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삶에 걸고 있는 기대는 진실로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삶이 우리들에게 걸고 있는 기대인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이 책은 내가 첫 번째로 잡은 심리학 책이다. 이 후로 나의 심리학적 지식은 하나도 덧붙여지지 않았다. 꽤 오래 전부터 심리학을 읽고 싶다는 생각을 가졌는데, 그것은 근본적으로 문학 작품을 만들어내거나, 정치제도나 광고 등을 위한 필수 요소라는 의미로 내게도 필요한 지식이었다.

빅터 프랭크의 심리학은 '실존 심리학'이기에 더욱 끌리는 바가 있다. 그는 책의 지면 내내 프로이트를 비판하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프로이트가 심리학을 '해부학' 또는 '자동차 부품학' 정도로 왜곡시켰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요즘 이래저래 욕을 많이 먹는 것 같다. 심리학의 원리는 '실존과 실존' 혹은 '실존과 세상'이 부딪히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어떤 사람의 행동 양상에는 그것을 이끄는 '기제'가 있을 수 있으나, 그것을 의인화시키는 순간부터 심리학의 대상은 '인간'이 아니라 '부속품'이 된다. 프로이트 식으로 수십 년 동안 치료를 받고도 치유되지 못하는 까닭은 심리 치료사가 환자를 '인격'으로 본 것이 아니라 '환부'로 보았기 때문이다. 환부와 환부는 부딪칠 수 있다.

목숨을 살리기 위해 다리를 자를 수는 있지만, 그것은 궁극적으로 그 사람의 '생명'을 치유한다는 근거 위에 있지만, 프로이트 식으로 따지면 그것은 '지독한 모순'이 된다.

이들이 전혀 다른 양상으로 심리를 논하게 된 까닭은 그들의 환경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빅터 플랭클은 인생의 경험이나 억압에 상처받은 수준이 아니라, 하루하루 생사를 알 길 없는 '수용소'에서 3년을 살아왔다. 무엇보다도 그를 괴롭힌 것은 생사의 갈림길 안에서 목격한 정서적 공황 상태였을 것이다.

1. 수송은 수용소의 일정한 수의 죄수들을 다른 수용소로 이송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된다. 그러면 모두들 최종 목적지는 당연히 가스실이 될 것이라고 쉽게 추측을 했다. 병자나 일을 할 수 없는 연약자들 가운데서 뽑힌 사람들은 가스실과 화장터가 설치된 중앙의 대수용소로 옮겨지리라는 것이다. 이 선발 과정은 모든 죄수들 상호간, 혹은 떼를 지은 집단끼리의 제약 없는 싸움에 불을 붙이는 도화선이 되었다. 모든 사람들은 한 사람이 구원받으면 다른 한 명의 희생자가 채워져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자기의 이름이나 자기의 친구를 희생자 명단에서 지우려고 아우성을 쳤다.
한 번에 몇 명의 포로가 수송되느냐, 하는 것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 수송되는 죄수들은 한결같이 하나의 번호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 숫자만 채워지면 되었지, 누가 수송되느냐 하는 것은 아무도 상관하지 않았다.

2. 나는 발진 티푸스 화자로서 얼마간 오두막집 병실에서 보낸 적이 있다. 티푸스 환자들은 높은 열이 올라 혼수상태에 빠져들곤 했으며, 많은 환자들이 산송장이었다. 그들 가운데 한 사람이 막 죽고 난 후 곧이어 벌어지는 광경에도 나는 전혀 정서적인 좌절감을 맛보지 않고 지켜볼 수 있었다. 한 환자가 죽고 난 후 벌어지는 광경은 되풀이되었던 것이다……모두 차례로 여전히 체온이 남아 있는 시체 곁으로 다가간다. 한 사람이 불결한 감자밥의 찌꺼기를 움켜잡았다. 다른 한 사람은 시체의 종이 가죽으로 만들어진 신발이 자기 것보다 낫다고 생각하고 바꾸어 신었다. 세 번째의 사내는 죽은 자의 코트를 자기의 것과 바꾸어 입었고, 또 다른 한 사람은 진짜 노끈을 약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흐뭇하게 여겼다. 상상이나 해보라, 이 얼마나 끔찍한가!
이 모든 광경을 나는 무관심으로 지켜본 것이다.

