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vs. 알렉스 우즈
개빈 익스텐스 지음, 진영인 옮김 / 책세상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얼마전 세간을 떠들썩 하게 만든 '진주 운석' 사건,그로인해 우리나라에서도 운석에 대한 것들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한동안 진주는 운석사냥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는 뉴스를 접하게 되었다.그런가하면 운석의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또한 이목을 끌기도 했지만 그야말로 우주에서 떨어진 스톤로또에 대한 사람들이 기대치가 운석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었는지 모른다. 그렇다면 우주에서 떨어지는 운석에 그것도 자신의 욕실에서 머리에 맞을 확률은 얼마나 될까? 물론 운석을 발견할 확률보다 더 불가능한 확률일 것이며 이런 경우가 정말 존재할까 싶은 그런일이 소설 속에 그려진다.

 

욕실 천장을 뚫고 날아든 운석을 맞기 전에는 '알렉스 우즈'는 평범하다면 평범하고 그렇지 않다면 평범하지 않은 소년이었다. 이목이 그렇다는 것이다.그의 엄마는 영혼에서 보내는 메세지를 해석해서 사람들에게 들려주는 타로점을 보는 일로 생계를 꾸려가며 혼자 힘으로 우즈를 키우고 있다.그에겐 생물학적인 아버지는 거론된 적이 없기도 하고 현재에도 미래에도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런가하면 그는 고양이 루시퍼를 언니처럼 여기고 살고 있고 집안에서 생식이 가능한 것은 고양이 루시뿐이다.그 속에서 평범한 생활을 하던 소년이 열 살에 욕실천정을 뚫고 날아든 운석에 맞으면서 그의 삶은 180도 변했다고 볼 수 있다. 이주일여 코마 상태에 빠져 있던 그는 천국인지 현세인지 모를 세상을 향해 눈을 뜬다.그것이 운석을 머리에 맞고 이주일이 지나고 난 후이기도 하지만 그의 머리엔 영광의 상흔이 남게 되었다.그로 인해 간질을 앓게 되고 학교에서는 왕따아닌 왕따와 같은 삶을 살게 되기도 하고 간질로 인해 학교를 쉬게 되면서 책과 친하게 되고 과학과 의학에 눈을 뜨게 된다. 그러다 다시 학교에 가게 되지만 그의 무력함은 나아지지 않고 축구부 친구들에게 늘 표적이 되어 힘겨운 학교생활을 이어가던 중에 짖꿎은 축구부친구들의 장난에 피터슨이라는 사람의 온실에 숨어들게 되고 월남전 참전용사이며 숨어 살 듯 하는 피터슨과의 운명적인 만남을 가진다.

 

"그래,뇌는 우리 한 사람 한 사람한테 그 사람만의 우주를 만들어주지. 우리가 아는 것, 보고 만지는 것, 느끼고 기억하는 것 모두가 뇌 안에 담겨 있어. 말하자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우리가 우리한테 만들어준 거야. 뇌가 없으면 아무것도 없는 거야. 이런 이야기를 하면 어떤 사람은 무섭다고 하지.하지만 오히려 매우 아름다운 이야기가 아닐까."

 

