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의 추천사입니다. 괜찮은 현대사 자료를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서중석 지음,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웅진닷컴(웅진.com) / 2005년 4월

 

 

 

시민들을 위한 최고의 현대사 개설서



나는 현대를 산 사람이다. 말할 나위도 없이 철들 무렵에는 해방 공간을 살았고 한국전쟁과 독재정권도 겪었다. 나는 역사학자의 길을 걸으면서 현대사의 여러 현장을 목격하였다. 어찌 보면 현대사의 증인인 셈이다. 나는 현대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지 않았다. 그래서 감히 현대사를 쓸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어느 누가, 때로는 암울하고 때로는 처절하고 때로는 열정에 넘치는 우리의 현대사를 쓸 수 있을지, 자주 생각해 보았다.

오늘에서야 현대사를 바르게 쓴 역사학자를 만나게 되었다. 현대사의 개설서인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의 저자 서중석 교수는 현대사를 가장 열정적으로 연구해왔다. 그동안 금기가 많은 현대사를 자기의 뚜렷한 주관에 따라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이 책은 그 동안의 연구 업적을 종합 정리한 결정(結晶)이다. 나는 한마디로 말해, 이 책을 읽으면서 시사와 영감을 얻었으며 현대사를 정리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 책은 대중 역사서의 서술방식으로 씌어졌다. 해방 공간을 시발로 하여 ‘국민의 정부’ 시기까지의 사실을 담았다. 그러면서도 저자의 역사관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를 몇 가지로 요약해 말해보자.

무엇보다 저자는 일제 잔재의 청산을 내걸고 민족 주체적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이어 극우반공 냉전이데올로기에 짓눌린 역사 왜곡을 ‘진실의 빛’, ‘사실의 빛’을 비춘다는 관점에서 바로잡으려 노력하였다. 따라서 좌우의 대결과 중도파의 활동을 고르게 반영하였다. 그리하여 여운형, 박헌영도 역사 인물로 살려냈다. 결코 내용을 한쪽으로 치우쳐 서술하지 않았음을 알려주려 했다는 뜻이다. 이를 통일사관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모든 분야를 서술의 대상으로 삼으면서도 정치사에만 빠지지 않았다. 곧 여러 민족운동․민중운동을 고르게 반영하였으며, 민주운동․노동운동․농민운동을 적절하게 배분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4․19혁명과 6월민주항쟁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들 운동이 역동적인 힘으로 우리 사회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이를 민중사관이라 말해도 좋을 것이다.

이승만․박정희와 전두환․노태우의 역대 독재정권을 강력하게 비판하면서도 감성으로 접근치 않고 객관적 공정성을 살리려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그리하여 저자는 우리 정치사가 이렇게 추잡하고 막가면서 엮어졌다는 자학사관에 빠지지 않고, 우리 사회가 일정하게 발전해왔다는 긍정사관에 충실하였다. 오늘의 현대사가 여러 고비를 넘기면서도 쉼 없이 발전해왔다는 사실을 알게 해준다.

이 책의 차례를 훑어보면 흥미를 유발케 한다. 몇 마디 말로 표현해 그 해당 내용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였다. 또 문체도 딱딱하지 않고 이해하기 쉽게 풀었다. 그러니 대중 역사서의 여러 요건을 두루 갖춘 셈이다. 역사는 대중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역사책이 역사학자들끼리 자기만족을 위해 씌어져서는 그 의무를 저버리는 결과를 빚는다. 이 책은 누구나 쉽게 이해하며 읽을 수 있다.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이야기는 변화를 거듭한 생활사와 대중예술의 기술이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다. 아마도 저자가 이런 분야를 모두 소화해내기가 벅찼을 것이다. 또 한정된 분량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다.

저자의 이런 접근방식을 편집에서도 잘 살려내고 있다. 사건사를 일지 형식으로 요약하기도 하고 정확한 통계 숫자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더욱이 필요한 대목마다 지도, 도형, 사진, 만평과 우표, 표어, 포스터와 가십 만평을 곁들였다. 이런 시청각 자료의 제시는 독자의 흥미를 유발케 하는 것들이다. 그동안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아주 희귀한 자료를 모아 독자들에게 알려주고 있다.

금년은 해방 60주년이 되는 해다. 민족 해방의 회갑을 맞이하였는데, 분단 구조는 변함없이 그대로 지속되고 있다. 이 시기에 우리의 현대사를 돌아보고 무엇인지 영감과 시사를 얻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분명히 독자의 역사의식과 일정하게 기여하리라 믿는다.

한편 오늘날 과거사 청산문제로 여러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진정한 민주사회와 인권국가를 지향하기 위해서도 왜곡된 과거사는 청산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미래사회의 화합을 이룩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이를 방해하는 세력들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이 책은 과거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왜 잘못되었는지를 알려줄 것이다.

필자는 여러 의미에서, 올바로 된 현대사의 저술을 접하면서 흔쾌히 추천의 글을 쓰는 바이다.


과거사 청산을 열망하면서 아차산 밑에서 쓰다.

이이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