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고이즈미 씨가 독특한 논리법을 개발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오사카 고등법원에서 위헌 판결을 받은 이유는 다름 아닌 자신의 복장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즉 제복을 입고 참배에 오른 것이 위헌의 이유이므로, 위헌 판결에 경의를 표함과 동시에 자신의 의지를 실천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했다.

그의 논리는 단순하다. 사복을 입고 참배하면 된다는 것이다. 복장 하나만 가지고 총리가 되었다 민간인이 되었다 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리고 이것을 좀 더 교묘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 만약 의회에서의 발언이 물의를 일으켰다면 사적 총리로 회피하는 것이 굉장히 수월해졌다는 것이다. 문제가 되는 발언을 하기 전에는 정복의 단추 하나를 풀어둔다. 여론이나 해당 정당, 국가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궁지에 몰렸을 때는 가차없이 "공적 총리는 정복의 단추 다섯 개를 다 매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나는 그 발언을 할 때 단추를 네 개밖에 매지 않았기 때문에 사적 총리로서 발언한 것이다. 때문에 나는 이 발언에 대해서 해명해야 할 하등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특히 고이즈미 씨는 이 방법은 한국에도 대단히 쓸모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접한 한국의 어떤 특별한 사람들은 이 논리법이 매우 유익하게 응용될 것이라고 설명한다. 예컨대 지난 국감 때 술자리 폭언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모 당의 모 의원은 이 논리법으로 구제를 받게 되었다. 즉 자신은 폭언을 할 당시 양복을 입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도덕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우선 그의 국민들은 고이즈미 씨가 언제는 총리이고, 언제는 '고이즈미 할아버지'가 되는지 알 수 없다. 그래서 그들은 '총리'라는 직함을 포기하고 아예 그를 민간인으로 여길 공산이 크다. 고이즈미 씨는 자신이 사적 총리로서 발언을 할 때는 반드시 눈에 확연히 드러나도록 단추를 풀겠다고 해명했으나, 받아들여지긴 힘들 것 같다.

일부에서는 이 논리법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 즉 이 일이 예상치 못하게 고이즈미 씨의 정계 은퇴를 앞당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공명당의 한 의원은 "고이즈미가 사적 총리 개념을 활용한 순간 공적 개념으로서의 총리는 끝난 것으로 볼 수도 있으며, 이것이 그의 정치 인생의 종지부를 찍는 사건으로 기록될 수 있다."고 고백했다.

고이즈미 씨의 참배와 거의 같은 시각에 일본의 한 대학생이 자신의 국적 부정을 선언했다. 만약에 자신에게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일본인이며 대학생인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모두 포기할 것이며, 나의 이 행동에 대한 법적 권위는 고이즈미 씨가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자신의 존재는 선택할 수 없는 것이며, 특히 많은 사람을 이끄는 지도자는 자신이 용납할 수 없는 사람들과 그들의 생각을 끌어안고 치열한 자기 모순을 극복해 상생할 수 있는 의견을 제시해야 하며, 중의와 소신이 부딪혀 자신의 소신을 포기해야 할 때도, 자신이 소신을 포기함이 모순되지 않음을 스스로에게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이즈미 씨는 오늘도 유난히 주머니가 많이 달린 흑색 정복을 입고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오늘도 역시 그의 정복 단추 하나가 풀려 있는 채로...

* 다음은 동화 1편에서 소개되었던 쇼페인트와 함께 '시계혁명전'이라는 독특한 전시회를 다녀온 일화를 소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