머리에 운석을 맞고도 살아 남았으니 우즈는 그야말로 지역의 명물중에 주요인물이라 할 수 있다. 외톨이 생활을 하는 피터슨마져 '알렉스 우즈'를 알 정도로 지역에서 그의 사고는 유명세를 타고도 남았다.그런 그가 피터슨의 온실에 뛰어들어 유리도 깨고 온실을 엉망으로 만들었지만 자신의 일이 아니라고 발뺌을 한다. 이 소년의 말을 믿어야할지 말아야할지. 우즈의 엄마는 피터슨에게 우즈의 도덕적이 교육을 위해 그가 할 수 있는 일을 시켜달라고 한다.용서의 의미에서 말이다.그렇게 하여 피터슨과 우즈의 만남은 우연이 필연인 것처럼 연결고리가 이어지게 되었다. 피터슨으로 말할것 같으면 불행이란 불행은 모두 그에게 수렴한듯이 인생 자체가 불행과 같은 사나이다. 아내도 몇 년 전 암으로 세상을 떠났고 자식도 없다. 월남전으로 입은 피해로 인해 한쪽 다리마져 정상이 아니다.그런 그는 <커트 보네거트>라는 작가를 좋아해서 그가 유기견센터에서 데려 온 개의 이름마져 '커트'다. 커트가 유일한 그의 동반자라고 할 수 있는 처지에 우즈가 그의 삶에 끼어 든 것이다.월남전에 참전했기 때문에 그는 평화주의자이며 그의 힘이 필요한 곳에 편지를 써서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피터슨이 괴팍한 은둔자라고 한다면 우즈는 운석에 맞고 뇌수술을 거친 후에 사람들은 그가 무언가 모자란 듯이 바라본다.하지만 가끔 잠깐씩 일어나는 간질증세만 빼고 그는 지극히 정상적이며 또래보다 조금 높은 독서열을 가지고 있다. 아마도 운석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이기도 할 것이다. 운석이 아니었다면 과학과 우주 의학에 관심이 생겼을까.평범한 십대처럼 그도 평범한 십대로서의 관심에 이끌렸을 것이다.그런 그가 운둔자 피터슨을 만나게 되면서 그의 삶은 많이 변하게 되고 그도 <커트 보네거트>라는 작가에 빠져 '커트 보네거트 세습 교회'라는 독서회도 만들게 되고 불치병에 결려 '자살' 혹은 '안락사'를 하려는 피터슨을 도와 그의 안락사를 도와주게 된다. 이 부분에서는 <미 비포 유>라는 소설을 생각나게 했다.그 소설 또한 평범한 삶을 살던 젊은 사업가가 뜻 하지 않은 교통사고를 당하고 전신마비가 되면서 안락사를 선택하지만 가족의 반대에 부딪히지만 그를 도와준 간호조무사를 통해 안락사를 하게 된다. 자신의 삶이고 죽음인데 스스로 선택하지 못한다는 것은 당사자가 아닌 우리에게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안락사를 옹호하는 소설처럼 비취질 수도 있겠지만 이 소설이나 <미 비포 유>나 읽다보면 당사자의 선택을 받아 들이고 인정해줘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운석이 집 천장을 부수고 들어오는 건 날마다 있는 일은 아니지."

 

처음엔 운석에 맞은 평범한 십대 소년의 이야기가 그려져서 평범한 아니 환상문학인가 했는데 심오한 뜻을 가진 소설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작가의 처녀작이라는 것에 놀랐다.그런가하면 진주운석 사건이 있었기에 좀더 이야기에 더 빠져들게 되었는지도 모른다.소년 또한 자신에 머리에 떨어진 '금속돌'을 팔았다면 로또를 맞은 것처럼 거금을 손에 쥐어 현재의 삶에서 벗어날 수도 있었다.하지만 소년은 자신의 운석이 놓여야 할 자리를 잘 알고 박물관에 기증을 한다.자신만의 운석이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런가하면 운석에 맞아 뇌수술을 받고 모자란 사람 취급을 받았지만 그는 그만의 긍정의 힘으로 독서에 빠져들게 되고 그의 삶은 우물안과 같은 지구가 아닌 우주를 생각하게 되고 삶과 죽음이 그 끝을 알 수는 없지만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고 시작된 곳으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을 한다. 인간의 삶에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듯이 우주의 삶에서 탄생이 있고 그 끝이 있다. 그렇게 하여 운석이 자신에게 왔듯이 은둔자 피터슨의 삶이 누군가에게는 별 볼일 없는 삶일지 모르지만 그에게 맞는 삶이 있고 죽음이 있음을 죽음을 겪어 본 소년은 알게 된다. 너무 이른 나이에 경험한 뜻하지 않은 생과 사의 진정성에 피터슨이 선택한 죽음 또한 옳다고 보는 소년 우즈,그의 삶과 우주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을 읽으며 저자 때문에 알지 못했던 작가를 한 명 또 알게 되어 그의 작품을 검색해 보고 다음에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커트 보네거트> 소설속에서처럼 그의 작품을 가지고 독서회 정도는 가지 않겠지만 한번 읽는다면 우즈처럼 빠져들게 될까? 어떻게 보면 우즈의 엄마가 보는 타로점처럼 우연처럼 뽑아 든 카드가 마법의 세계로 이끌 듯 빠져들며 소설에 집중하게 만든다. 처음 뽑아 든 카드게 불행이었지만 그 끝은 결코 불행이라 할 수 없는 심오한 감동과 여운을 안겨주면서 저자를 기억하게 만드는 작품이었다. 이 작품과 <미 비포 유>를 함께 읽어보면 더 좋겠고 안락사를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터슨과 같은 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선택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을 해보게 된다.생은 책임질 수 없지만 죽음이란 그와는 달라야 한다는 작가의 생각을 읽으며 한동안 정신없이 바쁘게 보냈던 시간을 뒤로 하며 갑자기 내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었고 내 삶은 바른 길로 잘 가고 있는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