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워, 한글 우리 얼 그림책 3
박윤규 글, 백대승 그림, 김슬옹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우연하게 채널을 돌리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다.간송본보다 더 어문학적 견해가 많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상주본'에 대한 이야기였다. 어느 한사람의 욕심 때문에 귀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 세상의 빛을 보지 못하고 화마속에서 어떻게 되었는지 그 후가 궁금하기도 하지만 누구의 것이냐로 진흙탕 싸움의 논쟁이 되고 상주본의 진짜 주인은 누구이며 그 가치는 얼마인지.돈으로 환산하기 보다는 귀중한 문화유산이기 때문에 어느 한사람의 욕심을 채우기 보다는 양지로 나와 그 가치가 존중되어야 한다고 본다.그래서였을까 이 책은 좀더 다르게 다가왔다.

 

세종대왕은 왜 몰래 한글을 만들었을까? 누구와 어떻게 만들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 책에서는 세종대왕이 학자들과 만들기 보나는 가까운 가족인 시집간 둘째 딸인 정의 공주와 만들었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누구보다 슬기롭고 말과 글자에 남달리 밝았던 정의 공주,왜 학자가 아닌 가족과 몰래 만들었다고 하느냐에 대한 이야기는 책의 뒤에 보태는 글로 이어져 있다.세상의 중심이 중국이라 여기고 한자를 위대한 글자라 여기던 시대였기 때문에 새로운 글자의 탄생을 알린다면 반대의 소리도 만만치 않았으리라.실제 훈민정음이 반포되고 반대가 심했다고 한다.남의 옷을 빌려 입듯이 하고 있는 것이 당연하게 받아 들여지고 있던 때이니 세종대왕의 고충도 이만저만이 아니었으리라 본다. 예나지금이나 새로운 것이 받아 들여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 터인데 그것이 우연한 것이 아니라 과학적이면서도 쉽고 편하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가치인가.

 

재밌는 그림과 함께 한글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의미를 짚어 보는 시간으로 저학년 어린이 뿐만이 아니라 모두가 읽어도 흥미롭게 읽을 책이다.'어떻게 하면 소리를 눈에 보이듯 쉽게 표시할 수 있을까?' 닿소리와 홀소리를 만들어 세상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게 만든 한글,'자연의 이치가 모두 담겨 있어 배우거나 쓰기가 무척 쉽습니다.' 쉽고 편하게 쓰고 있어 우리는 그 가치를 너무 낮게 보고 있는 것인지 요즘은 알아듣지 못하는 말도 참 많이 탄생을 했고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과 같은 진통을 겪고 있기도 하지만 한글의 우수성을 알고 배우려하는 이들이 많다는 이야기도 종종 접하다보면 긍지를 가져야겠다는 생각도 가져본다.한글의 시작부터 오늘날의 모습까지 모두를 담아 내어 아이들과 둘러 앉아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읽어도 참 좋을 책이다.우리가 쉽게 주고 받는 스마트폰의 문자를 봐도 한글이 아니었다면.소중한 문화 유산은 우리것이 아니라 빌려 쓰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후손에게 물려 주어야 한다고 본다.그런 의미에서 상주본이 개인적이기 보다는 유산으로 그 소중한 가치로 빛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