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근대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권력
임형택 외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몇가지 새삼 재인식한 것들이 있다. 우선 학술대회의 발표문들을 모아서 이렇게 꽤나 뚜렷한 주제의식의 책을 낼 수 있다는 것이 부럽고 또 좋다.


'전통'이라는 것은 무수하게 다양한 기억들 중에서 일부 편집해서 생성해낸 것이라는, 이미 당연하게 느껴지는 것을 기본 주제의식으로 한다. 홉스봄의 '만들어진 전통'이 이미 벌써 30년도 더 된 책이다.


아쉬운 것은, 전통에 대한 개념사적인 정리가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제외되어 있다. 고미숙 선생의 글은 기존 유학적 이데올로기로 조선시대를 바라보는 것을 비판하며, 가족 안에서 여성의 역할, 연대하는 여성 등을 홍명희의 <<임꺽정>>을 바탕으로 조명한다. 가장 세밀하게 다루어져야 될 부분이, 과연 1920년대에 쓰인 <<임꺽정>>과 실제 조선전기 임꺽정 사이의 간극이고, 이 1920년대 산 소설을 조선시대 풍속사의 증거로 다루어지기 전의 '사료비판'의 과정이 부재하는 지점이 아쉽다.


박노자 선생의 글은 계속 주지하지만, 가끔 까먹게 되는 20세기 초 한반도의 담론과 '동아시아적 시야'의 필수성을 일깨워준다. 신채호의 민족, 국수개념이 양계초와 어떻게 이어지고, 또 이것이 19세기 일본의 '정교사' 집단의 개념에서 어떻게 발원했는지를 지적하고 있다. 

특히 신채호의 유학적 베이스가 어떻게 민족, 국수 개념이나 아나키즘을 받아들이게 되었는지를 서술하는 부분이 흥미롭다. 당시 나라를 구할 수 있는 이념을 '국가주의'로 생각했던 단재가, 유교의 '효의 논리'를 받아들여서, 단군의 자손으로서의 '우리 민족'을 상정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신분을 초월해서 '가족'이라는 '우리'를 만들고자 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원래 유교에서 임금-아비/신하-어미/백성-자식들이라는 것은 보편적인 사고방식 아닌가? 충담사의 안민가에도 그렇고, 군군, 신신, 민민. 동몽선습에서도 이러한 사고방식이 뚜렷이 각인되어 있다. 그럼에도 이 '가족'이라는 게 문제가 되는 것은, 단군 아래 '평등'한 가족이 아니라, 위계가 있다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단재의 유학적 세계관이 어디까지 이어지는지, 그의 민족주의, 아나키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조금 더 세밀한 논의가 필요하다.


진경환 선생은 결국 '누구의 전통'을 강조하면, 서발턴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전통'이라는 것 자체가 '지금-여기'의 정체성 요구와 관계되는 것으로 본다.


홉스봄 이후 30년.. 우리 학계에서 조금 더 발본적인 문제제기가 가능하지 않았을까? 근원적으로 '전통'이라는 개념을 계보학적으로 탐구하거나, 이 '전통'이 현재 학문에 미친 영향 같은 것을 현재 학위논문들이나 소논문들로 추적하는 작업도 좋았을 것 같고.. 아니면 아예 관 담론들 분석 등으로, 정말 '지금-여기'와 연결시키는 작업이 보다 진척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