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 젊은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입문서
강유원 지음, 정훈이 그림 / 뿌리와이파리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자기계발 서적은 넘쳐 난다.
재테크, 자산 관리, 잠재된 능력 계발, 자신감 고취시키기, 각오 다지기, 구체적인 방안, 성공사례에서부터 뜬구름 잡기식까지 다양한 시도로 독자를 유혹한다. 그것은 실용성이란 명목하에 일상의 전장터에서 전투력 배가를 위한 소위 말하는 ‘경제적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비급서’처럼 활용되고 있다. 경쟁적인 삶,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 목표 없이 살다가 명퇴, 정리해고로 마감되는 인생은 마치 중독처럼 서서히 우리를 잠식한다. 자본주의의 중독은 스스로에게 욕망을 강요함으로써 본인의 의지로 벗어날 수 없게 만든다는 점에 있어서 위협적이다. 끊임없는 경쟁과 불안과 불확실성에 자신을 던지고 하루하루에 탈진한 ‘신인류’의 자본주의 사랑은 ‘안~되요 되요 되요 되요’와 같은 두 가지 속성을 내포하는 것처럼 보인다.

종속과 탈피.

우리는 이 시대를 살아내기 위하여 자본주의의 심연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종속적일지라도 잘 적응하기 위해서 또는 이상적인 삶의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라도 어찌됐던 알아야 한다. 현실과의 대면, 그것은 관찰자의 위치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책임지려는 최소한의 노력인 것이다.

후세에 모범이 될만한 가치를 지닌 것을 고전이라 불렀으니, 공산당 선언은 자본주의의 성질을 잘 정리해 놓은 고전 중의 고전이다. 이 책은 공산당 선언을 읽고, 체제 속의 인간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들이댄다. 노동과 자본, 국가와 계급을 통하여 우리의 위치와 미래를 고민하게 한다.

이것은 현실적이다. 누구를 위한 것이 아닌, 자기 자신에 대한 존중과 책임을 말하는 직접적인 방식이다.
 
150년 전의 선언이지만, 아직까지도 유효한 부분들을 발견하는 것은 놀랍고도 씁쓸한 맛을 남긴다.
‘현대의 국가 권력은 부르주아 계급 전체의 공동 업무를 관장하는 위원회일 뿐이다.’
한국 사회의 양극화 문제를 접근하는 데에 있어서 이 문장의 의미는 가벼이 여길 수 없다. 비정규직과 하도급 노동자들의 불평등한 노동조건, FTA라는 비밀스러운 협약이 민중의 삶에 미칠 효과를 고려해 본다면 위의 문장은 마치 운명처럼 들린다.

우리의 운명을 자본주의에 맡길 것인가, 포스트 자본주의를 선언할 것인가…
진정한 자기계발은 사회와 자기 자신의 관계 속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이 전하는 고전 읽기의 새로운 시도는 상업 자본주의의 ‘자기계발서’를 뒤집는 전복적 메타포를 보여준다.
그래서 이 책은 재미가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06-07-25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상업 자본주의의 ‘자기계발서’를 뒤집는 전복적 메타포를 보여준다.
음...땡기네요.^^

라주미힌 2006-07-25 1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쉽고 재미나요... 꼭 읽어보세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