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만 알아도 띄어쓰기의 반은 넘은 셈 2


- 품사의 궁합




우리가 체언과 용언, 어간과 어미를 잘 알아야 하는 이유는 이들이 각 문장 성분을 배열하는 뼈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똑같은 말도 체언과 어울리느냐 용언과 어울리느냐에 따라 띄어쓰기를 달리 하기 때문입니다. 이 성분들이 점집에 갔습니다. 왜냐구요? 궁합을 보기 위해서죠.


체언을 먼저 알아봅시다. 체언은 오만한 귀족입니다. 왜냐하면 자립성이 굉장히 강하기 때문에 다른 말이 오지 않아도 웬만한 의미는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어에서는 ‘자립성’이 강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띄어쓰기의 적용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2항 아시죠? 다른 것은 몰라도 한글맞춤법 제1,2항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겁니다.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에 나오는 ‘각 단어’라는 것은 ‘자립성을 갖춘 단어’를 말합니다. 일단 모든 명사는 자립성을 갖추었습니다. 자립성을 갖추었다는 것은 그 말만으로 내용 전달을 할 수 있거나 뒤에 다른 말이 오지 않아도 말이 성립되는 것을 일컫습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의존명사, 단위명사 등 명사족은 모두 자립성이 있으며, 관형사와 부사도 자립성이 있습니다.




조사(서술격 조사 포함), 접사, 연결어미 등은 자립성이 없기에 다른 말 옆에 기생하지 않으면 혼자 설 수 없습니다. 특히 조사(祖師)는 기생족들의 왕입니다. 이는 체언에도 붙고, 용언에도 붙고, 부사에도 붙고, 조사끼리 붙기도 합니다. 누군가 ‘-었-’이라고 하거나 ‘-이다’라고 말하면 무슨 뜻인지 전혀 모르겠지요?




①나는 그것을 잘 ②한다는 말을 ③반드시는 아니지만 그 ④사람만큼은 할 수 있다고 공언할 수 있다.




①은 조사가 체언에 붙은 경우, ②는 용언에, ③은 부사에, ④는 조사(만큼+은)에 붙은 경우입니다.


특히 한 단어가 어떤 때는 의존명사로 어떤 때는 조사로 활용되기도 하는데, 대표로 ‘뿐’을 봅시다. ‘뿐’은 체언과 놀 때는 조사로 쓰여 서로 붙여 씁니다. 하지만 용언과 어울릴 적에는 ‘의존명사’로 쓰여 띄어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의존명사는 명예로운 명사족이므로 자립성이 투철할 뿐만 아니라 용언도 역시 하나의 단어이므로 서로 다르고 자립성 있는 단어끼리는 띄어 써야 한다는 원칙에 의해 띄어 쓰게 됩니다.




나만큼은 아니지만 그도 그것을 할 수 있을 만큼 자랐다.




앞의 ‘만큼’은 ‘나’라는 체언 앞에 조사로 활용돼 붙여 쓰지만 뒤의 ‘만큼’은 ‘있을’이라는 용언 뒤에서 ‘의존명사’로 활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있을’에 있는 ‘ㄹ’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이것은 ‘있다’의 어간과 결합해 앞 말이 관형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입니다. 국어사전에 ‘ㄹ’이나 ‘ㄴ’의 쓰임도 자세히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에는 이런 품사를 휘두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