극단적인 환경 속에서도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의 모습은 마치 영성처럼 느껴졌을 것이다.

'로고데라피'라는 용어는 그가 도입하였는데, '로고스'에는 '의미'와 '진리', '심령'이라는 뜻이 있다고 한다. 그러니까 그의 로고데라피 치료법은 환자의 억압 기제를 약화시키기 위해 '장래'에 충족되어야 할 의미와 임무를 각인시키거나, 현재의 상황을 '환기'하도록 만든다. 장애를 가진 아이와 단 둘이 남아 자살하려는 어머니에게 '그 아이의 생명'의 권리를 주지시키거나, 80세의 부유하지만 자식이 없는 노파라는 설정을 통해 지금의 현실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또는 30년 동안 정부 관료로 지내면서 억업과 스트레스, 상처로 고통받는 사나이(그는 그 고통의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었다)에게 직업을 바꾸라고 권하는 것은 '직관'에 의지하는 바가 크지만, '같잖은 분석'보다는 환자를 위해 유익할 수 있다. 그러니까 '화가'처럼 그림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안과의사'처럼 그림을 볼 수 있게 눈을 열어주는 것이다. 즉 그가 보지 못하는 부분을 소통시켜 그 스스로 눈을 뜰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로고데라피의 미덕이다.

로고데라피가 심령적이라 하는 것은 인간이 의미있어 하는 실존적 '열망'이나 '좌절' 등과 같은 문제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무의식의 뿌리와 원천을 더듬어 올라가는 ‘본능적’인 견지에서 다루려 하지 않고 심령적인 견지에서 진지하고도 열의 있게 다룬다'는 것이 심령적 요법의 핵심이다.

인간은 한정된 지적 능력을 초월할 수 있다. '합리적인 설명으로 이해할 수 없는 삶의 절대적인 무의미함을, 그의 무능력을 견뎌내야 한다는 것'이기에 '로고스'는 '논리'를 넘어서 있다.

이처럼 나의 인격을 존중해주는 심리치료사를 만난다면 나는 스스로 '정신치료 희망자' 그러니까 '정신병자'가 될 용의가 있다.

이 책은 3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부마다 따로 출판된 적이 있다. 1부는 그의 '로고데라피' 이론의 풍부한 예시가 될 만한 내용이다. 즉 그가 죽음의 수용소에서 맞닥뜨리고 견뎌냈던 3년간의 일상이 수록되어 있는 보고서이다. 여기서 우리는 이미 2부와 3부의 내용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2부와 3부는 '로고데라피'에 관한 본격적인 견해가 나와 있다. 그가 30분의1도 안 되는 지독한 생존률의 지옥을 견뎌낼 수 있었던 이유는 분명하다. 그는 수용소 생활을 피해의식적으로 무의미한 시간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좀 더 분명하고 의미있는 시간을 살았다.

“이 세상에서 내가 두려워하는 한 가지 사실은 내가 겪어야 하는 괴로움이 헛된다는 것, 오직 그것뿐이다.”
이 말은, 강제수용소에서 최후의 내적 자유는 상실할 수 없다는 사실을 행동으로써, 고통과 죽음으로써 증언을 해준 순교자들을 알게 된 이후, 빈번하게 나의 마음속에 떠오르곤 하였다. 그러니까 그들이 받은 고통은 보람찬 것이었고, 그들이 고통을 참고 견뎌 낸 방법은 순수한 내적인 성취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빼앗길 수 없는 심령적 자유야말로 삶을 의미 있고 목적이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