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타르코스 지음, 김병철 옮김 / 범우사 / 1999년 2월

폴리데크테스 왕도 오래지 않아 죽고 말았으므로, 왕위 계승권은 당연히 리쿠르고스의 것이었다. 실제로 리쿠르고스는 얼마 동안 통치를 하였다. 그러나 왕비인 형수가 잉태중임을 알게 된 리쿠르고스는 즉시 왕위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만약 태어날 아기가 남자아이라면 왕비의 소생이 왕국을 계승하게 될 것이라고 선포하였다. 자신은 오직 후견인으로서 장차 출생할 아기를 대신하여 정무를 도와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섭정을 스파르타 인들은 프로디쿠스라고 부른다.

 


그런데 왕비로부터 리쿠르고스에게 비밀스런 제안이 전해졌다. 자신과 결혼을 하고 리쿠르고스가 왕위에 오른다면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자신의 아기를 없애버리겠다는 것이었다. 리쿠르고스는 왕비의 사악함에 몸서리를 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장 거절의 뜻을 비치지 않았다. 오히려 왕비에게 친근감을 표시하면서 감사와 기쁨의 뜻을 전하는 사신을 보내었다. 그러나 아기를 강제로 유산한다면 왕비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목숨까지도 위태롭게 될 것이라고 설득하였다. 차라리 아기가 출생하는 대로 자신이 직접 없애버리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교를 통하여 마침내 왕비는 아기를 분만하기에 이르렀다. 왕비가 진통중이라는 소식을 들은 리쿠르고스는 사람을 보내어 옆에서 모든 일을 지켜보라고 하였다. 그리고 만약 여자아기를 낳거든 여인들에게 맡기고, 남자아기를 낳거든 자신이 어디서 무슨 일을 하고 있든지 상관하지 말고 즉시 자기에게로 데려오라고 일렀다.

 


때마침 리쿠르고스가 여러 원로원들과 함께 식사하고 있을 때 왕비가 남자아기를 낳았다. 아이는 곧 식사하고 있는 리쿠르고스에게 전달되었다. 리쿠르고스는 아기를 받아 안고 둘레에 앉은 사람들에게 말했다.

 


“스파르타 인들이여, 그대들의 왕이 나셨소.”

 


말을 마친 리쿠르고스는 아기를 왕좌에 눕히고 카릴라우스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 이름의 뜻은 ‘만백성의 기쁨’이라는 뜻이었다. 모든 사람들은 리쿠르고스의 고귀하고 올바른 성품에 감탄하고 기뻐하였다.

- 『플루타르크 영웅전』, 「리쿠르고스 편 」

 


사람이 자기 몸 하나도 가누기 힘들다고들 하는데, 정계와 같은 곳에는 워낙에 대립과 암투가 강해서 양쪽이 만족할 만큼 행동하기가 어렵다. 대개 그 어려운 입장에서 유연히 벗어나는 사람들은 양쪽 중 어디에도 편중되지 않고 완숙한 제3의 대안을 내놓는다.

 


그것은 양쪽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만큼 서로 약점과 모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맹자는 사람이 친분을 가지고 설득하거나, 살이 저미도록 간절하게 설득하는 것은 극복하기 어렵다고 했다. 결국 냉정함을 지킨다는 것은 아무리 상대가 달콤하고 강력하게 설득한다 하더라도 중심을 잃지 않고, 나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유혹과 설득 중 가장 이기기 힘든 것은 사회라는 조건이다. 사회의 조건에 따라 사람들은 희비가 엇갈리기도 하고, 자신의 꿈을 포기하기도 한다. 무턱대고 저항할 수도 없는 입장이고, 그렇다고 간, 쓸개 다 빼놓고 끌려갈 수도 없는 입장이다. 특히 리쿠르고스는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섭정자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여간해서는 균형감각을 지키기 힘들다. 동양에도 주공이라는 사람이 어린 임금을 대신해서 섭정을 펼쳤는데, 인정(仁政)을 펼쳤음에도 주위의 모진 모함에 시달려야 했다. 권력의 핵심이나 일상의 자리에서나 선택을 언제나 사람을 시험에 들게 한다. 어디서든 성공의 열쇠는 분위기를 압도하고 장악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