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댁이 걸어서 3분 거리에 있지만 직장을 핑계로 주말에 잠깐 가게 된다. 지난 주말에 갔더니 아버님이 유난히 수척해지셨다. 등도 굽으셨고 팔 다리가 새처럼 가늘어지셨다. 한때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교육청의 한 획을 그으셨던 분인데(교육감은 아님) 지금은 그저 연로한 힘없는 노인의 모습이었다. 보림이도 할아버지 보고 싶어해서 함께 갔다가 눈물만 글썽거렸다. 문득 "돌아가시고 난뒤에 후회해도 소용없다"는 진리가 떠올랐다. "그래 결심했어!"
난 집으로 오자마자 어제부터 불린 누런 콩이랑 서리태 콩을 삶기 시작했다. 끓기 시작할때부터 2분만 삶으라고 했으니 타이머 돌려놓고 기다리자 하얀 거품이 뭉게뭉게 떠오른다. 불을 끄고 콩물은 따로 놓은뒤에 찬물에 씻기 시작했다. 바가지에 비비면 콩껍질이 벗겨진다고 해서 살살 문지르니 껍질이 동동 떠오른다. 벗겨졌나 만져보니 껍질은 대부분 그대로 있다. 이런....결국 한개씩 껍질을 벗기기 시작했고 내 인내심은 점점 한계에 다다랐다. 꼭 이렇게 해야돼? 하고 네이버를 검색해보니 까야 한단다.
힘들었지만 아버님을 기쁘게 해드린다는 생각으로 긍정의 힘을 모아 껍질을 다 깠고, 따로 남겨둔 물을 붓고 소금을 넣어 믹서기에 곱게 갈았다. 서리태 콩물이 섞여서 국물은 연한 연두빛을 띄며 먹음직스러웠다. 한 수저 입에 떠 넣으니 "와 바로 이 맛이야!" 첫 작품치고는 환상적인 맛이었다. 그래 음식은 정성이야.
기쁜 마음으로 콩국물과 생칼국수를 들고 시댁으로 뛰어가 "제가 아버님 드리려고 콩국물 만들어 왔어요. 콩껍질 까느라 정말 힘들었어요." 하며 온갖 생색은 다 냈다. (나 스무살 새댁인거니?) 어머님도 기특한지 "콩껍질을 힘들게 어떻게 깠어. 아버지 콩국물 좋아하시는데 잘했다...." 하며 기뻐하셨다. 므훗!
그리고, 주말내내 삼계탕 끓이고 갈비 김치찜, 요구르트 만들고 더치 커피도 내리고, 야클님이 자랑한 양파 와인도 만들어 냉장고에 한가득 쟁여 놓았다. 싸구려 레드 와인에 백원짜리 양파 4개 넣고 만들었다. 모처럼 엄마 노릇, 며느리 노릇 열심히 한 주말이었다. 아침 9시부터 저녁 7시까지 앉아 있을 틈도 없었다....... 많이 힘들긴 했다.
수제 요구르트, 양파 와인, 더치커피, 콩물

2.
시골 도서관이지만 무언가 엄마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지인과 뜻을 모아 '인문학 서평쓰기' 과정을 개설했다. 걱정스러운 마음에 우리도서관 프로그램 강사 중 관심이 있을 듯한 두 분도 반강제로 포섭(?)하고, 나름 열심히 홍보한 결과 첫 모임에 11명이 참석했다. 기대 이상의 성과이다. 참여 이유를 들어보니 "아이 교육이 아닌 나를 위한 교육을 받고 싶었어요.", "그동안 인문학 책읽기에 목말랐어요.", "도시에서 살다가 시골에 오니 가장 안타까운 부분이 깊이있는 책읽기였어요" 등 기대 이상의 대답이 나온다.
모임중 유일한 남자이면서 나의 자랑스러운 지인이기도 한 이센터장님은 인문학에 대한 개론적 설명을 한다. 인문학의 기본은 '중용'입니다. .....(중략)......우리가 살아가면서 중용이 지켜지지 않으면 안되요. 그래서 첫 책은 중용으로 했으면 합니다. 자기 소개 시간에 우리도서관 우쿨렐레 강사인 샘은 즉석에서 플룻 연주를 들려 주신다. 그렇게 우리 모임은 단번에 수준이 높아졌다.
중용은 공자의 손자로서 역사적 존재성이 확실한 자사라는 대사상가에 의하여 일관된 의도를 가지고 지은 역저.
'중용'을 읽고 "일상적 삶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은 사람은 결코 '중용'을 읽지 않은 것이다.
제1장 천명장(天命章)
희노애락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상태를 중中이라 일컫고, 그것이 발현되어 상황의 절도에 들어맞는 것을 화和라고 일컫는다. 중中이라는 것은 천하의 큰 근본이요, 화和라는 것은 천하 사람들이 달성해야만 할 길이다. 중中과 화和를 지극한 경지에까지 밀고 나가면, 천天과 지地가 바르게 자리를 잡을 수 있고, 그 사이에 있는 만물이 잘 자라나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탁월성은 이성적 선택과 결부되어 굳어진 품성의 상태이며, 중용, 즉 우리 삶과 상관관계에 있는 중용에서 구현되는 것이다. 이 중용은 어떠한 합리적 원리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은 그 이성적 원리에 의하여 그리고 행위와 관련하여 결정함직한 방식으로 중용을 결정하게 된다. 중용이란 어디까지나 두 악덕 사이의 중용이다. 하나의 악덕은 과도함에 의존하고, 또 하나의 악덕은 결핍에 의존한다. 그리고 또 그것이 중용인 까닭은 악덕은 우리의 감정과 행위에 있어서 옳은 것에 미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넘어서지만, 탁월함(덕)은 중간의 것을 발견하고 선택하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탁월함은 그 실체와 그 본질을 규정하는 정의에 있어서는 중용이지만, 최선의 것과 가장 옳은 것을 추구 한다는 점에서는 정점(극단)을 따르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중용'이란 이런 것이다.
용기는 비겁과 만용의 중용이며, 너그러움은 낭비와 인색의 중용이며, 긍지는 허영과 비굴의 중용이며, 기지는 익살과 아둔의 중용이며, 겸손은 수줍음과 몰염치의 중용이다.
Now in everything the pleasant or pleasure is most to be guarded against
제22장. 천하지성장(天下至誠章)
오직 천하의 지극한 성誠이라야 자기의 타고난 성을 온전히 발현할 수 있다. 자기의 타고난 성을 온전히 발현할 수 있게 되어야 타인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가 있다. 타인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어야 모든 사물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다. 모든 사물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어야 천지의 화육을 도울수 있다.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어야 비로소 천과 지와 더불어 온전히 일체가 되는 것이다.
제23장. 기차치곡장(其次致曲章)
다음으로 힘써야 할 것은 치곡致曲의 문제이다. 그것은 소소한 사물에 이르기까지 모두 지극하게 정성을 다한다는 것이다. 그리하면 소소한 사물마다 모두 성誠이 있게 된다. 성誠이 있게 되면 그 사물의 내면의 바른 이치가 구체적으로 형상화된다. 형상화되면 그것은 외부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드러나게 되면 밝아진다. 밝아지면 움직인다. 움직이면 변한다. 변하면 화한다. 오직 천하의 지성이래야 능히 화할 수 있다.
* 역린에서 인용한 명대사라 더 와닿는다.
중용. 어렵긴 하지만 이제라도 읽으니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