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옆에는 왜 이상한 사람이 많을까? - 재수 없고 짜증 나는 12가지 진상형 인간 대응법
산드라 뤼프케스 & 모니카 비트블룸 외 지음, 서유리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에 있어서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피할 수 없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할까? 그냥 억지로라도 등을 돌려야할까? '피할 수 없으면 부딪혀라' 라고 어쩔 수 없이 시공간에 함께 있어야 한다면 부딪혀서 좀더 편하게 지내야 할 것이다. 집안에서도 밖에서도 어디에서나 인간관계라는 것이 참 힘들다. 피를 나눈 형제간에도 맘이 잘 통하는 사람이 있고 부모라고 해도 모두 맘이 통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 나와 정말 잘 통하는 이가 있을 것이다. 하물며 나와 아무 상관이 없는 남인데 모든 것이 내 맘에 들 수는 없는 것이다. 상대가 내 맘에 안드는 부분이 있듯이 나 또한 상대에게 그런 역할일지 모른다는 것을 거울을 보듯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하는 일은 맘에 드는데 함께 하는 사람들이 맘에 들지 않아,사사건건 부딪혀서 문제를 일으키기에 직장을 옮기는 경우도 있다. 어딜가나 있는 사람관계라 참아 보려고 해도 정말 눈에 가시처럼 구는 그런 인물이 한 둘 있게 마련이다. 상대가 맘에 들지 않는다고 혼자 느끼는 것이 아니라 모두의 눈에 그렇게 비춰진다면 고쳐야 하겠지만 사람의 본성이란 금방 하루아침에 고쳐지는 것이 아니라 힘들다.이 책은 범죄소설 인기작가인 산드라 뤼프케스와 심리학과 정신의학을 공부한 모니카 비트블룸이 '나는 오늘도 그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라는 좌우명아래 그 노력의 일환으로 쓰게 된 책이라고 한다.범죄 소설가와 심리학자가 만나서일까 딱딱한 심리학이 아니라 소설처럼 읽어나갔다.

 

이상한 사람으로는 ' 남의 업적을 가로채는 사람,뭐든지 아는 체하는 사람,화를 잘 내는 사람, 치근덕거리는 사람,거짓말을 일삼는 사람,남의 성공을 시기하는 사람,까다로운 척하는 사람,불평불만이 많은 사람,그때끄때 인격이 달라지는 사람,거져먹으려는 사람, 불행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사람,긍정을 강요하는 사람'으로 나뉘어 있고 마지막에는 '나도 누군가에게는 이상한 사람?' 이라 하여 자신이 어디에 속하는지 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 요런것 재미로 꼭 한번씩은 해보는,그렇다고 무어라고 딱 정의하기는 그렇지만 나쁘게 나오면 괜히 또 기분 나쁘기도 하지만 이상한 사람군에 속하는 것을 가만히 읽어보면 하나라도 아니 한번도 해보지 않았거나 심리상태가 그렇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사람인지라 한번씩은 내가 상대에게 그런 부류로 비춰졌거나 그런 상황이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좋고,어떤 경우에는 그렇게 해봤자 소용이 없기 때문에 그저 피하는 것이 상책이기도 하다. 어떤 경우에는 비폭력적인 의사소통의 원칙을 동원해야 하고,또 어떤 경우에는 당신만의 무기로 반격을 해야 한다.우리는 이런 불쾌한 인간들을 피해서 살아갈 수 없다. 이상한 사람 질량 보존의 법칙,즉 이 세상 어디를 가든 이런 사람 한둘쯤은 만나게 되기 때문이다.

 

남의 업적을 가로채는 사람,도덕은 아랑곳하지 않는 탐욕스런 사람,남을 착취하여 부당이득을 노리는 사람,남의 업적을 슬쩍 가로채려는 사람,공동체의 관심보다 자시느이 관심을 전면에 내세우는 사람.조직사회에서 이런 사람 꼭 있다. 그것이 나와 정말 친한 사람이라면 더욱 황당하다.앞에서는 아무일도 아니듯이 하다가 뒤로는 자신의 것인양 모든 결과를 자신의 것으로 하는 사람,정말 이런 사람과는 상대하고 싶지 않지만 상대가 뭔가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의 것을 가로채갔다고 보는 너무 인정많은 충고로 맺지만 그런 기회를 자신의 PR기회로 삼아 좀저 발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 보라는 충고도 괜찮은 듯.하지만 대부분은 그야말로 한바탕 해야 직성이 풀릴 듯 하다.그냥 넘어간다면 그런 사람은 자신이 잘못하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고 늘 그런식으로 살아갈 것이다.자신이 하기 보다는 남이 이루어 놓은 것을 슬쩍 슬쩍 하면서 다된 밥상에 숟가락만 얹으려 하면서 살아가게 될 것이다.남의 업적을 가로채는 사람,나르시시즘에 빠진 반사회적 인생관이란다.

 

뭐든지 아는 체하는 사람,자신이 돋보여야 하는 자기애성 인격 장애라고 했다.지식이 풍부해서 아는 체하는 것과 모르면서 아는 체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뭐든지 아는 체하는 사람은 고압적인 자세로 잘난 체하는 사람,묻지도 않은 충고를 하는 사람,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지적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상대방의 열등감을 자극하는 사람. 이런 사람이 곁에 있다면 정말 피곤하고 스트레스 받는다.하지만 자신은 그런 사람인줄 모른다는 것이다.자신이 하는 충고가 뭐 대단한 것이라도 되는 양 자신도 잘나지 못하면서 상대방의 행동을 지적질 한다면 정말 거북하고 기분 나쁘다. 그렇다고 그런 사람에게 그런식으로 말하지 말라고 해서 고쳐지는 것이 아니라 본성이 그렇기 때문에 힘들다는 것.누구나 자신이 생각하거나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이 정답이라고 자신을 내세우길 좋아한다. 하지만 상대를 배려할 줄 아는 경청이 먼저여야 하는데 자신의 생각만 내세우며 열등감을 자극하는 사람은 자신이 열등감에 빠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상대보다 잘나고 싶은데 그러지 못하는 열등의식 속에 늘 자신을 포장하려고 하다보면 '체' 하는 사람이 되기 싶다.나이 먹으면서 '체'하며 살지 않으려고 노력하는데 나이 먹을수록 '체'와 '척'은 가까이 하면 안좋은 단어들이다.상대보다 '더' 똑똑하고 상대보다 '더' 유능해지고 싶은 당신,이런 사람과는 논쟁을 피하고 정면 승부를 해 부딪혀야 한다는 것.

 

피할 수 없으면 부딪혀서 이겨내야 한다. 회피한다고 언제 어디서나 만나게 될 '이상한 사람'을 평생 안보고 안겪고 살수는 없으니 말이다.요즘은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다녀서인지 잘난 사람도 많고 잘난 척 하는 사람도 많다.그런가하면 타인의 이야기와 자신을 비교하여 괜히 시비를 걸듯 '이상한 부류'에 빠지는 사람들이 있다.일시적인 것이라면 부딪혀 이겨내지만 본성이란 것이 틀에 박히듯 하루아침에 고쳐지는 것이 아니기도 하지만 나 또한 상에게는 이상한 사람으로 낙인 찍히는 경우도 있고 그런 사람 부류에 끼어 있는 지도 모른다. 사회가 발달하고 문명이 발달해 나갈수록 사람과 사람 사이가 사소한 것으로 더 애매해져 가는 듯 하다. 진상형 인간이 싫다면 나 또한 타인에게 진상형이 되지 않기 위하여 좀더 노력하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