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나는 없었다 애거사 크리스티 스페셜 컬렉션 1
애거사 크리스티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의 본성은 쉽게 변할까?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오랜동안 그사람 안에서 자리를 잡아 온 것이 하루아침에 변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고 본다. 애거서 크리스티 여사의 <추리소설 전집>을 모으고 있고 여러 권 읽었지만 읽은 책보다 아직 읽지 않은 책들이 더 많다. 그만큼 그녀는 우리에겐 '추리소설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녀가 추리소설이 아닌 '여성심리'에 대한 심리소설을 썼다니 그것도 추리소설 작가로 알고 있는 이름과 혼동을 줄까 '메리 웨스트매콧'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심리 서스펜스란다. 그녀는 남편의 바람으로 인해 한동안 스스로 실종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는데 그때를 바탕으로 여섯편의 여성 심리소설을 썼단다.그중에서 한 중인 듯 한데 추리소설이 익숙하기에 '심리 서스펜스'는 어떨까 했는데 한마디로 재밌게 읽었다.그녀의 팬이라면 한번 읽어볼만 하다.

 

영국 런던에서 멀지 않은 한적한 타운,조앤은 변호사인 남편과 세 자녀를 둔 평범한 주부며 어머니로 정원을 가꾸는 일을 좋아하고 테니스 모임을 하는등 한마디로 남들 눈에는 우아하면서도 행복하고 안락한 삶을 꾸려가고 있다.남편인 로드니는 집안 대대로 이어 온 변호사를 선택하기 보다는 농장을 꾸려볼까라는 이야기를 꺼내기도 했지만 그녀가 한사코 반대를 하여 지역 변호사로 안정된 기반을 다져 왔으며 현재는 더 번성하였다.하지만 아들인 토니가 대를 이어주지 않고 그가 하고 싶어하는 농장일을 찾아 그들 곁을 떠났고 그곳에서 한번도 보지 못한 아가씨와 결혼을 했기에 그것이 못마땅할 뿐이다. 에이버릴과 바버라도 결혼을 하여 살고 있고 바그다드에 사는 바버라가 중병이 났다고 해서 그곳에 다녀오던 길에 육로길을 선택하여 오던 중 폭우로 인해 사막 한가운데 갇히게 된다.그곳에서 마주한 자신의 본 모습,지금까지 자신이 보고 있던 것은 진실이 아닌 거짓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진실은 무얼까?

 

"진작 거기서 아빠를 빼냈어야죠.아빠가 그 일을 싫어하는 걸 모르셨어요? 엄마는 아빠에 대해 아무것도 몰라요?"

"이제 그만해라,토니. 당연히 나는 네 아빠를 잘 알아 너보다 더 휠씬 많이 안다."

"글쎄요,아닌 것 같은데요. 가끔 난 엄마가 그 누구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요.
"

 

여자들이 흔히 아이들이 성장해서 나가고 남편 또한 사회적 지위가 높아갈수록 빈둥지증후군을 더 느낀다고 한다. 갱년기에 한참 빈둥지증후군으로 자신을 돌아보며 허망해할 나이다. 거기에 자식들 결혼이 그들 부부 맘에 흡족한 결혼이 아니었고 누군가 가업을 이어주었다면 바랐지만 그것도 아니었으며 로드니는 자신에게 보다는 머나 랜돌프라는 아가씨와 바람이 난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보잘것 없다고 여기고 있는 레슬리 셔스턴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이다.그런 사실들을 외면하고 있었는데 우연히 허허벌판에서 만난 동참 블란치 해거드의 말 때문에 자신의 지난 삶을 곱씹어 보게 된다.그것도 폭우로 오도가도 못하게 막히고 늘 같은 메뉴가 나오는 별볼일 없는 숙소와 사람들 그리고 사막 한가운데서 말이다. 그녀 곁엔 아무것도 없다.신기루처럼 자신을 휘감고 있는 오리무중의 이 시공간만 있을 뿐 잘나가는 지역변호사인 남편도 자식도 남편이 마음에 두고 있는 영혼도 정말 아무것도 없다. 허허벌판과 같은 사막 한가운데서 지난 일들을 반추해 보던 그녀,지금까지 자신이 진실을 외면하고 아니 식구들이 자신에게는 진실에 귀를 막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되고는 공허함 두려움 그리고 무서움에 갇혀 방황한다. 이제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나? 지금처럼 살아야 하나? 변해야 한다.진실을 외면하지 말고 진실과 부딪히며 정면승부를 해야한다고 다짐을 한다. 먼저 남편에게 용서를 구하고 변하리라 다짐하는 그녀에게 기다리고 기다리던 기차가 왔다고 이야기를 해준다.

