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인디고 아름다운 고전 시리즈 3
루이스 캐롤 지음, 김양미 옮김, 김민지 그림 / 인디고(글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라마의 여파로 케이트 디카밀로의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을 읽게 되었다. 도자기로 만든 토끼인형이 회중시계를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토끼인형은 주인인 애블린과 떨어져 그야말로 신기한 여행을 하면서 사랑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사랑은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이 더 값지다는 것을. 그 책을 읽어가며 도기로 만든 토끼인형의 모티브가 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가져봤다. 오래전 읽었거나 혹은 읽었다고 생각되거나 어린이만화에서는 많이 만났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을 읽은 후에 읽는 기분은 어떨까 느끼고 싶어 다시 읽게 되었다.다행히 인디고 책이 이뻐서 구매해 놓은 것이 있었다. 인디고 이 책 시리즈는 일러스트가 이뻐 소장해 놓고 싶은 시리즈이기도 하다.

 

 

여름날 언니와 강둑에 앉아 있던 앨리스는 조끼를 입고 주머니에서 회중시계를 꺼내는 토끼를 보고는 신기함에 토끼를 따라 뛰어가게 된다.앨리스의 신기한 여행은 그렇게 시작된다. 토끼가 말하는 것도 신기한데 조끼며 옷을 다 갖추어 입고 그것도 시계를 가지고 있으며 말을 한다니.정말 신기한 일이다. 그렇게 토끼를 따라 토끼굴로 들어가게 되면서 앨리스는 지금까지 보지 못하고 경험하지 못한 신비한 세상인 '이상한 나라'에 토끼를 따라 들어가게 된 것이다.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에서 토끼인형은 그야말로 장인이 한 땀 한 땀 정성들여 만든 인형이고 인형이지만 사람이 느끼는 감정들을 하나 둘 습득해 나간다고 볼 수 있는데 이상한 나라의 토끼는 가르치지도 않았는데 말을 너무 잘한다.그리고 그런 토끼가 어디에 늦은 것일까? 늦었다며 뛰어가는 토끼를 따라 아래로 아래로 끝없이 캄캄한 어둠속을 내려가는 앨리스는 그곳에서 약병을 발견하고는 마시게 되는데 정말 작아지는가 하면 무언가 먹으면 다시 무척 커지기도 하는 하루에도 몇 번씩 고무줄처럼 키가 줄었다 늘었다하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이상한 나라를 여행하게 된다.

 

"여기서 나가는 길 좀 가르쳐 줄래?"

"그건 네가 어디로 가고 싶은가에 달렸지."

 

이상한 나라에서 만나는 토끼나 그외 동물들을 따라 경주도 하게 되고 자신이 정말 자신있게 외우는 시가 엉뚱한 단어가 되어 나오는가 하면 정말 자신의 의지로는 아무것도 되지 않는 듯한 그런 나라에서 동물들과 어울리게 된다.하루에도 몇 번씩 몸이 줄었다 늘었다는 하는 경험을 하면서 어디로 가야할지 모를 때 동물들은 자신이 가고 싶은 곳으로 가라고 한다.길은 정해져 있지 않다며. 그야말로 이곳에서는 상식이 통하지 않는,정해진 것이 없는 듯한 환상과 상상력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세상이 펼쳐진다. 토끼굴 밖에서는 그야말로 규정에 정해진 세상이라면 이곳은 여왕이 곧 법처럼 여왕은 누가 잘못만 하면 '목을 쳐라' 해서 많은 이들이 감옥에 갇혀 있게 되기도 한다.법정 또한 상식에서 어긋나는 무질서가 난무하는 곳이기도 한데 이런 곳에서 살라고 하면 살 수 있을까.

 

 

루이스 캐럴은 부유하지만 엄격한 성직자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말장난이나 체스게임을 좋아했다고 한다. 소설에도 보면 말장난인 언어유희가 보여서 재밌게 읽을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유명작이자 대표작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1862년 옥스퍼드대 수학교수 루이스 캐럴(Lowis Carrol` 1831~1898)은 템스강에서 함께 피크닉을 갔던 열살 난 앨리스 리덜과 자매들(단과대 학장의 세 딸)에게 자신이 지어낸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탄생했다. 바로 그 이야기가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Wonderland)의 줄거리였던 것이다. 순종과 도덕을 가르치는 기존 동화와는 달리, 주인공이 신기하고 허무맹랑한 캐릭터들과 만나 모험을 하는 파격적인 동화였다.' 우리가 만나왔던 동화가 아닌 환상동화의 시작,풍부한 상상을 할 수 있고 허무맹랑할 듯한 동화속 주인공들과 함께 이야기속을 마구 여행하다 보면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에서처럼 어디선가 토끼인형이라도 만날 것만 같은 느낌이 들게 만든다.어른이 읽어도 정말 재밌는 이야기다.

 

"네가 나만큼 시간을 잘 안다면 시간을 낭비한다고 말하진 못할거야.시간은 물건이 아니라 사람이니까."

 

동심에서 우러나 동화를 읽으면 재밌는데 이것이 정치풍자라면 하는 생각을 하니 씁쓸하기도 하다.어릴적 만화를 보면 어딘가 꼭 이런 토끼굴과 상상의 세계가 분명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어쩌면 그 상상의 토끼굴은 지금까지도 찾지 못하고 헤매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어른이 되서 다시 읽어도 재밌다. 좀더 때묻지 않는 시선으로 토끼를 따라 에드워드 툴레인처럼 신기한 여행을 하고 있는 기분으로 잠시 앨리스처럼 토끼굴에 빠져 잠깐이지만 기분 좋은 공간에서 노닐다 나온 기분이다.또 기회가되면 다시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