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타르코스 지음, 김병철 옮김 / 범우사 / 1999년 2월, 350쪽 

 

호전적인 스파르타의 법률에도 은 나라와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번 전쟁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다. 적군이 스스로를 방어하는 데 익숙해지면 전쟁을 통해서 오히려 적을 훈련하고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후세의 아게실라우스 왕은 이러한 점에서 많은 비난을 받았다. 왕이 자주 전쟁을 한 결과, 처음에는 상대도 되지 않았던 테베스가 라케다이몬과 세력을 겨룰 지경으로 강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어느 날 전쟁에서 부상을 입은 아게실리우스 왕을 보고 안타르키다스는 이렇게 말하였다.

“전쟁을 원하지도 않았고 또 할 줄도 모르던 테베스 사람들을 훌륭한 전사로 만드시느라 그토록 애를 쓰시더니, 그 값을 톡톡히 받으셨군요.”

  - 『플루타르크 영웅전』, 리쿠르구스」 편 중에서

 

습관의 힘은 무섭다. 죽음이 끝이 아니라면 사람은 죽음에도 익숙해질 것이다.


내가 누군가에 의해서 하나의 고착화된 이미지로 보인다는 것은 무서운 일이다. 더구나 그것이 내가 만든 것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


옳은 소리를 한다지만 너무 자주 마음속의 이야기를 해버리면 진실의 의미는 이상하게도 상쇄되고 만다. 화를 내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무는 개 짖지 않는다’라는 속담처럼 정말 무서운 사람은 자주 화내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무섭다.


습관과 함께 우리가 가진 적응력도 있다. 어디에 떨어지든 금세 적응해 버린다. 문학자나 철학자는 어디에든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작을 만들어낸다.


나는 내가 제일 무서울 때가 이미 어떤 일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잡고 있을 때이다. 거기에 이미 나는 없다. 어떤 일에 부딪치면 기계처럼 자동 동작이 나오는 것이다.


참 궁금하다.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만 신은 신비로운 것들을 보여주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