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1 - 문명과 문명의 대화, 개정판 살아있는 휴머니스트 교과서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약자들의 저항사



제목을 다소 특이하게 ‘약자들의 저항사’라고 붙인 이유는 이 책의 집필 의도이기도 하지만, 세계사를 하나의 관계사로, 그리고 하나의 드라마로, 하나의 전체로 이해하려 하기 때문이다. 역사가 그 사실 안에 숨기고 있는 힘의 원리를 드러내고, 역사의 진정한 주인공을 정해준 것은 가장 매력적인 점이다.


사실 세계사는 힘의 관계사라고 할 수 있다. 역사에서 최소한 힘은 두 가지 의미로 전승된다. 힘이 있으면 상대를 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고, 내가 원하는 것을 ‘합법적으로’ 빼앗을 수 있다. 이것은 곧 힘의 유혹이다. 18세기 유럽이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를 습격하여 일부는 식민지로 만들고, 일부는 물건을 팔기 위한 시장으로 만든 것은 제국들이 힘의 첫 번째 원리를 철저히 인식하였다는 말이고, 노회(老獪)해질 대로 노회해진 그들이 남긴 것은 내전과 독재, 민족 갈등, 종교 갈등 등 자국의 이익과 상관없는 결과이며, 한편으로는 그들이 부당하게 이익을 벌어들인 비용을 치른 결과이다. 지금도 서남아시아의 종교 갈등과, 아프리카의 독재·인종탄압, 곳곳의 끊임없는 내전 등은 철없는 가족의 빚을 대신 갚아주는 것과 같이 제국주의가 타다쓴 빚을 피와 갈등으로 갚고 있는 셈이다.

이렇듯 제국주의가  이익을 얻는 방법이란 천박하기 짝이 없는 것으로, 그들이 100원을 번다면 그 100배에 달하는 부대비용을 나머지 세계가 부담해야 하는 구조로 역사는 흘러왔다. 오늘날 세계의 불균형한 부의 격차는 이런 비효율적인 경제 운용방식의 반영일 뿐이다.


여기까지가 우리들이 배운 역사서의 내용이다. 무릇 힘이 있는 자들은 언제나 화려하다. 힘에 의해 자본에 의해 정치력에 의해 역사는 언제나 미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미화는 대개 진실로 받아들여진다.


이들이 역사의 주인공은 아니다.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이하 ‘살아있는 세계사’)에게 칭찬을 해주고 싶은 부분은 바로 나머지 ‘힘의 원리’를 세계사 곳곳에 반영함으로써 진정한 역사의 주인공을 가려냈기 때문이다. 약자들의 저항사가 드러난다면 강자들은 한낱 약자를 단합하고 단련시키기 위한 트레이너로서 그 가치를 마감하게 된다. 괴롭힌 사람보다 괴롭힘을 이겨내 승리한 사람을 승리자로 여기는 것은 당연한 결론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는 ‘제국의 보물창고’라는 이유로 피폐하고 고단한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자신들의 소중한 것들을 지키는 ‘힘’이 필요하다는 소중한 교훈을 얻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는 이 두 가지 힘의 원리가 작용하고 있다. 다만 그 힘은 근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철저히 지배당하거나 완전히 독립해야 한다.



역사가 문학을 만났을 때



이 책의 특징은 본문과 어우러진 다양한 시청각 자료와 ‘역사 속의 테마 기행’이다. 당대의 한 구성원의 입장에서 현실과 일상, 속내를 전한다. 시점(視點)을 달리하며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현장에서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저술한 작품이어서 그런지 ‘한글맞춤법’을 거의 완벽에 가깝게 구사하고 있다. 물론 그 적용이 너무 기계적인 경우(예컨대 조국을 의미할 경우 ‘우리나라’는 붙여 쓰는 것이 옳다)도 있었지만, 이 책의 한 문장 한 문장을 꼼꼼히 살펴보면 맞춤법·띄어쓰기 실력을 기를 수도 있을 것이다.


‘세계사 교과서’에 문학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역사 면면이 하나의 큰 흐름 안에 전개된다는 사실이다. 기존 역사서의 나열식 구조를 탈피해서, 역사적 사실마다 인과의 관계를 형성했다. 이슬람 제국과 몽골 제국의 유라시아 정벌을 보여주는가 하면, 이슬람과 몽골 제국에 지배당한 국가들의 입장에서 그 사건을 다시 보고 있다. 하나의 사건은 각각 다른 입장의 경험자들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면만을 조명한다면 역사가 드러나기 힘들다. 반드시 영광이 있으면, 영광에 희생된 자들의 사실도 언급해야 역사적 사실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은 그 점에 대해서 적잖은 배려를 하고 있다.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를 통해 커다란 인과관계를 접하고, 세부 사실로 나아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역사는 진정한 현대사’라는 말이 있다. 시대와 현실에 따라 언제나 다시 읽혀야 한다. 다시 읽고 다시 판단하다보면 잘못된 점을 발견할 수도 있고, 안타까운 역사의 전철을 밟지 않을 수도 있다. 세계사는 하나의 유기적인 생물체처럼 나의 마음과 현실 안에 헤엄쳐 다녀야 하며, 나는 그 안에서 지속적으로 영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지금도 나는 역사 위에 서 있기 때문이며, 이 역사를 누군가는 몇 번이고 다시 살펴볼 것이기 때문이다.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좋은 책을 볼 수 있었습니다. 요즘은 특히 정신이 없어서 2주 남짓한 시간 동안 두 권의 책을 읽고 서평을 쓰는 데 무리가 있었지만, 조금씩 틈을 만들어 이렇게 글을 올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역시 저에겐 즐거운 역사로 남게 되겠죠. 이 책을 읽으며 행복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