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김용민 화백의 휴가

김용민 화백이 '또' 휴가를 떠났다.

경향신문을 보면서 내 신문보는 습관이 바뀌었다.

예전에는 스포츠면부터 보기 시작하다가,

혹시나 해서 1면부터 보는 거였는데,

이제는 만평부터 보게 된다.

그것으로도 성이 안차 전날 저녁에 몰래 다음날의 만평을 훔쳐보기까지 한다.

다른 신문도 그러는지 모르겠는데, 인터넷 신문은 다음날 기사를 미리보기할 수 있어서 좋다.

그런데 '다음날 만평'이 실리지 않은 날은 1. 토요일 저녁, 2. (앗! 갑자기 까먹었다), 3. 김용민 화백의 휴가이다.

특히 내가 얼마 전에 있었던 김 화백의 휴가일을 기억하는 것은 경향 만평을 그만큼 찾는다는 말도 된다. 군에서는 이런 경우를 '땡보'라고 하는데, 군 생활 내내 그런 소리 많이 들었던 것 같다. 병 인사를 (겉으로만) 좌지우지하는 '병 인사 관리병'이었기 때문에..
아무튼 김 화백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은 아닌지 괜한 걱정이 들기도 한다. 경향 관계자에게 몰래 물어볼까? 혹시 알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귀띔이라도 좀...

그런 의미로 최근 만평 중 기억나는 혹은 기억할 만한 김 화백의 만평을 하나 덧붙인다.



미국의 명언

워싱턴에서 전해오는 정동식 특파원의 칼럼을 즐겨 본다. 항상 똑같은 사진이라 아쉽지만, 근엄한 표정이 묻어난다. 주제도 다양하고 '글빨'도 차분하고 진중해서 좋다. 어제자 기사 말미에 미국의 유력 잡지 "TIME"이 공화당의 보수화 전략과 부시 35%, 공화당 77%의 지지율을 보여주며 "비가 올 때 비를 막어주는 것은 지붕인의 카리스마가 아니라 지붕"이라고 결론지었다고 했는데, 그 말이 참 명언인 것 같다. 그것을 한나라당에 적용하면 "한나라당이 별다른 쇄신 없이 죽쑤고 있어도 지지율이 올라가는 것은 한때 국시(國是)로까지 신성시되었던 반공의 은택이자, 극우 세력이 사회 모처에서 협력(?)하고 활약(?)하여 만든 핵우산" 때문이다.

미국의 명언 하면 생각나는 것이 또 하나 있다. 2001년에 911이 터지고 나서 4년 만인 2005년에 911 최종보고서가 제출된 것으로 기억하는 데, 보고서를 브리핑하던 총 책임 장성이 자료를 덮으며 마지막으로 한 말이다.

"미국이 911에 빠질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미국의 국력이 약해서도 아니고, 정보력이 취약해서도 아니다. 바로 상상력(想像力)의 부재다."

이를 보고 나도 상상력의 의미를 환기하는 기회로 삼았다. 상상력이란 우리가 흔히 이해하는 '판타지'가 아니다. 상상력에 관해서는 과학자들이 전문가인데, 과학자에게는 2개의 상상력이 있다고 한다. 인문학적 상상력 외에 과학적 상상력이 하나 더 있는 것이다. 상상력은 확인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없게 만드는 힘이다. '논리'는 사실 상상력의 도구일 뿐이다.

명언까지는 아니지만, 이번에 MBC 사건을 접하고 참 안타까웠다. 이 방송사가 뉴스데스크를 통해 사과방송을 한 것만도 올해 일곱 번째라고 한다. 그야말로 '사과방송 데스크'라는 오명을 쓸 판이다. 미스터 엠비(엠비 씨)가 오기를 갖고 분발하고 자진하고 쇄신하고 정신을 번쩍 차리라는 의미에서 기억에 남을 만한 명언(明言)
을 하고자 한다. 엠비 氏는 명심( 銘心)하여 이를 극복하고 더욱 분발해주기 바란다. (그런 의미로 아주 새빨갛고 선명하게...)

정당한 의문(을) 부당한 방법(으로)

프랑스와 일본의 역사 왜곡

이 뉴스를 접하면 아마 나같이 잘 모르는 사람은 깜짝 놀랄지도 모르며, 잘 아는 사람들은 그저 그런 생각이 들 것 같다. 프랑스는 '2005년 2월 23일 법' 가운데 역사 왜곡을 주장하는 한 조문을 다수결로 재확인했다고 한다. 그것은 곧 과거 식문 국가에서 프랑스의 '긍정적 역할'을 교과서에서 인정하자는 것이다. 사실 지금 유럽의 발전이 아시아와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피와 살점으로 이루어졌으며, '100원을 버는 사람이 있고 그 100배를 고스란히 갚아야 하는 사람이 있다'는 말처럼 오늘날 제3세계의 냉전과 갈등, 내전, 독재 등 분열과 고통의 정국은 제국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이익에 맞게 만들어놓은 것이다. '철없는 애 도토리묵 해집어놓듯이' 철없는 제국주의의 애들이 인류를 초월한 자연과 문화와 역사와 신과 철학에 모조리 제국주의의 빨간색을 칠해버린 것이다.
프랑스는 북아프리카 식민지(알제리 등) 국가에서 토지를 개간하고, 방역을 하며, 근대화 교육을 시켰다고 주장해 왔고, 이번 기회에 교과서에 정식(?)으로 올릴 심산인가보다.

우려할 만한 일은 내가 프랑스를 미워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프랑스의 우경화 추세는 차치해놓고서라도, 프랑스는 1차 세계대전 승전국으로 독일에게 방대한 배당금을 챙겨 독일 경제를 피폐하게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독일은 그 가시밭길을 극복하며 점점 힘을 키웠고, 프랑스가 제어하지 못할 정도로까지 자라나자 프랑스를 정복해버렸다. 이로서 프랑스는 세계의 웃음거리가 된 부끄러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프랑스를 어떻게 봐야 할까? 혼란스럽다. 일본과 같은 수준으로 봐야 할 것인가? 프랑스 학생들이 힘겹게 치른다는 바칼로레아는 한낱 프랑스식 과시에 불과했을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승주나무 2005-12-08 2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우연히 김용민 화백과 통화를 했습니다. 또 휴가간 이유는 개인적인 일이기도 하고, 회사적인 일이기도 하답니다. 우려했던 '별일'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