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높고 푸른 사다리
공지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 그 어떤 것보다 사랑이라는 말에는 미움도 증오도 기쁨도 슬픔도 다 담겨 있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어느 것보다 사랑이 제일 실천하기 어려운 것 같다. 종교적인 아가페적인 사랑과 에로스적 사랑 그런가하면 부모간의 내리사랑등 다양한 사랑의 모습을 역사와 종교적 의미로 담아 낸 소설은 사랑이야기 뿐만이 아니라 힘들었던 우리 역사가 담겨 있기에 더 절실하면서도 이성간의 사랑뿐 아니라 동성이지만 같은 처지의 신부 서품을 향해 나아가는 수사 동지인 미카엘과 안젤로의 이야기가 있어 더 울컥하게 만들었다. 사랑하던 사람이 아니 무척 가깝던 사람이 갑자기 죽음이란 것을 맞이하면 정말 받아 들이기도 힘들지만 어느 때보다 절대적 존재에게 물음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것 같다. '왜? 왜? 왜 나에게만?' 이라면 끝없는 질문을 해보지만 해답은 늘 자신안에 존재한다.
신부서품을 기다리고 있는 요한 수사에게 '소희'라는 인물은 한때 절대적 존재를 버리게 만들기도 했던 절절한 사랑의 이름이다. 할머니의 냉면집을 물려 받으면 걱정없이 살게 되겠지만 대학2년 갑자기 그는 신앙의 길로 접어 든다. 수도원 복도에서 걸레를 미는 외국인 토마스 수사처럼 그런 인생을 살아야겠다고 생각하면서 그의 삶을 통해 또 다른 세상을 보게도 되지만 그와 관련있는 미카엘이나 안젤로와의 연결선이 되기도 한다.세상의 연을 끊고 절대적 존재만을 위한 삶을 산다고 결정한 이들의 삶은 보통의 우리가 받아들이기엔 버겁고 힘겹다.힘든 시간에 그들의 정신을 흔들어 놓는 인연들,소희와 미카엘을 찾아 오는 여인은 그들을 절대적 사랑에 흔들리게도 하지만 더 단단하게 담금질하게 만들어 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아빠스님의 조카였던 소희가 수도원에 오던 날부터 그는 목련꽃향기처럼 배꽃향기처럼 흔들려 자신을 주체하지 못하고 기차에 몸을 싣듯 오락가락 한다. 어느 것이 진짜 자신의 생일까? 소희를 택하는 삶일까? 신을 선택하는 삶일까?
이상하다.이 지상을 떠난 사람의 자취는 그가 남긴 사물에서가 아니라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발견된다. 죽어서 삶이 더 선명해지는 사람이 있다. 죽어서야 비로소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살아 나는 사람이 있다. 살아 있었으면 그저 그렇게 내 곁을 스쳐 지나갔을 평범하고 시시한 한 사람의 생이 죽어서야 모든 이의 삶 속에서 선명해지는 것.
그런가하면 미카엘을 떠나보내지 못하는 불쌍한 인연이 있다. 그와 맺어진 끈을 놓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그를 물질적으로 정신적으로 흔들어 놓는 여인,급기야 그녀의 도움으로 인해 어쩌면 미카엘과 안젤로가 절대적 존재의 품으로 돌아갔다고 생각하고 마지막에는 불행한 선택을 하는 여인의 일방통해적 사랑도 참 불쌍하고 불행하다. 요한과 미카엘과 다른 사랑을 보여주는 안젤로의 때묻지 않은 순수한 사랑도 너무 안타깝다. 그들의 안타까운 마지막 죽음에 미카엘의 흔들리던 사랑이 서서히 잔뿌리를 내리며 더 깊숙히 자리를 잡게 되기도 하지만 그의 할머니의 과거 역사를 통해 현재까지 연결된 역사의 끈은 또 다시 그를 아가페적 사랑에 눈을 뜨게 만든다. 절대적 존재란 무엇인지.
