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계의 자정능력은 권위에 반비례.
BRIC의 젊은 소장학자들이 아니었다면 PD수첩이라는 '언론의 양심'은 물론 한국 학계의 양심(미국에 숨은 과학자)마저 죽일 뻔 했다는 사실..  정말 아찔하다. 그들을 복권시켜야 한다.

2. 권위의 함정
사이언스의 권위, 세계적인 과학자의 권위...
권위만 곧이 곧대로 믿으면 '비전문가'들은 모두가 바보가 된다는 사실.
사이언스도 바보 됐는데, 어디에 기댈까... '망각?'

3. 국익
국익을 내세우는 인간들치고 제대로 된 '새끼'없다.
늘 그랬고, 늘 확인했지만, 늘 기어나온다.
피곤해.

4. 진실, 윤리, 난자
'그깟?' 이라고 불리웠던 것들이다.
'그깟 것'들이 얼마나 소중한 것들인지... 아직도 그들은 깨닫지 못하고 있다.

5. 치명적인
서울대, 카이스트에서 늦게나마 검증을 하자고 나서는 교수들이 있었지만,
외국에서 심각하게 문제시 하니깐 그제서야 힘을 얻고 취한 행동인 것 같다.
황사단이 대표적이지만, 한국사회에서 넘기 힘든 산은 너무나 많다.
우리 학계가 얼마나 폐쇄적이고 권위적이며, 소통의 공간, 기회가 부족한지 느끼게 해주는 대목이다.

6. 내부고발자
살려야 한다.
미국으로 거의 '망명' 비슷하게 나간다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다. 부도덕한 사회, '그들'의 철벽이 무너지는 것은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양심이 가장 확실하면서도 강력하다. '그들'이 돌아올 수 없다면 철벽은 더욱 견고해질 것이다.

9. YTN, 손학규, 오명 부총리
쓰레기.
어서 치워야 된다. 파리 날린다.

10. 황사단 멤버
(게을러서) 몰랐거나, (비겁해서) 묵인했던 황사단 멤버
책임져야 한다.

11. 반전
'침묵의 카르텔이라고 불릴 만한 전문가 집단의 이기주의와 사회적 책임의식의 결여가 결과적으로 자신들 집단에 대한 엄청난 불신을 자초한 셈이다.' - 김동광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을 우리는 필요로 했고, 이것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

12. 희망
배아복제 줄기세포가 우리의 희망이 아니다.
몇, 몇 십조의 경제효과? 훗...
자본의 결핍으로 '난치병'에 걸린 우리 이웃에 대한 사회적 배려의 확대만이 희망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5-12-11 06: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진 정리!^^

아영엄마 2005-12-11 1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줄의 글이 가장 가슴아프게 다가옵니다.

balmas 2005-12-11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촌철살인의 정리네요. 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