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영복 선생의 글에 호감이 가는 것은 글에 감정이 묻어나기 때문이다. 그것은 잘 정제된 마음의 고요한 울림이다. 뜨거운 여름날 좁은 감방 안에서 여러 명의 죄수들과 생활하면서 옆에 있는 동료를 증오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소스라쳤다는 감옥으로부터의 토로는 알량한 이성과 뭇 감정들을 걷어낸 간결한 발림이다. 그런 그가 『강의』라는 제목의 책을 내놓은 것이다. 내가 아는 글쓴이는 누군가를 가르칠 사람이 아니다. 오히려 배워야 할 게 많다는 생각으로 사는 사람이다. 맹자도 ‘사람의 가장 큰 병폐는 누군가의 스승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라지 않았던가.


반신반의 펼쳐본 『강의』 안에서 귀가 순한[耳順] 그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나는 부끄러웠다. 아니, 그가 나를 일부러 ‘부끄럽게’ 했다.


나는 사회의 본질은 부끄러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일회적인 인간관계에서는 그 다음을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강의』는 여러 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그가 ‘강의’라는 제목을 내세운 것부터 묘한 의도가 숨어 있다. 그것은 한마디로 ‘강의에 대한 반성’이다. 이제까지 고담준론에 머무는 무미건조한 강의를 떠나 함께 울고 웃고 떠들면서 인생의 희노애락과 생생한 세상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어야 진짜 강의라고 그는 말한다. 그래서 그의 강의는 ‘감방 이야기’로부터 시작한다. 글쓴이가 고전에 흥미를 가질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보다 세 권으로 정해져 있는 옥방(獄房)의 규정에 ‘단, 경전과 사전은 제외’라는 예외 때문이다. 이보다 강렬하고 필연적인 동기가 어디 있을까?


강의의 주제는 다름 아닌 중국 제일의 고전들이다. 왜 그가 중국 고전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했을까? 그것은 5천년 동안 한결같이 읽히고 있는 거대한 정신의 흐름과 함께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샘이란 곧 원류에서 시작해야 옳은 것이다. 그의 서술 방법에는 두 가지 배려가 담겨 있다. 하나는 책 안의 고전을 한 번도 접하지 못한 사람을 위한 배려이며, 다른 하나는 그것을 훑어보기는 했지만 아직 확신을 갖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배려이다. 그것이 가능한 까닭은 글쓴이가 각권의 요지와 관점, 즉 중(中)을 잘 잡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각권의 순차는 일관된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져 있다. 대륙을 관통하는 황하의 흐름, 그 문명의 영토에 갈마든 사람들의 긴 호흡을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는 것은 다름 아닌 ‘관계’에 관한 고찰이다. 시대와 민족에 소용이 되기 위해 영웅들은 뼈를 깎아가며 무기를 다듬고 그것은 그의 아들 손자들이 좀더 어려운 적을 극복할 수 있기 위한 재료가 된다. 이러한 사정 위에서 피를 튀기며 최후까지 아귀다툼한 전국(戰國)의 칠웅은 관계를 가지며, 왜곡된 진시황의 표상과 제국 통합의 역사가 관계를 가지며, 맹자의 성선과 순자의 성악이 근사한 관계를 갖는다.


나는 귀가 고운 이 노인의 이야기를 다 듣고 나서야 맹자, 논어를 다시 읽기 시작했다. 나는 나의 관계를 찾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드는 것이다. 어디서부터 나와 세상의 관계가 끊어졌는지 알아낼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승주나무 2005-10-30 15: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월 1주 우수리뷰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