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단 - 이슬람의 암살 전통
버나드 루이스 지음, 주민아 옮김, 이희수 감수 / 살림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제들, 승리의 그날이 오면,
우리의 동료들처럼 이승과 저승 양쪽에서 큰 행운을 받는다면,
단 한 명의 무사만으로도 수만 명의 기병을 소유한 왕일지라도
공포에 벌벌 떨게 만들 것이니.”          220p


암살자(assassin)로 알려진 아사신파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오늘날 미국이 만들어낸 ‘테러리스트’와 이슬람과의 연쇄적 자유연상이 마치 그들의 전통인냥 굳어져 버린 작금의 인식을 환기시킬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을 잠깐 살피자면, 암살은 이슬람의 전통이 아님을 설파한다. 세계의 어느 역사를 보더라도 암살은 정치적 적대세력의 주요인물을 제거하는 손쉬운 방법이었을 뿐이다. 아사신이 대표성을 띄게 된 것은 그들의 탁월한 ‘체제 전복 기술’, 암살의 전문성에 있다. 그들은 타키야 원칙(Taqiyya, 위기에 처했을 때 종교적 의무를 관면)을 활용하여 스스로를 은폐하고, 대중을 장악하고, 기반이 되는 요새나 성을 점령하는 등 지속적인 세력확장에 힘을 썼다. 그리고 이슬람 외부의 적, 십자군보다는 이슬람 내부의 지도자들을 목표로 삼았다. 파괴할 것은 이슬람 기성 정치, 경제, 관료 체제였던 것이다. 무함마드의 정통 후계자만이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제국을 완성시키기 위해서 그 누구와도 전략적으로 동맹을 맺고, 핍박과 억압으로 채워진 삶을 메시아적 소망으로 대체했다. 목적을 위한 수단의 합목적성은 “해방과 파괴의 복음”이 되어 불가항력적인 폭력을 동원한다. 신앙과 자기 희생이라는 신도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업고서 적의 심장을 노렸다. 때문에 칸, 술탄, 파티마, 왕, 종교 지도자들 모두는 아사신을 두려워 했다. 그들의 표적이 되면 죽임이 늘 곁에 있음을 경계해야만 했다.

아사신이 노린 정치적 효과는 존재 자체가 주는 공포였다. 언제나 갑옷을 입고 다녀야 할만큼 그 누구도 믿을 수 없는 세계를 선사한 것이다. 이 책의 핵심은 결국엔 그들도 실패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단검 하나를 쥔 소리 없는 죽음의 위협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 기존 질서를 뒤집기는 커녕 하나의 도시를 장악하지도 못했으니까.
아사신의 현대적 의미는 바로 이것이다. 대중의 “표적 없는 분노”를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조직화 할 수 있다면 아사신은 누구에게나 전통이 된다. 그러나 그들은 공포효과, 그 이상을 결코 이끌어 낼 수 없다.

국제분쟁이나 이슬람 관련도서를 읽으면서 궁금해왔던 것 중 하나가, 순니파와 시아파의 기나긴 역사적 갈등의 과정과 원인이었다. 이 책은 그 내용을 자세히 밝히고 있다. 종교적 분열이 아닌 정치적 분열이었다는 점. 시아파의 정통성에 대한 열망, 근본주의적인 성향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12이맘파, 이스마일파, 니자리파, 다이, 다와 등에 관한 설명도 들을 수 있다. 워낙 사람이름, 고유명사 등이 많이 나와서 읽기 힘든 부분도 있지만, 금세기 최고의 중동사학자 버나드 루이스의 책을 통하여 중동의 역사와 정치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자누스 2008-03-29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The Occupation of Iraq: Winning the War, Losing the Peace (Hardcover)
by Ali A. Allawi (Author) 이 책의 저자는 이라크 사람인데
미국의 네오콘에게 이라크 무력점령이라는 기본 아이디어를 준 사람으로 버나드 루이스와 레오 슈트라우스를 꼽고 이라크 점령에 한 몫을 한 네오콘 가운데 그 누구도 이라크 현실을 모르고 있었다고 말하니 버나드 루이스의 정체가 무언지 아리송하네요

라주미힌 2008-03-29 23:32   좋아요 0 | URL
'중동전문가' 맞나보네요.. 침략전쟁을 위한 '아이디어'라니... :-)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