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의 자격 - 내가 제대로 키우고 있는 건가
최효찬.이미미 지음 / 와이즈베리 / 2014년 2월
평점 :
우리나라만큼 교육열이 높은 곳이 있을까? 유치원부터 아니 그 이전부터 행해지는 모든 교육의 결과는 대학 진학,명문대 진학을 위한 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인 서울을 해야 어디 나가서 명함이라도 내밀 수 있는 것처럼 사회는 간판을 위한 곳처럼 공교육은 대학진학을 위한 경쟁터로 아이들 개개인의 능력과 적성보다는 대학 진학율로 판가름 난다고 과언이 아닐 것이다. 부모된 입장에서 나 또한 그런 욕심이 없다고는 볼 수 없다.대한민국의 부모라면 자신의 자식들이 좋은 대학에 들어가 어깨에 힘을 주고 다니고 싶은 욕심을 가지고 있다. 우리도 그 시간을 지나 딸들은 이제 대딩 2학년이 된다. 정말 말도 못할 힘든 시간을 보냈고 그런 시간은 누구에게 털어 놓는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 자식 간에 틈이 벌어지지 않고 원만하게 진행이 된다면 그것으로 족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고3병은 자식들만 겪는 것이 아니라 부모도 함께 심한 몸살을 앓는다. 그렇게 하여 대입 때만 되면 전국의 유명한 기도터는 수험생 특수라도 누리듯 장악을 하고 있는가 하면 어디 산사에 가서 백팔배라도 해야할 것만 같은 불안한 맘이 엄습한다. 고3병 이전에는 중2병으로 그야말로 사춘기와 함께 부모와 자식간의 소통이 단절되듯 하는 시간을 겨우 지났다고 생각하다 마주하게 되는 고3병은 정말 다시는 겪고 싶지 않은 시간이다. 부모도 자식들도 이 시간을 지나고 나면 너덜너덜 해진다고 할 수 있다.나 또한 딸들과 그 시간을 정말 징하게 보냈다고 볼 수 있다. 큰딸이 자신이 원하는 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아 힘들게 재수를 결심하고 일년여 다시 뛰는 시간이 막내가 고3이었기에 두녀석과 함께 고3을 또 겪고 견디어내야 했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 다시 겪고 싶지 않고 너무 그 무게를 무겁게 느꼈기에 체력적으로도 이겨내지 못하고 그 시간을 보낸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인생에는 정답이 없듯이 자식 교육에도 정도나 정답은 없는 듯 하다. 특목고나 자사고에 간다고 모두가 잘 되는 것도 아니고 운이라는 것이 필요하다. 자사고나 특목고를 가도 운이 따르지 않는다면 일반고보다도 더 못한 결과를 얻게 되기도 하지만 그 현실을 겪어낸 아이들은 자괴감에 빠져 자신감을 잃기도 한다. 그렇다고 요즘 아이들이 부모가 원하는 안정된 평생직장을 원하는 것도 아니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 하고 싶어하는,자신감이 충만한 시대이기도 하지만 어려움을 모르고 자라서인지 부모가 끝까지 뒷바라지를 해주리라 믿는 경우도 많다. 두녀석이 대학이라는 징검다리를 건너야 할 시간에 두녀석이 무엇을 원하는지 많은 이야기를 하다보니 지금까지 순탄하게 걸어 왔던 길과는 너무도 다르기도 하지만 부모가 원하는 길이 아니기에 남편은 자신이 원하는 길로 자식들을 유도하기도 했지만 자신의 욕심에 따르지 않기에 기대치에 못 미치는 자식들 때문에 늘 불평을 하게 되었다. 자식 욕심을 내려 놓으라고,자식은 부모의 욕심과는 다르게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는 시대하고 해도 자꾸 같은 말을 반복하는가 하면 엄마가 그만큼 열성적으로 밀어부치지 않아서하고 단정하게 되었다. 왜 꼭 그래야 하는가? 자신들 인생인데 왜 부모의 욕심으로 자식들 앞날을 길닦이 해줘야 하는가.실패도 인생이고 성공도 인생이고 모든 것은 경험이 되어 자신들 인생인데 왜 부모가 선택해 주어야 하는지.
