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어웨이 - 도피할 수 밖에 없었던 여자의 가장 황홀했던 그날
앨리스 먼로 지음, 황금진 옮김 / 곰 / 201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앨리스 먼로의 작품으로는 단편집인 <디어 라이프>가 처음이었으니 이작품은 두번째다.장편이 아닌 단편만 쓰는 고집스러움 속에 저자의 인생이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삶이 녹아 있다. 어떻게 보면 장편을 읽는 것이 더 편하고 우리는 그런 글에 알게 모르게 길들여져서인지 단편을 읽는 것이 힘들게 아니 힘들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 단편집보다는 그래서 장편이 더 인기일 것이고 단편집은 어찌보면 외면 당하는 현실에서 단편을 고집하듯 많은 인물들과 이야기 속에서 거기에다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라 그런가 어렵다는 꼬리표를 달게 되면서 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두 권을 만나면서 앨리스 먼로에 대한 생각은 읽으면 읽으수록 재밌다는 것이다.

 

저자가 그려내는 이야기는 캐나다의 일반적인 사람들이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만남과 헤어짐 상실등 우리가 삶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문제 속에서 드러날 수 있고 녹여낼 수 있는 감정들이 솔직하게 그리고 섬세하게 먼로의 짧은 문장속에서 살아 숨쉰다. <런어웨이>는 <떠남>을 새롭게 번역하여 국내에 처음 소개하는 작품이라고 한다. '떠남' 칼라는 자신의 남편으로부터 어느 날 떠나 새로운 삶을 살고 싶은 욕망에 빠져 실비아의 도움을 받아 우연히 떠나게 된다.자신들이 키우던 염소도 집을 나가서 돌아오지 않는데 왜 자신은 자신을 제대로 이해해 주지 못하는 남편과 갇힌 삶을 살고 있는지. 이웃인 실비아는 그녀가 떠날 수 있게 모든 것을 도와준다.하지만 자신의 둥지를 떠나 새로운 보금자리로 떠나던 버스 안에서 폐쇄공포증처럼 느끼는 현실에 대한 되새김질 속에서 지금까지 살아왔던 남편의 품이 자신에게는 꼭 맞는 옷이란 것을 알게 되고 다시금 원점으로 돌아간다. 결국 떠나지 못하고 떠나려 시도했던 그 짧은 찰나의 시간에 느꼈던 감정들,살면서 우린 선택의 기로에서 하루에도 몇 번씩 현재의 위치를 바꾸고 싶어 하면서도 어떻게 보면 운명처럼 받아 들이면서 살아가는 이들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욕망을 위해 떠나는 자보다 안주하는 이들이 더 많을 것이다. 떠남이란 용기 있는 자의 내일로 가는 기차표와 같은 것이다.

 

<우연> <머지않아> <침묵>은 줄리엣에 대한 이야기의 연작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남들이 하지 않는 고전을 공부하고 있는 줄리엣,그녀는 엄마에게 인정을 받기 보다는 교직에 계셨던 아버지께 더 인정을 받은 인물이고 남들이 가지 않는 별볼일 없다고 생각할 수 있는 자리에서 일하게 된다.그런 그녀가 우연하게 만났던 에릭이라는 남자에게 편지를 받게 되고 막연함에 그를 찾아가게 된다. 하지만 그는 아내가 있는 인물이기도 하지만 아내는 불의의 사고로 인해 편하지 못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런 그가 그녀에게 호감을 느끼며 보낸 편지는 그녀를 움직이게 만든다.아니 그녀의 삶을 흔들어 놓게 되고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그에게 가지만 가는 날이 그의 아내 장례를 치르는 날이다. 어떻게 이런일이.그에게는 그녀 말고도 여자 친구가 있지만 그와 줄리엣은 결혼하지 않고도 행복하다고 여기며 살게 되고 퍼낼러피라는 딸을 낳게 되고 그녀를 데리고 부모님이 계시는 집을 찾게 되지만 결혼식을 치르지 않고 아이를 낳고 사는 자신의 삶을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 들일지.그런가 하면 부모님의 삶이 새롭게 그녀의 눈에 들어 온다.

 

나이가 들거나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고 살다 보면 평범하게 보아오고 당연하게 여기며 살아오던 것들이 다른세상 다른 시각으로 보이게 마련이다. 줄리엣 역시나 아가씨 때에는 보지 못했던 부모님의 삶을 보게 되고 자신 또한 결혼이라는 약속으로 이루어진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아니 에릭이라는 남자가 그녀와 함께 하기 전의 문란하다 생각할 수 있는 여자관계 때문에 그와 다투게 되고 그 일로 바다에 나갔던 그가 사고로 죽음에 이르기까지 하면서 그녀와 딸인 퍼낼러피의 관계는 틀어지고 만다.아니 퍼낼러피가 이유도 없이 그녀를 떠나가고 만다.왜 퍼낼러피가 엄마를 떠나야만 했을까? 성장해서 아니 자신의 무언가를 찾아서.왜 퍼낼러피는 '침묵' ㅎ야만 아니 침묵하고만 있는 것인가.엄마의 삶을 이해하지 못해서일까.자식들이 부모의 삶을 모두 이해해 주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가끔 뜻이 통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자식은 자식이라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내 편을 들어주길 바라는 녀석들이 자신들의 삶만 고집할 때 어떻게 보면 그것이 인생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먼로의 단편을 읽으며 인생이란 무엇인가에 삶이란 무엇이지라는 생각을 조금 더 해보게 되었다. 그런 생각을 갖게 만든다. 단편들이 조각 조각이어져서 하나의 조각보로 완성되듯 그녀는 어떻게 보면 결코 아름답지 않은 삶이지만 장인이 이어붙힌 조각보처럼 버려지면 아무 값어치 없는 이야기들이 장인의 손에 의해 값어치 있는 조각보로 단편집으로 완성되어 한편의 아름다운 '인생'을 완성하듯 인생이란 이런 것이다라고 마지막 순간까지 쏟아내고 있는 것 같다. 살면서 어떻게 좋은 일만 기쁜 일만 만들어 나갈 수 있나.슬픈 일도 때론 상실도 죽음과 마주하는 순간도 있고 누군가 태어나면 누군가는 떠나가게 되는 것이 인생이다. 삶이나 죽음이나 같은 연장선상에 이어져 있기도 하지만 다른 얼굴도 아니다. 인생의 파도를 넘고 넘다 보면 단단해지듯 그녀의 단편들을 읽다보면 어느 순간 인생이라는 그 앞에 숙연해지는 것 같다. 어느 한 편을 골라 읽어도 인생이 보이고 그 속에서 내 삶도 그리고 당신의 삶도 엿볼 수 있다. 이 단편집에는 남자 보다는 여자에 좀더 중점을 맞추었다고도 볼 수 있다. 남자로 인해 변하는 여자의 삶,혹은 여자로 인해 변하는 남자의 삶.서로 부대끼며 살아가지만 인생이란 어차피 혼자 가는 길이다. 먼로의 소설들은 다음에 한번 더 읽고 싶어진다. 좀더 삶의 깊이가 있을 때 단편들을 다시 읽는다면 그 깊이를 좀더 가늠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