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영화인지 몰랐으나, 느낌상 이어질 것 같아서 연달아 봤더니..
내용이 쭈욱 이어지는 영화였다. 다행 ^^

6시간 동안 봤는데도.. 그다지 힘들지는 않았다. 재미있어서 그런가...


룰(role) = 기계 = 신

룰은 원리이다.
룰은 기계다.
룰은 신이다.

그것은 깨질 수 없는 생존법칙이며, 그것을 지키는 자는 살아남고 어기면 죽는다. 신의 목소리처럼 절대성까지 지닌다.
왜? 전지와 전능을 포함하고, 인간의 모든 감각와 운명이 통제되는 게임이기 때문이다.
범인은 끊임없이 냉철함을 강조하며 유지하려 애쓴다. 감정개입은 기게적 결함의 원인이고, 원리의 오류가 된다. 이 게임은 그것을 허용하지 않는 완전한 세계를 추구하고 있다.
완전한 세계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환경변수를 제약할 수록 원하는 답은 명료해지니까.


공포와 생존의지

고통, 분노, 증오, 연민, 사랑..
신체 훼손에 의한 본능의 각성은 삶과 죽음 양극의 단면을 보여준다. 죽음의 공포 만큼의 강렬한 생존의지가 드러날 수 밖에 없는데, 마치 혈관 속의 피와 신체 밖으로 흩어진 피의 의미가 다르듯, 죽음을 앞둔 인간과 죽음을 모르는 자의 삶의 대비가 극명하다.

인간에게 주어진 선택은 가혹한 만큼 극적이다. 시간과의 싸움이며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을 필요로 한다. 고통이 따르더라도 '게임 오버'는 피해야 하지 않은가. 처절함은 그것에 있다. 살아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하라... 신체의 일부가 내것이 아닌게 되더라도... ㅡ..ㅡ;
삶의 변화... 늘 살아있기에 살아있음을 알지 못하는 자에게... '생'을 '생생'하게 일깨워 주는 것... 범인의 과대망상에 영화는 피칠로 가득하다.


기계적 틀과 실험

영화는 기계적 결과물을 생산하는 공장에 가깝다. 그리고 인간의 감각과 이성을 테스트하는 실험실이기도 하다. 영화 속에는 (살인)기계장치의 방향, 운동성, 그리고 에너지만 존재하는데, 범인은 방향과 운동성만 공급하고 피해자가 에너지원이 된다.
하지만 그 행위는 지극히 인간적 감정에 의해 움직인다. 인간에게 행해지기 실험이기 때문에 인간은 늘 그 실험의 피해자가 된다.

인간의 이성적 판단과 생존 의지에 대한 실험은 끔찍히 잔혹하다.

"규칙은 아주 명료해"

아주 명료한 세계의 무오류성... 죽음의 형상만큼이나 차갑다.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세계는 인간 세포 하나하나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유난히 영화에 열쇠와 자물쇠가 자주 등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문제는 답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답은 문제를 포함한다. 불가분의 관계가 아니기에 문제인 동시에 답은 결정된다.



그런데 영화는 뭘 보여주려고?

널 테스트한 거야
네 게임이었지


없어... 퍼즐의 재미? 끔찍함?



작품성만 없지, 탄탄한 시나리오에 꽤 잘 만들어진 영화..
세련된 영상미도 있고...
적은 제작비로 이 정도의 완성도를 보여주다니.. 놀랍다.

 

점수 : ★★★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7-10-04 06: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주미힌 2007-10-04 09:50   좋아요 0 | URL
꼭 1편부터 보세용.. :-)

라로 2007-10-04 1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orry1, Sorry2, Sorry3

2007-10-08 16: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어디서 보나요??

라주미힌 2007-10-08 17:02   좋아요 0 | URL
집이요 :-) (적절한 대답인지 잘 모르겠어용.. ㅎㅎ)

쏘우.. 2007-10-29 0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솔직히 아직 1편만 봐서 그런지..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마지막 시체가 일어서는 장면은 참 놀라웠죠.. (이런거 적어도 될려나..)
시나리오 작가가 대단하단 생각이 들어요. 반전영화 참 좋아하지만,
지금껏 제대로 범인을 골라낸 적이 없었거든요.. 이 영화도
범인이 거의 막바지에 나올때 그냥 그러려니 했더니.. 제가 단순한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