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sisalove.com/user_img/sisamo/sisamo07.gif) |
<한국기자협회, 2006년 8월30일>
|
|
![](http://www.sisalove.com/user_img/sisamo/sisamo08.gif) |
<한겨레, 2007년 1월23일>
|
|
![](http://www.sisalove.com/user_img/sisamo/sisamo09.gif) |
<미디어오늘, 2007년 1월23일>
|
|
![](http://www.sisalove.com/user_img/sisamo/sisamo10.gif) |
<경향신문, 2007년 6월28일>
|
|
![](http://www.sisalove.com/user_img/sisamo/sisamo11.gif) |
<이철수 판화 "날아라 펜">
|
|
시사저널 사태의 관전 포인트
1. 언론사 초유의 기자 파업과 금창태 사장의 막무가내식 대응(직장 폐쇄, 고소 고발)
- 삼성 비판 기사를 금창태 사장이 임의로 삭제 (2006. 6. 16)
- 시사저널 기자들 노조 결성 (2006. 6. 29), 전면 파업 (2007. 1. 11)
- 시사저널 사측 직장 폐쇄 단행 (2007. 1. 22)
- 시사저널 파업 기자 24명 중 17명에게 무기 정직, 대기발령 등 무더기 징계
- <한겨레21> 고경태 전 편집장, 한국기자협회, 민언련, 강지웅 PD, 서명숙 전 편집장,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 <시사저널> 고재열 기자 들에게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 조처
- <시사저널> 안철흥 노조위원장(당시), <시사모> 조형근 부회장 및 운영위원 5인에게 ‘업무 방해’, ‘명예훼손’, ‘기부금품 모집법 위반’ 혐의로 고발 조처
2. 상식적 판결, 금창태 사장의 5전 5패
? 2007년 5월30일, 고경태 <한겨레21> 전 편집장 형사 소송 1심 무죄
? 2007년 6월27일, 고경태 외 4인에 대한 민사소송 1심 무죄
? 2007년 6월28일, <시사모> 운영진에 대한 고소, 검찰 불기소(증거 불충분)
? 2007년 7월19일, ‘짝퉁 시사저널’ 고발 기사에 대한 고소, 검찰 불기소(공소권 없음)
? 2007년 8월3일, MBC 명예훼손 고소, 검찰 무혐의 처분(증거불충분)
? 현재 여러 건의 민·형사 소송이 진행 중
3. 편집권과 경영권 논쟁- 신문법 제18조 편집위원회 설치 조항 명시(권고 조항)
? 해석의 여지 다양해 현재까지 논쟁 중
? 경영진 “사장이 전체 업무를 관장하는 데 한계가 있어 (편집권) 일부를 실무진인 편집국장에 위임하는 것”이므로 마땅히 경영권에 귀속되어야 한다는 입장
? 언론의 공적 기능을 보장한 헌법의 원칙에 따라 전문 취재·편집 종사자가 편집권을 공유하고 최종 판단은 편집국장을 포함한 편집국의 민주적 절차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 언론학계의 중론임
? ‘권리’는 원래 특정 자연인에게 귀속된 것이지만 ‘권한’은 특정 자연인에게 귀속된 것이 아니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위임받은 것이므로 오·남용을 경계해야 하나, 시사저널 경영진은 ‘권리’와 ‘권한’을 혼동하고 있다는 지적
4. 삼성의 영향력
? “광고 미끼로 비판 차단…매출 작은 신문 의존 더 심해” (한겨레, 2006. 7. 31)
? “삼성의 경제 검열로 시사저널 사태 촉발” (미디어오늘, 2007. 2. 7)
? 삼성이 청와대보다 강하다, 42.8% (뉴시스, 2007. 2. 10)
? “삼성맨 여러분, 기자 조심하세요!” (노컷뉴스, 2007. 2. 22)
? 거대 경제권력 삼성의 오만한 언론관 (오마이뉴스, 2007. 3. 5)
? 삼성의 언론관리 4단계 원칙 (시사저널 2005년 9월 추석 합병호(830·831호)
① 꾸준히 돈을 발라준다(1단계) ② 관리 대상을 특별히 정리해뒀다가 건수가 터지면 쉽게 접근한다(2단계) ③ 그래도 안 되면 시기나 수위, 제목이나 이름까지… 유효 슈팅이 되지 않게 만드는 태클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3단계) ④ 어렵게 기사를 허용했다면 다른 컨셉트로 풀어서 물타기를 한다(4단계).
5. 독자들의 미디어소비자 운동
? 시사저널 사측의 언론폭거에 저항해 ‘시사저널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공동대표 고종석·이재현, 약칭 시사모)’ 발족(2006. 10. 16)
? ‘나도 고소하라’ ‘진품 시사저널 예약운동’ 등 적극적인 미디어소비자 운동 전개
? 현재 ‘<시사IN> 자발적 구독운동’ 추진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