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서 아름다운 것들은 나의 기갈에 물 한 모금 주지 않았다. 그것들은 세계의 불가해한 운명처럼 나를 배반했다. 그러므로 나는 가장 빈곤한 한 줌의 언어로 그 운명에 맞선다. 나는 백전백패할 것이다.
-김훈 <자전거 여행> 책 머리에 중

백전백패할 것을 알고 또 만인앞에 공표하고 그럼에도 한 줌의 언어로 그 운명에 맞설 것을 약속한 사람을 쉽게 저버릴 수 없음을 나는 안다. 삶이 치사하고 남루하고 던적스러움을 눈물을 흘리며 응시함에도 결국 남은 시간 사랑과 희망을 얘기하고 싶어하는 초로의 사내는 우리의 과거, 현재, 미래의 형해이다. 결국 그렇게 될 것을 알기 때문에 그의 언어들은 읽는 이를 무장해제 시키고 만다.
생명은 결국 긍정이다. 실존적 고통은 무한한 낙관주의와 긍정을 저버리지 못하기 때문에 헤어나올 수가 없다. 지금 아프지만 우리는 또 노래하고 꿈꾼다. 김훈은 그걸 고약하게도 너무 잘 안다. 건조하고 예리한 그의 단문들에 자꾸 쓸리우는 듯한 환각은 무언가를 너무 적나라하게 들키고 만 것 같은 낭패감 때문일런지도 모른다. 긴박하고 박진감 넘치는 서사가 썰물처럼 쓸려 나가고 해안가에 남은 그의 연필 자국들은 내가 이미 밟아 놓은 흔적과 앞으로 밟고 지나가게 될 삶 그 자체다. 사실 우리 삶이 뭐 그리 드라마틱하겠는가. 누군가가 나의 삶을 기록하게 된다면 어쩌면 날카로운 회한과 망상과 소망의 어휘 몇 묶음이 고작일런지도 모른다. 우리가 자꾸 이야기를 찾아 읽고 서사에 집착하는 것도 결국 그게 아닌 것임을 알기 때문인 것 같다. 삶이 드라마틱한 여정과 정교한 플롯으로 채워질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삶은 생각보다 지루하고 비상식적이고 아귀가 맞지 않는다. 그 결을 쓰다듬으며 부조리와 모순을 하나 하나의 언어로 차례차례 걷어내다 보면 그것은 하나의 이야기라기보다는 체념을 위한 설득의 얘기에 가까워진다. 여기에 반하는 행위는 도발적이고 매혹적이다. 그게 문학이고 예술이다.

<내 젊은날의 숲>에서는 유독 서사가 휘하다. 민통선 안 국립 수목원 전속 세밀화가인 ‘나’는 언뜻 김훈 그 자신을 연상시키듯 주변을 냉연하고 관조적으로 읊조린다. 말단 공무원으로 뇌물을 공공연하게 받아 상사에게 상납하다 구속된 아버지가 서서히 시들어 가는 모습과 자폐아 아들을 둔 싱글파더 수목원 연구실장이 꽃이 제 색깔을 내는 그 필연성을 설명하고자 그 무위의 시도를 계속하는 모습이 이제 곧 사회로 첫발을 내디딜 학군단 장교의 모습과 서로 교차하고 비껴가는 모습이 나를 통과하여 펼쳐진다. 세상으로부터 겉돌고 헤매는 자들의 메마름, 황폐함을 얘기하는 것은 ‘내’가 도저히 종이 위해 온전하게 옮겨 놓을 수 없는 개별적 생명의 현재성을 지난하게 찾아 헤매는 일과도 같다. ‘나’는 끊임없이 한계를 확인하고 그것에 쓸리우며 멀고 무관한 삼인칭인 ‘그’를 내 눈앞의 이인칭인 ‘너’로 바꾸어 놓고자 한다.
복수초의 노란 꽃 안에서도 오십 년 전 ‘아’와 ‘피아’의 구별이 무너졌던 전장에서 죽어가며 상추쌈을 그리워했던 학군단의 백골 위에서도 안실장의 자폐증 아들의 빛이 내리는 머리 가마 위에서도 울리는 ‘쟁쟁쟁’ 소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 안에 움켜쥐고 싶은 사랑과 희망에 대한 가능성의 울림이다. 그 ‘쟁쟁쟁’ 소리는 도저히 화폭에 옮겨 담을 수도 언어로 형상화할 수도 없지만 삶의 골조이자 생의 동인이다. 모든 불가능한 것들을 소망하게 되는 발원지이자 아름다운 것들을 꿈꾸게 되는 몹쓸 환각 지대다.
작가는 육십이 넘어 그 환각 지대에 발을 담궜다. 언어로 도저히 가둘 수 없는 것들이기에 그것들은 더 아름답다. 우리의 인식의 한계의 지평 저너머에 옹크리고 있는 그것들이 결국 우리 삶 그 자체를 지배한다. 내가 너를 사랑한다,는 말은 전 우주를 다 채우고도 모자랄 만한 것임에 분명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