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해전부터, 힐링이 대세다. 이 책도 힐링의 맥락에서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책의 내용은 자신의 보물을 찾아나선 양치기의 모험이라 할 수 있고, 이 글의 교훈은 '너 자신을 믿고, 내 꿈을 찾아 떠나라'정도가 될 것이다. 이 책의 실전판(?)이 한비야의 책들이며, 교훈판이 '아프니까 청춘이다'라 할 수 있따.

 

그럼에도 이 소설만의 특징은, '연금술사'라는 소재를 통해서, 모든 것이 불확실해지고 개인이 왜소해진 시대에 '자아의 신화'라는 확실성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 소설의 표지에서도 연상되지만, 나는 읽고 나서 루카치 "소설의 이론"의 저 유명한 문장이 떠올랐다.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 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여기서 '별빛이 그 길을 밝혀 주던 시대'는 분명 근대 이전의 시대일 것이다. 중세적인 절대적 신의 말을 따를 수 있는 시대. 자신이 태어난 신분이 자신의 삶을 결정하는 시대에 사람들은 고민할 것이 없었다. 저 창공에서 반짝이는 별처럼, 세상은 이미 가야할 길이 정해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별들을 잃어버렸고, 그렇기에 아프다. 청춘이 100만번 흔들려야 어른이 되는 이유도 같은 맥락으로 우리의 길을 가리키는 별이 없기에 우리는 방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소설속 주인공 양치기도 자신의 꿈을 찾으려다 좌절하고 고민하다가 좋은 멘토인 연금술사를 만나 마침내 자신의 꿈을 이룬다. 즉 코엘료는 '네 마음이 제시하는 네 자아의 신화'를 따르라고 연금술사를 빌려 이야기한다.

 

연금술사란 무엇인가? 일반 금속을 금으로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로, 지금 입장에서는 연금술은 매우 중세적인 유사학문이지만, 연금술은 근대적인 화학과 과학을 만드는데 큰 기여를 했다. 근대적 이성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아이작 뉴튼 경도 연금술사였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그런 의미에서 '연금술'이라는 소재는 이 소설의 중세적이며 근대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신이 사라지고 개인이 절대적 위치에 선 근대라는 시대에 코엘료는 자아 자체를 새로운 신으로, 자아의 신화를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내서 흔들리는 청춘들을 위로한다. 별빛이 사라진 시대에, 코엘료는 힘주어 '네 마음을 따르라'라고 하며, 마음은 곧 신과 연결되어 있다라고 말한다. 어찌보면 퇴보적이고 중세적이지만, 개개인 자아를 따르라고 역설한다는 점에서는 근대적이다. 이렇게 뻔한 진리를 우아하게 썼기 때문에 엄청난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된 것이 아닐까? 성경과 불경 등이 그러하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