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편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6
딘 쿤츠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표지 앞에 턱하고 박혀있는 '스릴러는 사랑이다'라는 문구를 처음 봤을 때, 살짝 웃었다. 참 애썼네, 싶었다. 그런데 책을 중간쯤 읽다가 이제 그만 씻고 잠자리에 들려는 찰나, 그 말이 맞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곰곰히 생각해 보니 정말 그렇다. 결국 오던 잠은 어디론가 쫒겨가 버리고, 말똥말똥한 정신으로 이런저런 생각이 꼬리를 문다.
스릴러의 생명은 절박함과 속도감이다. 책장을 닫는 그 순간까지 100미터 달리기를 하는 기분으로 계속 내달리게 해야 한다. 그것도 바로 뒤꽁무니에 불길이라고 덮칠쎄라 정신없이.
대부분 쫓기는 사람이 주인공인 스릴러에서 그들이 허겁지겁 도망을 다니는 경우는 잡히면 죽을지도 모른다는 위기감, 그만두면 모두 끝장난다는 절망감이 그 동력이 되며, 그런 동력의 원천은 역시 그와 가장 가까운 사람, 즉 '사랑하는 이'가 될 수밖에 없다. 그것은 주인공이 쫓는 사람이 된다고 해도 그리 달라지지 않는데, 그 이유가 '정의', '인권' 등과 같은 것이라며 목숨의 위협을 감수하면서까지 쫓는 게 쉬이 공감될 수 없기 때문이다. 내 아내를 지키기 위해, 내 아이를 구하기 위해 쫓긴다, 혹은 쫓는다, 이 얼마나 설득력있는 구조란 말인가. 그러므로 딘 쿤츠의 <남편>에서 남편이 아내를 구하기 위해 온갖 사지로 내몰리며 쫓겨다니고, 또한 쫓게 된다는 설정은 스릴러의 가장 전형적이며 또한 근원적인 명제를 증명하는 것이다.
밋치는 사랑하는 아내와 함께 건실하게 생활하고 있는 극히 평범한 사람이다. 총을 쏜다거나 누군가를 포박하고 고문한다거나 더 나아가 죽이는 건, 해본 적도 없고 해야할 이유도 없었다. 그런 그가 납치된 아내를 구하기 위해 위에 나열한 그런 일들을 해야만 했고, 갖은 고생끝에 아내를 구하게 된다는 이야기가 바로 <남편>이다. 정말 그게 전부다. 아내를 구하기 위해 남편이 어떻게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
이 정도면 '스릴러는 사랑이다'라는 카피를 딘 쿤츠가 직접 썼다고 해도 믿겠다. 반전이라거나 속임수같은 건 필요없다, 가장 단순하고 가장 직접적인 방식으로 이 명제를 증명하겠다, 는 각오마저 느껴진다.
그리고 그런 그의 시도는 상당히 성공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명제의 증명은 명쾌한 대신에 소소한 아쉬움들을 남긴다. 우선 가장 큰 아쉬움은 너무 단순하다는 것. 이야기의 중심이 평범하고 소심했던 남편 밋치만을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사건의 디테일이 좀더 풍부해질 가능성들이 모두 사라졌다. 가장 아쉬웠던 것이 태거트 형사에 대한 부분이었는데, 적으로든 동료로든 좀더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면 이야기가 좀더 다이나믹해질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좀처럼 떨어지질 않는다. 그러려면 제목이 <남편과 형사> 가 되었으려나.
납치범들의 이야기 역시 지나치게 단순하게 처리되었다. 초반부 혀를 내두를 정도로 집요하고 치밀하게 보였던 그들이 중반 이후 스르륵 정리되더니 결국은 한 정신착란증 환자의 소행으로 귀착되어 버리는 듯한 모습은 역시, 소설의 중심을 모두 '남편'에게만 맞추려다 보니 그리 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아내에 대한 사랑, 아내를 구하려는 열망 역시 단순하게 그려졌다는 느낌이다. 뛰어난 사건의 묘사를 감정의 묘사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종종 들었다. 그런 위급한 상황에선 맹목적이 될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하달 수도 있지만, 당연한 논리인 만큼 좀더 세심하게 묘사되었다면 더 공감할 수 있었을 게다.
그러나, 이상의 아쉬움 부분과는 별개로, '스릴러는 사랑이다'라는 명제는 이 책에서 단순하고 명쾌하게 증명되고 있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은 그래서 이런 식일 수밖에 없다. 뛰어노는 아이들과 사랑스런 아내를 안고 춤추는 모습.
사족)
다 읽고 나서, 내가 이렇게 납치되었다면 우리 남편은 어떻게 하려나 생각해 봤다. 밋치처럼 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 고개를 절레절레 저었다. 우리 신랑은 그냥 경찰에 신고해버렸음 좋겠다. 밋치처럼 나를 구하려 온다고 해도 별로 기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까지... 아마 이랬겠지.
"죽으려고 환장했어? 바보야!! 뭐하러 여기까지 와? 경찰은 폼으로 있는 줄 알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