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명소가 있다.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곳. 
막상 가보면 그것의 익숙한 풍경에 맥이 빠져버린다. 
원조는 박제가 된 신화에 머물러 있고, 새로운 신화가 되고자 하는 것은 다른 곳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신상'을 찾아나서야지. 기념사진 찍으러 그곳에 갈 필요는 없다.
이미 그곳을 다녀간 수많은 이들의 발자국만을 발견할 뿐이다.


고전이라는 것이 계속 팔리는 이유는 인간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엄밀히 말하면 인간은 변하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 이를테면 사랑 따위…
그렇지만, 변하지 않는 사랑은 없다. 변하지 않으면 사랑이 아니다. 그래서 인간은 사랑을 사랑한다. 잡힐 듯 잡히지 않고, 이해하기도 정의 내리기도 힘든 인간 내면 또는 정서 또는 관계에서 오는 균열과 열기의 덩어리는 그래서 매력적이다. 왠지 이해하면 알게 되고 그것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망상에도 사로잡히고, 이별에 대한 불안은 죽음에 대한 공포만큼이나 끈질기다 보니, 수 많은 문학과 예술로 변주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이다.

에리히 프롬은 말한다. 사랑은 훈련을 필요로 하는 기술이며 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성숙한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거라고…

궁금증 하나. 성숙한 인간은 만능인가. 가능성은 높아질 것 같지만, 인간과 사회의 농밀한 관계 속에서 만능키란 결코 없다.
둘, 아는 것과 하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 우리는 알지 못해서가 아니라, 알고 있는 것을 하지 못한 것에서 문제를 찾아야 한다.
셋, 한 인간이 성숙하고자 했던 노력과 사고의 결과물을 단순히 읽는 행위로써 나의 것으로 과연 만들 수 있는가.

공감했다고 맞는 건 아니다. 공감을 이끌어내기란 어쩌면 쉬운 일이다. 가장 보편적인 존재를 상정하고 그것의 특성을 적절하게 나열하기만 하면 된다. 좋은 약도 처방에 맞아야 좋은 약이다.
참된 학습은 자신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에 있으며, 훈련은 그것을 반복하지 않기 위한 노력에 있다.
책이 교과서일까. 수 많은 계발서에 성공의 신화를 갈겨놓아도 그것을 읽는 사람이 성공할 수 없는 이유는 명확하다. 책에 답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물며 사랑의 갈증을 해결하고자 책을 탐하는 것은 방향이 잘못 된 것이다. 모델은 각자의 내면에 이미 자리잡고 있다. 어떻게 다듬고 살을 붙일 것인가. 에리히 프롬은 자신의 고민과 성찰을 담은 것이지, 당신의 고민을 담은 것이 아니다. 시대를 초월해서 공감을 얻어낸 것은 책의 위대함이 아니라 해석의 위대함으로 가능해진다. 운세가 미래를 예견하는 기능을 못하고, 과거에 천착하고야 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내 생각에 사랑은 과정이다. 성공과 실패라는 단어의 용법이 끼어들 틈이 없다. 중요한 것은 문제 해결능력이지 능수능란이 아닌 것 같다. 속도가 아니라 계속 될 수 있다는 영속성의 동력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가 하는 고민에 있는 것이 아닐까
이 책은 인간의 사랑만을 말하고자 하는 것 같진 않다. 1 2차 세계대전을 겪고, 핵무기의 파괴력을 경험한 인류는 문명의 위기에 노출되면서, 모든 것의 종말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주문을 외운다. 누군가는 정의를 평화를… 에리히 프롬은 사랑을…
인간과 사회의 긴밀한 연관성을 살펴보고서 인간의 회복과 구원의 가능성을 엿보려는 것만 같다. 사랑이 실존적 문제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건 문명의 위기와 맞물려 있음을 우리는 살면서 체험하고 있으니까. 어찌됐던 머리로 이해 할 수 없는 것들을 머리로 이해하고자 하는 어리석음을 책을 읽으면서 완벽하게 느꼈다. 좀 더 빨리 덮었어야 했는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해한모리군 2010-01-25 0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온지 오십년이 넘었으니, 이 책을 변주한 녀석들을 너무 많이 보셔서 김이 세셨나봐요 ^^

순오기 2010-01-28 2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은 시대와 세대를 초월해 '사랑'을 하는 이들이나 사랑을 하고자 하는 이들이 꼭 읽어야 할 교과서였어요. 이 책은 결혼 전과 후에 읽는 감상이 많이 다르긴 하더라고요.
머리로 이해할 수 없는 게 사랑이지만, 사실 또 사랑을 해도 알 수 없는 게 사랑이기도 하지요. 현재의 사랑이 제일 중요하다는 것만 아시면 될 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