 

"인간은 하고 실은 일 - 타고난 일 - 을 하지 못하면 반쪽짜리 인간에 불과할 뿐이다."

 

허허벌판인 사막 한가운데,자기 자신을 보았던 신기루와 같은 이곳에서 벗어날 수 있는 문명으로 자신을 데려다 줄 기차. 그 기차에서 온갖 일을 겪으며 죽으러 가는지 살러 가는지 모르는 공작부인을 만나 자신의 지난 일을 다 털어 놓고 후회를 하며 집에 도착하 그녀,남편을 보고 과연 그녀가 사막 한가운데도 느꼈던 그 마음으로 변하여 새로운 조앤으로 돌아 온 것일까? 집은 그녀의 든든한 울타리다. 집으로 돌아 왔다는 것은 자신의 본성으로 다시 돌아 왔다는 것,인간의 본성이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그녀 오랜시간동안 사막 한가운데서 방황하며 고뇌했지만 집이란 아늑한 보금자리는 다시금 원래의 그녀로 되돌려 놓았다는 것,쉽게 변할 수 없는 인간의 심리를 그대로 보여준다.' "난 혼자가 아니에요. 난 혼자가 아니라구요. 내겐 당신이 있잖아요." "그래, 당신에게는 내가 있지."...당신은 외톨이고 앞으로도 죽 그럴 거야. 하지만 부디 당신이 그 사실을 모르길 바라.' 섬짓하다. 남편의 마지막 말이.어떤 서스펜스보다 더 소름 돋는다.그렇게 살고 있는 '우리' 아닌가. 어차피 인간은 혼자이지만 가족이라 여겼던 울타리 안에서 자식에게도 남편에게도 속하지 못한 여인,어디로 가야 한단말인가.

 

참된 진실보다는 유쾌하고 편안한 것들을 사실이라고 믿는 편이 휠씬 수월하기 때문에.그래야 자신이 아프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 대해 몰랐다.

 

갱년기나 빈둥지증후군이나 몇 년 전에는 남의 말처럼 여겼지만 이제 그것이 현실이 되고보니 이 산을 잘 넘어야겠다는 생각만 든다. 별거 아닌 일에도 화가 나고 스트레스수치가 팍팍 올라가는 나이,그렇다고 어느 누구 자신들을 위해 늘 희생을 한 '엄마'를 돌아봐주진 않는다.자신들도 살기 바쁜 나이다. 그런 상황에서 믿고 의지해야 할 남편이 자신보다 정말 못하고 보잘 것 없다고 여겨지는 여자와 바람이 났다. 그것도 눈에서 보이는 곳에서 말이다. 그녀는 자신이 기도를 한것도 아닌데 몹쓸병에 걸려 죽고 남편도 죽게 되고 아이들도 잘 풀리지 않았다. 남편이 이제 돌아볼 사람은 자신 밖에 없다고 생각하게 되어 좀더 잘해야겠다 생각을 하지만 너무 거리감이 느껴진다. 서로에게 돌아갈 수 있을까? 남편도 아내도 너무 멀리 돌아 온 듯 하지만 이제 그 거리는 좁혀지지 않고 평행선처럼 그렇게 나아가게 될 듯 하다. 조앤의 그 마음이 이해되면서도 좀더 딸들이 엄마와 친구처럼 지내지 못하는 다른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딸들이 아빠가 아니라 엄마와 좀더 살뜰했었더라면 하는 생각을 가져보며 조앤과는 좀 다르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이 작품을 읽고 나니 크리스티 여사의 심리 서스펜스 여섯 작품을 모두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