것은 어쩌면 다른 이유.  

안다고 말하지 마라. (어떤 독립영화의 제목이었지요.)

그래,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제일 깊은 상처를 준다. 너 힘든 거 내가 안다, 너 아픈 거 내가 안다, 너 속상한 거 내가 안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제일 가까운 사람들-이를테면 가족, 베스트 프렌드, 애인들-이 제일 결정적인 상처를 준다. 왜? 어디를 찔러야 제일 아픈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하는 것은 평소의 네꼬씨와 어울리지 않은 줄 알아요. 이게 다 술의 힘이랍니다.) 나는 그런 것이 늘 싫었다. 가까운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면 나는 물러설 곳이 없었다. 언젠가는 들고 있던 젓가락을 집어던지고 싶을 만큼, 그런 말에 화가 난 적도 있었다.(친구 여러분을 실망시켜서 미안합니다만, 저도 이따금 난폭한 고양이라고요.)  

그래도 너는 씩씩하니까 괜찮겠지, 라고 말했던 친구가 있다. 내가 불행을 잘 이겨내고 있는 걸 확인하고는 너는 겉으로는 멀쩡하면서 속으로 약한 게 탈이야, 라고  말했던 친구도 있다. 아, 참, 구체적인 예가 떠올랐네. 재수를 하는 나를 막 걱정해놓고 막상 내가 대학에 합격하자 뭐 꼭 재수까지해서 좋은 학교 갈 필요 있나 싶어, 라고 말한 친구도 있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고통에 앞에서 겸손해져야 한다. 그것이 손에 가시가 박히는 통증이든, 내일 모레 죽을 사람의 절망이든. 이렇게 쓰고 보니 나에게도 물어보게 된다. 그래서 너는 네 친구들에게 언제나 조심해왔니? 친구의 고통을 알면서도 그 고통을 확인함으로써 네가 행복하다는 걸 확인하기 위해서 우아하게 괜찮냐고 물어본 적이 없니? 성급하게 위로하기 전에 친구의 신음소리를 경청해봤니? ...... 그래서 내가 지금 맥주를 이만큼이나 마신 거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넛공주 2009-12-14 2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다고 말 못해요.만나주지도 않는데 어떻게!버럭!

네꼬 2009-12-15 13:26   좋아요 0 | URL
버럭! 하시지 말고 조만간 뵈어요. 그러게, 안다고는 말씀 마시고.. (응?)

다락방 2009-12-14 2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네꼬님의 이 리뷰에 가만가만 추천을 하고 가요. 왜냐하면요, 추천하지 않을 수가 없거든요.

네꼬 2009-12-15 13:26   좋아요 0 | URL
어휴, 다락님. 제발 제 서재에 오실 땐 쿵쾅쿵쾅해주세요!

섬사이 2009-12-15 07: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니까, 완득이 때보다도 좋아졌단 말이죠?
음... 읽고 그냥 확 울어버릴까요?
다들 좋다고 하니까 궁금해 죽겠네요. ^^

네꼬 2009-12-15 13:27   좋아요 0 | URL
음.. 꼭 완득이보다 이 작품이 좋아서라기보다.. 작가의 마음 한편을 엿본 기분이랄까요? 하여간 제 주변에 운 사람 많아요. 섬사이님은 어떠실지!

무해한모리군 2009-12-15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슬픈 소설은 안읽을라 그랬는데..
참 좋은 리뷰예요.
고기를 같이 먹으면 네꼬님을 더 알고싶은 마음이 생길거 같긴해요 ㅎㅎㅎ

네꼬 2009-12-15 13:28   좋아요 0 | URL
휘모리님이랑 고기를 같이 먹는데, 뭐 더 알고 말고 할 거 있겠어요? 우리 만나서 같이 고기에 대해 알아볼까요? (뭐래?)

치니 2009-12-15 1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프카의 저 말은, 카프카를 통해서가 아니라 최승자 시인을 통해서 알았어요. 저도 그때 입이 삐죽 했지만, 잊혀지지 않아요.
휴, 고민이네요, 내용상 읽고 싶지 않지만 네꼬님이 이렇게 쓰시니 읽어볼까 싶기도 하고.

네꼬 2009-12-15 13:28   좋아요 0 | URL
저는 대학 때 철학 수업에서, 역시 시인인 진은영 선생님 통해서요. (^^) 저는 입을 삐죽이면서 심지어 받아적기까지..-_- 읽어보세요, 읽어보세요, 하린군하고 같이 읽어보세요.

희망찬샘 2010-01-01 14: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최근 들어 가장 집중해서 읽은 책! 무척이나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잠자리를 뒤숭숭하게 한 책! 바로 어제 저녁에 눈 빠지게 읽었습니다. 리뷰 쓰기 전에는 네꼬님 글 읽지 말아야겠어요. 지금 저도 리뷰 쓰려고요.
네꼬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라고 들어 와 봤어요. 좋은 일 가득 만나시는 한 해가 되길 빌어요. ^^

네꼬 2010-01-04 11:16   좋아요 0 | URL
샘님, 안녕하세요? 으와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으와아는 왜?) 이 책을 읽고 저도 한동안 마음이 싱숭생숭했어요. 잘은 모르지만 그런 뜻에서라도 좋은 책인 것 같아요. 새해에는 희망찬샘님도 저도 좋은 책 많이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아울러 좋은 책을 통해서 우리 둘도 많이 만나고요!)

2010-01-15 07: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잘잘라 2010-06-21 14: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꼬님의 리뷰, 계속 읽게 되네요..
스윽-
바람도 없는데 문이 열리면, 공포영화가 따로 없는데..
스윽- 저도 모르게 마음 문이 열려버렸으니..
아아.. 네꼬님 무서워요. 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