자식들이 크고 나서도 우리는 늘 자식들 문제로 큰소리를 낼 때도 있고 딸들과 이야기를 하며 의견마찰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렇다고 지금 당장 이것이 정답이다 라고 하는 것은 없다. 그렇기도 하지만 비슷한 또래 집단의 자식들과 '비교'를 한다는 것이다. 거기에도 분명 부모의 욕심이 밑바탕에 깔려 있다는 것을 안다. 자식을 믿고 기다려주기 보다는 무언가 당장 결과를 내기를 우리는 바라고 있다. 부모가 걸어 왔고 겪어 온 길을 걷지 않고 좀더 좋은 길을 걷게 하기 위하여 이야기를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모두 약이 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분명 자식들도 그 나름대로 자신들이 설계한 인생이 있고 머리가 크고 나서 부모가 간섭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부모와 자식간에 틈만 더 벌어지게 한다.대한민국의 엄마들은 너무 조급하게 자식들 교육을 서둘러대는 철새들처럼 옮겨 다닌다. 아이들을 키우며 그런 영우를 너무도 많이 봐 왔다.누가 어디 좋다고 하면 쪼로륵 그곳으로 몰렸다가 다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밥먹듯 하니 아이들이 거기에 맞추기가 힘들다. 그런가하면 누가 어디 과외나 학원을 다닌가고 하면 꼭 우리도 시켜야만 하는 것 같다. 불안증,자식이나 부모가 다 겪는 불안감에 사교육은 번성하고 공교육은 믿음을 잃었다.
일선에서 다양한 사례를 접한 이야기들이 맘을 아프게 한다. 나와 딸들도 그런 길을 걸어 왔지만 지나고 보니 다 부질없는 것처럼 느껴진다.왜 대학에 목을 매야하는지.능력이 있다면 대학이 아니어도 능력을 평가 받을 수 있는 세상이어야 하는데 학연 지연의 끈들이 내 아이의 발목을 잡는 것은 아닌지.대학만 들어가면 다 되는것 같았는데 '청년실업'이라는 말이 또 징검다리처럼 앞에 놓인다. 정말 힘든 세상이다. 남보다 뛰어난 스펙을 쌓으려고 뛰어다녀도 막상 졸업도 못하는 이들이 있다는 말을 듣고 나니 이젠 남의 일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자식을 제대로 키우는 것인지.그저 믿고 기다려주는 지지자로 남아 있어야 하는 것인지 알파맘이 되어 남보다 더 뛰어 다녀야 하는 것인지 늘 친구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정말 답이 없다.그렇다면 우리의 노후는 누가 보장을 해준단 말인가. 대한민국에서 부모와 학부모로 산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아이를 키우는 일은 때로는 즐거움이고 때로는 게릴라전이다.' 라는 말이 정말 실감이 난다. 그렇게 살아 온 것 같은데 늘 자식들에게는 모자란 것으로 비춰지기도 하고 비교를 싫어하면서도 친구들 부모님이 해주시는 것들을 비교하는 것을 보면서 밑을 보고 살라고 하지만 그 또한 힘들다는 것.사회가 일등만,성공한 이만 박수 쳐주는 세상이라 그런가 밑에서 열심히 하는 나머지 사람들의 능력은 빛을 잃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책은 1장은 '대한민국은 지금 교육피로 사회' 2장은 '학부모라서 불안하다 3장은 '사춘기,이 또한 지나가리라' 4장은 ' 부모 욕심을 버려야 비로소 아이는 비로소 꿈꾼다.' 5장 명문대 아니면 어때요, 행복한 게 최고야' 6장 ' 부모의 자격:뚝심 있는 부모가 되기를' 스무살이 넘게 키우고 보니 정말 '교육피로 사회' 라는 말에 공감이 간다. 어느 시가를 거쳐도 교육피로다 초등학교라고 그냥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초등4학년 성적이 대학을 결정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초등학교 때부터 아이들은 대학을 위해 시간의 노예처럼 움직이지만 어떻게 해도 늘 불안 불안하다. 부모로 뚝심을 지키기 보다는 부모의 욕심이 앞서 자식 앞을 가로 막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은 더 힘들게 12년의 시간을 보내지만 대학 앞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방황하는 아이들과 부모도 많다. 우리의 교육은 무언가 변화를 원하지만 그렇다고 쉽게 변하지는 않을 것 같다. 우리 아이들이 요즘 제일 많이 하는 말은 그 시간으로 다시 돌아간다면 공부를 하지 않고 맘껏 놀것이다라는 말을 자주 한다. 놀아보지 못하고 어린시절을 보낸것이 한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공부를 강요한 것은 아니지만 흐름에 따라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압에 편승하여 자신들도 시간의 노예처럼 살아 왔다는 것이 슬프다고 한다.하고 싶은 것 맘껏 하면서 보냈더라면. 누구가 지나고 나면 후회를 하게 되는데 공부로 모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닌데 왜 꼭 명문고 명문대에 힘을 줘야 하는지.자신들의 좋아하고 하고 싶은 것을 안다면 그 길을 좀더 격려 해주는 부모가 된다면. 그렇다고 부모 학부모의 시간이 끝난것은 아니지만 언제나 부모의 자격도 학부모의 자격도 힘들다는 것이다.모든 것은 다 지나가게 되어 있지만 그 시간속에서는 누구가 허우적 거린다. 하지만 정답은 없다는 것,타인의 성공한 방법이 내 아이에게 적용된다고 똑같은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부모의 욕심을 앞세우기 보다는 믿고 때로는 기다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것.
부모&학부모/ 와이즈베리/부모의 자격/최효찬 이미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