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는 일 년에 두 번 정도 만나는 절친한 친구 A가 있다.'절친'하다기에는 적게 만나는 셈인데 심지어 만나지 않는 동안에 통화는커녕 메일도 문자도 주고받지 않는다. 블로그를 오가는 것도 아니다. 그러다 느닷없이 만나서는 아무렇지도 않게 술을 마시러 간다. 술을 마시는 동안 우리는 서로의 친구이자 애인이며 가족이고 선배이자 후배이며 동지가 된다. 연락 좀 하고 살자거나 하는 의례적인 반성은 물론 하지 않는다. 어제 만났을 때도 그랬다. 따져보니 이번엔 8개월 만에 만났다. 우리는 조개탕과 쇠고기구이를 놓고 생(生) 백세주를 마셨다. 밀린 연애사와 가족 이야기, 회사 이야기,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쏟아내느라 둘이서도 순서를 정해야 했다. 역시 그는 정치적으로 올바른 인간이면서 다정한 사람이었고 술을 잘 먹고 내 유머를 알아듣는 친구이자 외모와 목소리까지 내 마음에 쏙 드는 애인이었다. 우리는 만나면 다 좋다. 굳이 하나 문제가 있다면 밀린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술도 8개월치를 먹게 된다는 것 정도?
그래서 어제도 자정을 가뿐히 넘겨 술잔을 (끝도 없이) 기울였다. 아침(이라기도 뭣한 시간)에 일어(났다기보다 깨어)나니 도무지 내가 사람인가 싶다. 눈은 떴으되 술이 가득 담긴 욕조에 머리까지 담그고 있는 기분이다. 천근만근인 몸을 일으켜 앉아 생각했다. A하고는 다 좋은데 술을 너무 많이 먹게 되는 게 문제야. 다음에 만나면 12시 전까지만 마시자고 할까보다. 그럼 너무 야박하게 들리려나? 아냐 A도 그걸 바랄지 몰라. 아, 지금쯤 A가 나를 원망하며 다시 네꼬를 만나나 봐라 하고 다짐하고 있는 거 아닐까? 술이 문제야, 술이. 나는 왜 술꾼인 걸까? 왜 술꾼의 집안에서 태어나 이 운명을 짊어지고 사는 걸까? 하여간 이대로라면 A는 날 떠날지도 몰라. 술이 문제야, 술이.
그러면서 방에서 기어나와(은유적인 표현이 아님) 싱크대를 짚고 일어나 찬장을 열었다. 그리고 그 순간, 내 운명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한밤중에 목이 말라 냉장고를 열어보니 어머니가 사다 두신 고등어가 있더라고, 김창완 아저씨가 노래했지. 이런 마음으로 그는 어머니께 노래를 바친 것일까? 그렇다면 나도 나의 동거녀에게 노래를 지어 올려야 될지 모르겠다. '황태라면'이라니. 나는 이런 라면이 있는 줄도 몰랐는데, 어제 장을 본다던 동거녀가 사다 둔 모양이었다. 나는 당연히 이 라면을 끓였다. 냄새가 우선 나에게 다가오는 새 운명의 서막을 열었다. 나는 그렇게 사랑에 빠졌다.
'얼큰한'이라는 겸손한 표현으로 묘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라면. 그 맛에 대해서는 섣부른 언급이 행여 해를 끼칠까 두려워 말하지 않으련다. 다만 나는 이 라면을 먹으며 지나간 술꾼의 아침을 보상 받는 기분이었다. 술을 마시고 몸이 힘든 것도 고된데 지난 밤의 나를 미워하고 반성하게 했던 그 수많은 아침들을 그분이 알고 계셨다. '네 잘못이 아니야'라고 그분이 말씀해주셨다. 어디선가 음악 소리가 들렸던 것도 같다. '위로받는다는 생각'. 냄비를 비우는 동안, 억눌렸던 마음이 서서히 풀어졌다. 그래, 술을 마시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다시 당당해지자. 나에겐 그분이 있다.
이렇게 해서 A는 앞으로도 나의 친구이자 애인, 가족이자 동료이자 동지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이례적인 일이지만, 월요일에는 그에게 메일을 써서 황태라면에 대해 간증해줄 참이다.) 나는 일어나 청소를 하고 목욕을 하고 저녁에 집에 오기로 한 손님들을 기쁜 마음으로 맞이할 수 있게 되었다. 술을 마신 다음 날도 인간으로 살 수 있게 된 것이다. 남의 비난보다 무섭다는 '자책'으로 수많은 아침을 허비하였을 전국의 술꾼들과 연말 술자리의 피로로 당황하고 있을 일반시민들께 전도하는 마음으로 이 라면의 일식(一食)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