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인에게 말걸기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199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독자란 이상한 동물이다. 생각없이 읽으려고 골랐다가도 정작 소설이 그렇게 읽히면 어느 순간 골을 낸다. 맛없는 과자인 줄 알면서도 입에 넣고서는 여지없이 실망해 부아를 터트린다고나 할까. 그럼 왜 알면서도 맛없는 과자를 입에 넣었을까? 그건 아마 즐거운 일탈을 위해서가 아니라 편재하는 지겨운 현실을 다시 보려는 목적으로 소설을 골랐기 때문일 터이다. 각 단편의 완성도라거나 문학적 성취도와는 무관하게 , 그것이 투영하는 현실의 얼굴을 잘 드러내는 소설집, <타인에게 말걸기>는 그런 책이다.
이 소설집에 들어앉은 단편들 속 인물들은 모두 연애와 결혼, 사랑과 타인에 대해 성찰하는 중이다. 결혼은 왜 하나, 누구와 하나. 왜 연애는 망가지고 결혼은 깨어지나. 사랑은 무엇이고 타인은 누구인가. 단편들 속의 인물들은 이런 질문들을 묻는다. 작정을 하고 이런 물음을 탐구하고 있다기보다, 그런 물음에서 싫어도 헤어나지 못하는 상황 속에 있다. 그들은 불행하고, 그 불행의 핵심에는 더이상 작동하지 않는 타인과의 관계, 보다 더 정확히 말해, 파국을 맞은 사랑이 있다.
어떻게 보면 얼마든지 극적일 수도 있는 소재인데도 은희경의 단편들은 하나같이 숭늉처럼 밍밍한 맛을 낸다. 사랑의 파국, 그 진행과 경과를 묘사하는 이야기들 속에서 은희경의 인물들은 행동하지 않는다. 그들은 사고하지도 않는다. 그들이 끊임없이 하고 있는 것은 오직 느끼는 것이다. 마치 인간존재의 모든 기능이 단순히 감수성 하나로 환원된 것처럼! 그러나 행동과 사고과 연결되지 않은 채 고립된 감수성이란 얼마나 허약한 것인가.
그 허약한 감수성이 낳는 행동들은 그래서 독자를 실망시킨다. "세번째 남자를 만날 것이다", 라는 의미가 불분명한 예감("그녀의 세번째 남자"), "그럼 잘 가"라고 차일 거라는 불안 때문에 미리 관계를 파기하기("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 "언니와 나는 다르다"라는 너무 지당해서 오히려 힘이 빠져버리고 마는 깨달음("연미와 유미"), 사랑하는 남자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방기하는 것("짐작과는 다른 일들"), 문제를 알아채고도 '그냥' 사는 것("빈처"), 이혼한 남편의 새 아내를 만나느니 직장을 그만두는 것("열쇠"), 말 거는 타인 앞에서 방관자의 위치를 지키는 것("타인에게 말 걸기"), 욕망 앞에서 모호해지는 것("먼지 속의 나비").
심상(尋常)해서는 안 되는 좌절과 고통과 상처와 대처가 참으로 심상하다.
은희경의 인물들은 무기력하고, 자신이 야기한 고통과 좌절에는 사뭇 민감한 촉수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문제의 근원으로부터는 끊임없이 고개를 돌리거나 생각하지 않음으로써 적당히 타협한다. 그 타협의 결과는 안으로 검게 썩은 구멍이 난 감자처럼 구제불능의 상태에서 그대로 열중쉬어 상태로 서 버리는 것이다. 세상은 냉장고처럼 썩은 감자를 잘 보관해준다. 이 책 속의 단편들이 보여주는 현실과 그 속의 인간들의 모습은 그렇다. 그 앞에서, 이 책을 다 읽은 독자는 대체 무어라고 말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