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일리치의 죽음> 똘스또이그간 문학작품을 못읽었다. 그래서 3월부터는 얇은 고전을 읽기로 했다. 휴일이라 이거저거 하면서도 차분히 한 편을 읽을 수 있었다.똘스또이가 왜 세계적 작가인지 느껴졌다. 죽어가는 이반의 모습에서 독자는 삶을 어떻게 살아야하나 깊이 생각해보게 된다. 시대를 관통하는 진리를 이야기 속에 녹여내는 기술이 이런거구나 다시 한 번 느꼈다.
책읽기 제일 좋은 시간은 새 책을 바로 받았을때랜다. 사실 이사와 집정리와 넷플릭스 때문에 책을 못읽은지 한참이었다. 나는 그녀의 작품을 다 봤다.(콩나물, 우리들, 우리집) 무지 좋아한다. 나랑 열 살 차이 여성감독. 여성이 감독으로 입봉하는 경우가 이땅에서는 손에 꼽을만하다. 우리가 봤을땐 대단한 성취를 한 그녀지만, 그녀안에는 요즘 젊은이들이 가지고 있는 불안이 아직 가득하다. 불안은 우울에 빠지게도 하지만, 삶에 대한 동력이 되기도 한다. 나도 그녀만큼이나 <호호호>한 성격ㅋㅋ (궁금하면 읽어보시길) 좋아하는게 가득해서 다 해보고 싶어하고, 좋아하는 걸 좇아다닌다. 남들 눈치 보지 말고 내 좋아하는 걸 하는게 행복이라는 걸, 그녀는 나보다 일찍 깨달은 것 같다. 어쨌든 깨달은게 어딘가? 나 좋은대로 살자! 행복하게^^
<소소재>상가에 서재를 하나 꾸몄다.500보증금에 월 35만원.나만의 공간, 자기만의 방.굉장히 부자가 된 느낌이다.행복하다!!
늘 쓸모와 유용성을 추궁당하듯 질문받는 문학이 담담히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은, 문학의 입장에선 그러한 질문들이야말로 쓸모없고 유용하지 않은 무례한 질문인 까닭일 것이다. - 쓸모와 유용성 없이 살고픈 나에게 훅 꽂힌 오늘의 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