어떻게 보면 그들은 선택되어진 듯 보인다. 아무에게나 아가페적 사랑을 실천하는 폭넓은 아량이 있는 것은 아니다. 수도자의 사랑을 실천하고 따라야 하지만 그 얽매인 틀보다는 현재의 눈에 보이는 사랑을 실천하고 도움이 되려 했던 미카엘의 사랑이 규율이나 법칙보다는 어쩌면 가난한 아이들에게 잠자리와 밥 한끼가 더 질실했는지도 모른다. 기도속에 갇힌 사랑이 아닌 현재에 꼭 필요한 사랑을 더 원했던 미카엘의 사랑과 가진 것이 없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사랑을 실천할 수 있었던 안젤로,그 두사람의 사랑을 모두 가진 듯한 요한의 사랑.거기에 이성간의 사랑도 느껴 보았기 때문에 더 폭넓은 사랑을 가지게 된 그에게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사랑은 좀더 사랑의 시야를 넓혀 주면서 절대적 존재에 가까이 가는 '높고 푸른 사다리' 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어지지 않았을까.
젊은 날,그것도 신부 서품을 앞두고 있던 수사 생활 기간에 이성간의 사랑을 느끼고 감당하고 그 아픔을 견디어 냈기 때문에 이성간의 사랑이 아닌 또 다른 사랑을 볼 수 있었고 택할 수 있는 요한으로 거듭났던 것 같다. 그가 아픈 몸을 이끌고 오는 소희보다는 자신으로 인해 태어나게 되고 새로운 삶을 선택하게 된 모자를 만나러 가길 원했던 것은 사랑도 물처럼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 본다. 물도 흘러야 물이고 고여 있으면 썩는다고 하지만 사랑 또한 물처럼 흘러야 제 값어치를 하는 듯 하다. 부부간의 사랑은 자식에게 내리사랑으로 이어지듯 절대적인 존재에 대한 사랑에 확신이 확실하게 없던 요한에게 이성간의 사랑은 어쩌면 시험이었는지 모른다. 높고 푸른 사다리에 다가가는 과정에서 그가 한번 흔들리지 않고 바람을 이겨낼 수 있는지에 관한 바람처럼 모진 바람과 비를 이겨내고 무지개를 향해 나아가듯 그가 품을 수 있는 사랑은 이제 잔바람이 흔들리지 않는 사랑이 되었다.사랑이 돌아서던 순간에는 너무 힘들고 이겨내지 못할것처럼 눈물겨웠지만 세월이 흐르고 나니 모든 것은 빛이 바래 미카엘의 이야기도 별감정없이 끄집어 낼 수 있게 되기도 했지만 사랑이 한 곳에 고여있지 않고 아래로 아래로 흘러 더 넓은 곳에 이르렀기 때문이라고 본다.
"......고민을 오래 한다고 해결되는 게 아닙니다. 밤잠 못 잔다고 하느님 앞에서 울부짖으면서 큰 소리로 기도한다고 해결되지도 않아요.그냥 내버려두세요,꽃이 피게, 새가 울게, 바람이 할랑할랑 불어가게...... 다만 그분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 하나만 믿으면 됩니다.그러면 실은 아무것도 걱정할 일이 없어요."
어떻게 보면 사랑이 어느 방향으로 흘러가고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관한 이야기라 할 수 있는데 역사와 이성간의 사랑이 엮이면서 좀더 절절하게 읽어나가게 되었다.물도 도랑물일 때는 시끄럽고 소란스럽지만 강을 지나 바다에 이르면 잔잔해진다. 사랑 또한 이와 같은가 보다.요한의 젊은 날 신을 택한 순간에 소희라는 이성을 만나 여름날 폭우처럼 그 사랑에 젖어 열병을 앓았다면 이젠 가을날 잎을 떨군 나무들처럼 바람에도 비에도 잔잔해질 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높고 푸른 사다리에 이르는 길은 멀고 험하다. 할머니가 흥남부두에서 만난 커다란 배처럼 살아 남기 위해서는 삶의 사다리를 올라야만 했고 살아남기 위하여 그들이 택한 것은 바다처럼 잔잔함이었다.바다로 이르기 위하여 요한이 흔들렸던 지난함은 결코 헛된 시간이 아니었으며 물론 이성간의 사랑보다 더 넓은 의미의 사랑이 있음을,그로 인해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이어지고 있음을.문득 책을 읽다 지난날 시인특강에서 들은 '관계가 힘들 때에는 사랑을 선택하라' 라는 말이 생각났다. 퍼내고 퍼내어도 사랑을 다 실천하지 못하고 살아갈텐데 미움을 퍼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절대자인 위로 향하는 사랑도 중요하겠지만 아래로 향하는 사랑도 중요함을,그 실천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느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