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건 / 이원길 / 신원문화사, 326쪽(1,2회 두 권)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어느 마을을 지나고 있었다. 시장 구석에서 싸우는 소리가 들리더니, 아이 둘이 뭔가를 두고 말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마침 아이들은 공자를 보더니 공자에게로 와서 자신의 사정을 이야기하였다.



첫 번째 아이가 말했다.



‘선생님, 우리는 지금 해가 언제 가장 커지느냐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었는데요, 저는 해가 아침에 궁궐보다 더 크게 보이기 때문에 그 때가 가장 커진다고 생각해요. 중천에 떠버리면 주먹만해져서 미미하잖아요.’



두 번째 아이가 금세 대든다.



‘아니야! 선생님, 해가 중천에 떠 있을 때는 옷을 벗고 있어도 땀이 주르륵 흐르기 때문에 가장 큰 거에요. 해는 뜨거운 불덩이로 이루어졌는데, 가장 뜨거울 때가 가장 클 때니까 한낮이 해가 가장 클 때가 아니에요.’



모두 공자에게 의견을 물었다. 고심하던 공자는 이내 입을 연다.



‘음, 그건 나도 잘 모르겠구나. 누구의 이견이 옳다고 딱히 이야기하기가 어렵다.’



아이들은 실망하면서 돌아갔으나, 제자들은 뭔가 깨닫는 바가 있었는지 저마다 고개를 끄덕거렸다.



   - ꡔCEO 공자ꡕ 중에서





사람은 세상에 오래 살아갈수록 덕과 지성이 쌓여간다. 덕과 지성과 함께 커지는 것은 그에 따르는 명예이자 기대치이다. 대학교수나 학교 선생이라고 하면 아이들의 질문을 청산유수처럼 해결해줄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 때문에 아무리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는 나름대로의 대답을 하려고 애쓴다. 그러나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고 내가 나의 기대치에 이끌려 잘 알지도 못하면서 말을 하려고 애쓴 적은 없는지 반성을 하게 된다.





만약 초등학교 초년생 같은 조카가 내게 뭔가를 물었을 때 나는 ‘모른다’고 용감히 대답할 수 있을까. 우리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 속으로 진실은 숨어버린다. 우리들은 당연하다고 치부된 말의 쓰레기장을 뒤적이며 당연하지 않은 것을 발굴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학자들이 자신의 학문에 단순히 솔직할 수만 있더라도 지금처럼 낙후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한탄하기도 한다. 진정 우리가 의지하고 위대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그것을 할 수 없다’라고 듣는 것은 충격적인 일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가 우리에게 ‘인간’이 아니라 ‘신화’가 되어 버린다면 그와 우리는 서로 거짓말을 하고 있는 셈이다.



 



‘진실은 용기 있는 자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