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페인트의 주위에는 특이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 중에서도 정치적 참여가 가장 활발한 사람은 ‘신상품사업개발단장’이다. 신상품사업개발단의 창립 이념은 ‘이제는 물질보다 정신을 팔자’이다. 정신을 팔다니, 정신을 팔아서 무슨 수익을 올릴 수 있단 말인가. 그리고 정신은 어떻게 파는 것인가. 처음에는 수많은 의문이 들었다. 물론 쇼페인트의 친구들은 워낙 특이하기 때문에 이제는 놀라지도 않지만, 그보다 기대가 더하다.

이들의 특징은 특이하지만 유용하고, 기발하지만 평범한 데서 출발한다.

 

신상품단장이 이 사업을 시작하게 된 것도 아주 평범한 사연에서 출발한다. 하루는 친구들과 식당에 가서 밥을 시켰다. 옆에 앉아 있던 사람들도 밥을 시켰는데, 거기가 먼저 밥이 나왔다. 그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맛있게 먹겠습니다'라든지 '감사합니다' 등으로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이었다. 단장은 아주 순간적으로 물질과 화폐의 교환으로 대표되는 경제 논리가 일순간 '고마운 감정'으로 인해 무너진 현장을 포착했다. 그렇다. 물질의 교환과, 고마움의 표시는 분명히 다른 차원이다. 곧이어 단장의 상에도 밥이 왔다. 그도 '감사히 먹겠습니다'라는 말을 하였는데, 주인 아주머니가 환히 웃으며, '맛있게 드세요. 김치 이번에 담가서 맛이 잘 들었을 거에요' 하고 한마디 붙이는 것이었다. 이 순간 받은 '정감의 세례'를 통해 이 일에 뛰어들었다고 술회하였는데, 참 시시하기도 하다. 습관보다 미미한 정감이 거대한 관계론을 낳을 수 있는가. 아무튼 그 '관계론'은 이만큼 커진 것이 사실이다.

 

나는 그와 만나며 요즘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완결된 텍스트 운동’이 바로 신상품개발사업단의 작품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완결된 텍스트 운동’이란 몇몇 인식 있는 신문사에서부터 시작한 운동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접하는 텍스트인 신문에서부터 한글맞춤법을 준수해 학생이나 일반인들, 외국인들이 한국어, 띄어쓰기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 운동이다. 이들이 내세우는 구호는 ‘모든 신문 텍스트의 한국어 문법 교재화’이다. 이 운동은 상당한 반향을 얻고 있다. 외국에서도 이 운동을 벤치마킹해서 자국 언어 사용의 정확성을 높이고 있다.

이로 인해 멀게만 느껴졌던 한글맞춤법이 보편화되었음은 물론, 한글맞춤법이 한글의 특징을 잘 구현한 작품이라는 사실도 알려지게 되었다. 한글의 어떤 성분과 어떤 성분이 만나면 유독 특이한 화학 현상을 일으키는가도 사람들은 잘 알게 되었고, 거의 모든 종류의 글쓰기에 맞춤법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이것이 시작된 계기는 신상품개발사업단에서 출판한 ‘신문맞춤법’이라는 책이 화제를 일으키면서부터이다. 신문맞춤법은 신문사가 맞춤법을 좀처럼 지키지 않아, 국민들의 언어 생활을 오염시키는 주범이라는 사실을 폭로한 책이다. 그 중에서도 재미있는 부분은 신문맞춤법 총칙 제2항이다.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총칙 2항을 교묘하게 변형해 ‘문장의 각 단어는 붙여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이다.(‘붙여 씀’도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신문맞춤법은 이를 공개적으로 무시하고 있다) 신문사 측은 지면 배분 관계로 어쩔 수 없다고 항변해 왔으나, 조사 결과 띄어쓰기를 엄격히 적용해도 지면의 1%를 초과하지 않으며, 그것도 각 기사의 폭을 줄이거나, 남은 여백을 이용하면 대부분 해결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눈에 띄는 조항은 ‘단위명사는 절대로 띄어 쓰지 않는다’는 점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물론이고, 오백 원 같은 것들은 의미를 구분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거의 모든 문장을 '붙여쓰기'해버리고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은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신문맞춤법은 띄어쓰기 조항을 특히 어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업단의 노력으로 몇몇 대형 신문사를 시작으로 교열부를 강화하기 시작하여, 각 신문사는 맞춤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금은 교재로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기사를 써내고 있다. 이 운동을 온몸으로 겪은 한 기자는 ‘맞춤법이 마치 반드시 지켜야 할 법률인 것처럼 생각돼 반발심도 생겼으나, 우리말을 절묘히 표현한 작품임을 알게 되고 나서 우리말을 더욱 사랑하게 되었다.’고 하였고, 다른 기자는 ‘맞춤법 공부가 문법 능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논리력도 상당히 강화시켜주었다.’고 이야기했다.


이번에는 이 사업단이 ‘악학대사전(惡學大事典)’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해서 단장을 만나러 가는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