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유골 수집가에서 오늘날의 유명인사 서명 수집가에 이르기까지 수집광의 역사를 소개한 책이다.
저자는 수집의 역사를 따라가면서 그 안에 담겨 있는 사회적ㆍ문화적 배경을 설명한다.

왕이나 귀족의 특권이었던 수집활동이 보편적인 활동으로 확산된 때는 르네상스 시기다. 이 시기에는 특이한 물건이나 생물 표본들이 수집장들을 채웠다. 이 시기 수집가들의 특징은 갖고 싶고 구할 수 있는 것이면 닥치는 대로 모으는 것이었다.
박물학적인 수집의 전성기였던 르네상스와 17세기의 대표적인 수집가로는 용과 결투를 벌였다는 이탈리아 과학자 알드로반디, 자신의 수집장을 '연금술 실험실'로 삼았던 프라하의 황제 루돌프 2세, 빼어난 시체 해부기술과 인체 복원 기술을 가졌던 프레데리크 로이스 박사, 대영박물관의 토대를 제공한 한스 슬로언 경 등이 꼽힌다.
18세기 학술원이 생기고 계몽주의가 태동하면서 수집도 부문별로 분화되었다. 수집선을 한 분야로 집중하는 것이 중요해졌으며, 합리주의적인 분류법과 자연에 대한 총체적 서술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수집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는 독특한 전시물들이 많이 나왔다. 태어나자마자 죽은 기형아, 샴쌍둥이, 팔다리가 여러 개인 시체, 갈고리 손, 부풀어 오른 뇌, 폐결핵으로 죽은 사람의 시체 등이 전시된다.

아름다움과 죽음을 융합한 바니타스 양식의 우아함은 사라지고 사람의 몸을 마치 딱정벌레 표본처럼 연구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시선이 등장했다.
이런 시선은 20세기에 들어와 더욱 두드러지다가 표본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수용소 포로들을 활용했던 나치 독일의 인체 수집선에서 그 절정에 다다른다.
기계 생산시대에 들어서면서 키치, 즉 예술의 흉내만 낸 대량생산의 결과물이 수집의 가능성을 열어줬다. 대량생산으로 광범위한 계층의 사람들이 싸구려 물건으로 자기 세계를 채우는 재미에 빠져들 수 있었다.
어떤 이는 '사람들이 그냥 내버리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우유병을 수집하기도 하며 '이걸 버리면 다시 못 보겠지'라며 제품포장지나 광고물을 모으기도 한다.

저자는 이처럼 역사를 따라 다양한 수집가들을 소개하면서 물건을 모으는 행위 뒤에 숨은 인간심리의 저변을 읽어내고 있다.

 

 

 

 

 

'조엘 온 소프트웨어'를 읽어봤다면 안 사볼 수 없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06-01-28 1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밑에 있는 책 좋은가 봐요. 전 컴에 대해선 그다지 아는 게 없어서...이런 문외한이 읽어도 좋은 건가요? 소프트 웨어쪽이라면 상상력이 좋아질려나?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