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페인트는 오늘도 분주하게 외출 준비를 하고 었었다. 내가 옆에서 뭘 하든 말든 못 본체다.


“쇼페인트 오늘 누구 만나러 가는 모양이지.”


쇼페인트는 아무 대답이 없다. 뭔가 생각에 잠기듯 멍한 시선으로 창밖을 바라보고 있지만, 이때는 녀석은 눈을 감은 것이나 다름없다.


“너 혹시 발굴학이라고 들어봤니?”

“뭐, 고고학을 말하는 거니?”

“고고학이 아니라 발굴학 말이야.”

“참, 세상에 발굴할 신기한 것이 어디있담. ‘놀라운 것은 이미 나에게 놀라운 것이 아니다’라는 유명한 광고문구도 모르니?”


쇼페인트는 대답을 기다리지 않고 밖으로 나간다. 나는 또 무슨 재미있는 일이 생길까 해서 황급히 뒤를 따른다.


“사상은 시대정신을 따라 움직여. 그런 의미로 보면 ‘발굴학’은 가장 현대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어.”

“도대체 발굴학이란 게 뭐야? 시대정신은 또 뭐야. 시대정신은 이미 쓰레기통에 처박혔다고 말한 사람이 이제 와서 다시 시대정신 운운하는 것은 너답지 않은데.”


“발굴학은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주요한 문제로 다루는 학문이야. 학문이 주류를 따른다면 발굴학은 비주류 학문이라 할 수 있지. 예전에는 몇 사람의 선각자가 열정적인 성찰을 통해 우둔한 시민들의 등불이 되었다면, 이제는 시민들이 시민들을 향하여 들불이 되는 거야. 선각자들은 내적 성찰을 통한 외적 실현이 인생의 방향이라면, 시민들은 내적 성찰을 통한 내적 실현이야. 참여는 하되 이끌지는 않는 것이 시민들의 특징이야. 그렇지만 지식의 무한공유 시대가 되면서 선각자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지식의 권위자가 되는 시대가 왔어. 그것을 잘 표현한 것이 발굴학이지. 발굴학은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의 지식이나 사상, 문화의 흔적을 찾아내 우리의 시대정신을 찾아내는 거지.”

“시대정신이 ‘알려지지 않은 시민들’에게 있다는 보장이 어디 있어?”

“예전과 지금은 차이는 너무도 뚜렷하지 않니. 예전에는 곧잘 뭉쳤어. 시대정신이 굉장히 명확했기 때문에 거기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었지. 하지만 지금은 어때? 시대정신이 아예 없어 보이지. 나도 그렇게 생각했지. 하지만 발굴학자들은 시대정신이 이동했을 뿐이라고 말하고 있어. 시대정신은 시민들의 조용한 앞마당으로 뿔뿔이 흩어져 버린 거지. 발굴학의 목표는 그것의 조각들을 모아서 하나의 커다란 밑그림을 그리는 거야. 나도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지만 말야.”

그러는 사이에 우리는 허름한 동네 PC방 앞에 다다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