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젤롯 - “예수는 정치적 혁명가였다” 20년간의 연구로 복원한 인간 예수를 만나다
레자 아슬란 지음, 민경식 옮김 / 와이즈베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1세기 팔레스타인에는 자리 나름래도 '열심'의 삶을 살려고 애쓰는 유대인이 적지 않았다.그중에는 자신들의 '열심' 이라는 이상을 수호하기 위해서라면 서슴지 않고 극단적인 폭력의 힘을 빌리려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은 로마인과 이방인뿐 아니라 로마에 빌붙어 아첨하는 동료 유대인들에게도 폭력을 행사했는데, 사람들은 이들을 '열심'을 의미하는 '젤롯zealots' 이라고 불렀다.'
신앙을 가지고 있던 가지고 있지 않던 '예수'나 '성경'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특별한 신앙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어린시절 친구들을 따라 교회에 몇 번 간적도 있고 크리스마스 때에는 행사를 구경하느라 가서 비신앙이지만 신앙적으로 크리스마스 행사를 즐겼던 기억이 있다. 이 책은 어떤 편견을 가지고 읽기 보다는 그의 이력에도 나와 있듯이 '이란 혁명 때 미국으로 건너가 10대 시절 복음주의 기독교에 심취했다가 다시 가족의 종교인 이슬람으로 개종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기독교인이었다가 다시 이슬람으로 개종을 했지만 그는 작가지자 종교학자이다. 책은 소설을 읽듯이 읽어나갈 수 있고 '1부: 또 다른 종류의 희생 제의' 에서는 '인간 나사렛 예수' 에 대하여 그린다. 신앙적으로 기자들에 의해 부풀려진 예수가 아니라 좀더 역사적으로 어떤 시대였으며 왜 이런 인물이 탄생하게 되었는지 대제사장의 죽음으로 시작해서 드라마틱하게 시작을 한다.
변방의 구멍이라고 불린 1세기 유대,숱한 침략과 핍박의 역사 속에서도 리더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봉기했고 그 중에서 카리스마 넘치고 혁명적인 리더였으며 십자가 처형을 당했지만 그의 죽음은 종교가 되어 오히려 로마를 집어 삼켰다.레자 아슬란은 신앙적인 리더 예수가 아니라 '나사렛 예수'라는 인간 예수의 발자취를 돌아보듯 어떤 시대였기에 예수라는 리더가 필요했는지 갖은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혁명적인 리더로 그리고 신앙으로 발전하여 이어져 왔지만 종교적 예수보다는 시대가 필요로 했던 혁명적인 리더였던 예수를 잊지 말자는 의미처럼 그 시대를 상기시킨다.
'기원후 64년, 그동안 이 땅에 쌓이고 쌓인 분노와 원한과 메시아에 대한 '열심' 이 로마에 대한 대대적인 폭동으로 분출되기 2년 전이었다. 쿠마누스와 펠릭스, 페스투스와 알비누스, 플로루스, 이들 총독들은 하나같이 갖가지 위법과 부정으로 유대이들이 봉기에 일조한 셈이다. 이러한 잘못에 대한 비난은 로마가 받아야 했다. 고통당하는 주민들에게 지나치게 많은 세금을 거둬들이는 것 역시나 로마의 책임이었다. 물론 사회질서 붕괴에 대한 책임은 유대 귀족들에게도 있었다. 힘과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갈등하고, 로마 관리들에게 뇌물을 바치면서까지 아첨했기 때문이다.'
'예수는 이스라엘 역사상 정치적으로 가장 긴장이 고조된 시기에 살았던 인물이 아닌가? 또 예수는 로마의 압제에서 유대인들을 해방시키라고 하느님께서 보내신 약속된 메시아라고 주장하지 않았던가? 만약 주석가들의 해석이 맞는다면,예수의 대답은 기껐해야 로마에 대한 세금을 바쳐야 한다는 제사장과 그럴 수 없다는 젤롯의 상반된 입장에 타협하려는 겁쟁이의 대답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마태복음과 마가복음,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을 포함해 나사렛 예수에 대해 기록한 어떤 글이든, 스테파노스와 바울처럼 예수를 한 번이라도 직접 본 적이 없는 사람이 쓴 것이라는 사실이다.'
신앙인들이 읽는다면 받아 들이지 않을 부분들이 있을 듯 하다. 종교학자라고 해도 역사도 모든 것이 진실일 수 없듯이 예수에 대한 기록들이 모두 진실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저자가 믿음이 없는 것도 아니고 자신 또한 과거에 기독교에 심취했었고 현재는 가족의 종교인 이슬람으로 개종을 했다고 하지만 그가 신을 부정하기 보다는 부풀려진 예수가 아닌 목수의 아들이었던 나사렛 예수에 대하여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은 요즘 뉴스에서 많이 오르내리고 있는 종교에 대한 이야기들과 비교해볼만 하다.믿음이 없기 때문에 성경을 인용한 부분 보다는 역사적 이야기를 다큐처럼 소설처럼 이야기해 놓은 앞부분을 좀더 재밌게 읽었는데 난세가 영웅을 만들듯이 시대가 원하는 인물이었던 나사렛 예수,십자가에 못박히기 전인 그 이전의 인간 예수.리더쉽을 갖춘 그를 재밌게 조명해 볼 수 있는 이야기다."너희는 내가 세상에 평화를 주려고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려고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