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코르크 마개가 열릴 때까지 - 진수미 시집 문학동네 시집 79
진수미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삼년쯤 전에 여자친구와 함께 "버자이너 모놀로그"를 봤다. 서주희씨의 모놀로그였는데, 모놀로그는 처음보는 것이라서 한 명의 배우가 2시간 남짓한 연극을 이끌어간다는 것이 놀라웠다. 사실 '모놀로그'(독백)이라기보다는 관객을 대상으로 서주희씨가 말을 건네며, 중간중간 연기가 들어가는 형식이었다. 이 유명한 연극이 강조하는 것은 제목에도 잘 들어나 있듯이 여성의 性에 대한 사회적 억압의 폭로와 이의 전복이다.

관객들에게 서주희씨가 계속 요청했던 것도 '보지'를 발화해보라는 것이었다. 우리 사회에서 터부가 된 그 단어. 남자 아이들의 성기는 '고추'라고 은유되어 발화되지만, 여성의 성기는 음담패설에만 등장할 뿐이다. 그러한 억압을 벗어던지라고 하며 서주희씨는 관객들에게 '보지'라고 큰소리로 외칠 것을 강요(?)했지만, 나는 입안에서만 맴도는 소리로 속삭였을 뿐이다. 그만큼, 그 단어는 억압되어 있다.

그러면서 서주희씨가 여성 관객들에게 제안을 했던 일 중 하나가 자신의 성기를 거울에 비춰보라는 것이었다. 부끄러운 것으로, 끔찍한 것으로 상상되는 '그 것'을 직시하고 '그 곳'을 들여다보라는 것. 자신의 신체의 일부이며 소중한 기관이지, 일상 담화에서 억압되고 평생 악마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보지(!)못할 곳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이 시집을 읽으면서, 이러한 '버자이너 모놀로그'의 기억이 떠올랐던 것은 다음과 같은 시 때문이다.

Vaginal Flower

여름학기/여성학 종강한 뒤,

화장실 바닥에/거울 놓고/양다리 활짝 열었다.

선분홍/꽃잎 한 점 보았다.

이럴 수가!/오, 모르게 꽃이었다니

아랫배 깊숙이/구근 한 덩이/이렇게 숨겨져 있었구나

하얀 크리넥스/입입으로 피워낸 꽃잎처럼

철따라/點點이 피꽃 게우며,

울컥 불컥/목젖 헹구며,

나/물오른/한 줄기 꽃대였다네.

이 시는 나를 매우 불편하게 만들었다. 그 불편함의 원인에 대해서 따져보자. 우선 이 시는 앞서 "버자이너 모놀로그"에서 의도한 것처럼 억압된 여성성의 복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자는 '여성학 종강한 뒤'에 자신의 성기를 관찰한다. 그런데 독자가 불편해지기 시작하는 것은 여성의 성기를 '선분홍/꽃잎'으로 비유할 때부터이다. 이는 매우 상투적인 비유이다, 그러나 이 '꽃'의 비유가 계속 전개되면서 월경이 '피꽃'으로 비유되며 마침내 화자의 몸자체가 '꽃대'이고 화자의 성기가 중심으로 부각되면서부터 불편함은 절정에 이른다.

이러한 시각은 여성을 '女性'으로만 바라보는, 즉 다른 '性'임만을 강조하고 그 다른 '性'임만을 이용하고 그것만을 보려는 소위 '마초'사회의 시선과 너무 닮아있다.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여성성'이라는 것. 한 개인의 능력, 소망, 취미, 인간관계, 장점 등등은, '여性'이라는 것에 비하면 전혀 중요치 않은 속성이다. '물오른/한 줄기 꽃대'일 뿐.

그러나, 이러한 '불편함'이 의도된 것일 수 있다. 그들의 시선을 역이용하여 전복함으로서 더 강한 에너지를 갖을 수도 있는 것이다. '불편'하게 만듬으로서, 독자로 하여금 오히려 반성하게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렇게 읽을 수 있는 단초는 어느정도 마련되어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는 '여성성'을 강조하는 논의들은 페미니즘 운동에 있어 시작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양성평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속에서 억압되었던 것을 폭로하고 그 가치를 인정하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그러나, 억압의 폭로만으로, 여성성의 강조만으로는 부족하다. 그 대안이 문제인 것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시도 그렇게 건강하게 읽히지는 않는다.

처용短歌

처용이 왔다/한없이 작아진 처용이/한없이 어려진 처용이/곤두박질 달려왔다/그렁그렁 잠긴 얼굴을/치마폭에 던진다/한없이 어려져/한없이 좁아져/어깨 하나로/꺼이꺼이 운다/천 년 전 그 밤도/무서웠다고/오늘처럼/오주주 공포였다고

신라시대, 혹은 그 이전까지 거슬러올라가는 '처용'이라는 존재는 일종의 무당이다.

동경 밝은 달에/밤드리 노닐다가/들어와 자리 보니/다리가 넷이어라/둘은 내 것이런만/둘은 뉘 것인고/본디 내 것이다만/빼앗긴 걸 어찌하릿고.

위와 같은 처용가는 역병에 걸린 아내와 이를 관대히 용서하고 물러나서 비는 처용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처용은 천년 후 현대에 와서 왜소한 남성으로 전락한다. '한없이 어려져/한없이 좁아져''꺼이꺼이' 우는 처용의 모습은 왜소화된 남성성을 어머니와 같은 여성에게 하소연한다. 이를 받아주는 '치마폭'의 모성성은 처용과 대비되어 부드럽고도 인자한 미소와 묵묵한 시선을 상상케한다.

앞서 말한 것처럼, 그러나 이것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인지. 건강한 시적 상상력이라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풍요로운 모성성과 당당한 여성성은 물론 좋다. 그러나 이것이 남성성의 왜소화와, 여성을 '女性'으로 환원하는 시선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는 '그들'의 논리를 그대로 가져오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