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보스 이야기 - 세계 거물들은 올해도 그곳을 찾는다
문정인.이재영 지음 / 와이즈베리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다보스포럼' 많이 들어 보았는데 자세히는 모르겠다. 무얼까? 다보스는 스위스의 작은 휴양지로 인구가 1만명 정도라고 한다. 그런 곳에 세계에서 '1%'의 정계 재계 문화계 학계 언론계 등의 저명인사들이 모여 세계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다보스포럼'의 정식 명칭은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라고 한다. 다보스포럼이라고 더 많이 알려져서 두개가 다른 포럼이라 할수도 있는데 같은 포럼인데 다보스에서 열리기 때문에 다보스포럼이라 하는 것이 고유명사가 되었다고 한다.
다보스포럼은 단순히 유럽의 기업인들이 경영 기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교환하기 위한 모임의 성격이 강했다.그러나 변화하는 세계의 흐름에 발맞춰 여러 변화를 시도했기에 오늘날 정계,재계,학계,언론계 등의 저명인사들이 모여 세계가 직면한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는 국제사회 속의 유력 집단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다보스 안과 밖에서 함께 한 두사람이 함께 '다보스 이야기'를 해준다. 참석자들을 까다로운 방식으로 선정하는 포럼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매해 교수 요원으로 초대를 받아 다보스포럼과 함께 한 문정인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그의 제자였으며 석사 학업을 다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다보스포럼에서 일하고 싶어 그곳에 이력서를 제출하고 한국에서 편하게 인터뷰를 하고 정식 직원이 되어 다보스포럼에서 일하게 된 이재영 국회의원이 다보스의 안과 밖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준다.
왜 세계1% 저명인사들은 교통 숙박이 불편한 스위스 다보스에 모여 들어 해마다 포럼을 할까? 다보스포럼의 극과 극으로 나뉘기도 하지만 나빠다고만 볼 수 없는 것이 서로 윈-윈하면서 살아가는 시대이기 때문에 잃는 것보다는 포럼에서 얻어지고 만들어내는 것이 더 많을 것 같다. 토론에 익숙한 외국인들은 좀더 적극적인 자세이겠지만 우리의 문화는 토론문화가 아니기 때문에 아직은 소극적이지 않을까 하지만 유엔 사무총장이며 세계은행총재등 그리고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등이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더 적극적으로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책은 1부 2부 3부로 나뉘어 있고 1부에서는 다보스퍼럼이란 무엇인지,왜 다보스퍼럼인가,국제사회 속의 다보스포럼에 대하여 나오고 2부에서는 다보스포럼과 글러벌 논쟁으로 문정인씨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참관기가 나온다. 다보스퍼럼에 참관하여 보고 느낀 것을 정리하여 다보스포럼에 대하여 좀더 가깝게 느끼고 알 수 있게 해주는가 하면 중간중간 이재영씨가 다보스포럼에 어떻게 도전하게 되었고 무슨 일을 하게 되었는지 들려주어 다보스퍼럼이 먼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들려준다. 그리고 마지막 3부에서는 다보스의 세계,그 빛과 그림자라고 하여 둘이 대담을 나눈 것을 정리해서 들려준다.
다보스포럼이 여러가지로 알찬 이유로 첫째,다보스포럼은 지난 한 해 동안의 세계경제를 평가하고 새해 경제를 전망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다보스포럼이 다루는 주제는 단순히 경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셋째,대기업 CEO들이 거의 3천만 원에 가까운 등록비를 부담하면서까지 다보스포럼에 참석하는 이유는 단순히 지식과 정보, 그리고 아이디어의 수집때문만은 아니다. 세계 1퍼센트에 속하는 재계,언론계,학계의 주요 인사들만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환경 등 전 분야에 걸쳐 글로벌 어젠다를 설정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보스포럼을 비난하는 이들도 많지만 안밖으로 들려주는 이야기 속에는 네임파워와 네트워크파워가 눈길을 끈다. 세계저명인사들이 한곳에 모여 있으니 그야말로 네임파워는 대단할 듯 하고 하루하루 다르게 발달하는 IT사회에서 네트워크파워란 대단할 듯 하고 세계 1%가 모여서 포럼을 나누니 '지식을 모으는 일'은 말해무얼할까.'다보스포럼은 '지식을 모은다' 고 표현하지요' 라는 말이 와 닿는다. 세계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한계가 있겠지만 세계1%의 인물들이 모여 네트워크의 힘으로 뭉친다면 무언가 얻어지는 시너지 효과는 있을 것이다. 다보스포럼을 어렵게 다가가기 보다는 자신들의 이야기로부터 쉽게 풀어나가 읽으며 이해할 수 있고 다보스포럼이 이젠 멀지 않게 느껴지기 않고 뉴스에서 만나도 좀더 관심을 갖고 듣게 되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