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천하 - 개정판
채만식 지음 / 창비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평천하>에 나오는 인물군들을 보면 저마다 자기 생활에 대해 할 말이 있다. 그래서 '이 쳐 죽일 놈!' 하고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윤직원 또한 '피로 낙관(落款)한 녹록(碌碌)치 아니한 재물' 이야기를 듣는다면 십분 그의 행실머리를 이해하고도 남음이리라.

채만식은 <태평천하>에서 너덜너덜한 사회의 모형을 윤직원 일가 내에 잘 담아 두었다고 보인다. 윤직원의 도당들은 꼭 한 꼭지가 부실하여 제대로 사람 구실 하는 사람이 없다. 만석꾼 윤용규의 장자 윤직원 영감이 제 아비에게 배운 기술은 치산하는 법과 금권(金權)의 시대를 알아챈 점, 세상의 세속적 생리를 간파하는 법 등이다.

더 나아가 윤직원은 세속에서 알아주는 가치들을 실현시켜 일가를 빛내려는 포부를 지니게 되었고, 그 작업을 착착 진행하였다. 그것이 일신의 안일을 도모하기 위한 욕망에 뿌리를 두지 않았어도, 자못 치밀하고 적극적이라는 칭찬을 받았을 것이다.

네 가지 사업이라는 것 안에 직원의 용사들이 투입되었으나 결국은 생과부에 통과부의 숫자만 늘리는 결과밖에 되지 못하였다. 또한 세록지신(世祿之臣)이 되어 대대손손 위풍을 자랑하고 싶어서, 그의 용감한 전사들이 경찰서장이다 군수다 하여 정규의 코스를 밟고 있기 위해 십만원 되는 거액을 의연히 뿌려대었다. 그렇게 윤직원은 작인들에게는 도지(賭地)를 상납받고 가권(家券)들에게는 인생을 통째로 상납 받는 이른바 물심양면의 지존이 되어 주공(周公)이나 진시황(秦始皇)의 반열에 올랐다.

윤직원 일가도 어찌 보면 사회일 수 있겠는데, 그 사회는 모양은 어찌됐든 공론(公論)에 의해 이끌려져야 한다. 지금 국회에서는 공론과 공평이라는 미명만 가지고도 얼마나 잘 버티고 있는가. 그런데 윤직원의 가정에는 그런 이상이 하나도 없다. 그래서 최후는 비참하다.

윤직원의 일가를 보면 장남 윤주사와 장손 종수는 골수 놈팡이에다 오입쟁이다. 그들은 자신이 원했든 원치 않았든 윤직원의 욕망에 이끌렸기 때문에 그의 그늘 안에 있었고, 뻗어 나가지 못했기 때문에 그 안에 머물러 버렸다. 그래서 세상을 요리하는 기술보다 윤직원을 요리하여 생존하는 기술에 능하다. 그들은 윤직원의 용사들이란 명함을 가지고 윤직원의 재산을 야바위 해서 거나하게 해먹는 게 그들의 일상이 되어 버렸다. 윤직원이 어쩌지 못하는 또다른 무서운 존재는 며느리이자 과부 고씨이다. 윤직원의 양반 혼인 사업으로 인해 원치 않은 결혼을 하여 결국 생과부가 되었기 때문에 그녀는 윤직원을 만날 때마다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다. 이러한 부적절한 관계의 원인 제공자는 단연 윤직원이니 할 말은 없는 것이다.

윤직원네의 이 가간사(家間事)는 사회 안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된다. 모두를 위한 정론(正論)보다 안일을 도모하여 담합하고 야합하는 무리들이 자꾸만 늘어가고, 선호하는 것은 점점 금권과 말초적인 가치들뿐이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 계층적 갈등은 날로 늘어가고 원수와 천적 등의 먹이 사슬 관계가 험악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배운 것이 그런 것 밖에 없으니 한 세대가 태어나든 두 세대가 더 태어나든 정의 실현이나 격양가(擊壤歌;세상이 풍족하고 살기 좋을 때 부르는 노래) 같은 것은 꿈도 꾸지 못한다. 그만큼 비관적인 세계관을 채만식에게서 엿볼 수 있는 것이다.

하나 더 음미하고 싶은 것은 작가의 언어이다. 끝내 이름 대신 직원(直員)이라는 걸리적 거리는 호칭으로 일관한 모습이라든지, '찬란한 네 가지 사업'이라는 작위적인 풍자도 입심 안에 구수하게 섞여서 재미와 현실 인식 이상의 어떤 의미심장한 시사까지 이끌어내고 있다.

'뭐 인생이 이런 것 아니겠어?' 하며 웃어넘기는 작가적 유연함은 당대의 소설가들에게 느끼는 중압감을 충분히 완화시켜 주었고, 공허하지 않은 생동하는 의미를 가슴속에 온전히 담아내고 있는 것 같다. 한국인은 어떤 기막힌 상황에 부딪쳐도 '허허'하는 웃음으로 대처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필자는 꼭 채만식에게서 그런 모습을 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