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넘브라의 24시 서점
로빈 슬로언 지음, 오정아 옮김 / 노블마인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책이 요즘은 다양해졌다. 종이책을 좋아하고 책냄새에 취해 헌책방을 찾는 것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종이책과 오프라인 서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요즘은 오프보다는 온라인서점을 더 이용한다. 그리고 e북도 가지고 있지만 난 e북 보다는 종이냄새가 좋고 한 장 한 장 넘기는 그 소리와 책을 읽으며 맘에 드는 부분은 연필로 밑줄을 긋기도 하기에 사각사각 연필쓰는 소리도 좋아하기에 e북을 이용하지는 않는다.온라인서점을 이용하다보니 오프는 가끔 시간과 기회가 되면 가는 상황이다. 예전에는 오프서점이 온기가 있고 좋았는데 지금은 낯설다.그만큼 온라인서점에 더 적응되어 가고 더 많이 이용한다는 것이다.

 

페넘브라 서점은 책들을 위한 일종의 고아원같은 곳인지도 모르겠다고 말이다. 그러나 서점에서 한 달 가까이 일한 지금은, 이곳이 그보다는 좀더 복잡한 곳이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두 번째 서점이 완전히 다른 종류의 손님을 받는 것만 봐도 그렇다. 이상한 달들처럼 서점의 궤도를 도는 작은 집단.그들은 옆집 노스페이스와는 완전히 달랐다.다들 나이가 많고 자신들만의 주기에 따라 서점을 방문한다.

 

책 아니 인쇄술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500년 동안 불이 꺼지지 않은 서점이 있다면 아니 500년간 누군가가 한 권의 책에 담긴 '비밀'을 풀기 위하여 비밀스런 움직임을 하고 있었다면? 이 책은 저자가 트위터의 140자 글자 중에서 "이런, 방금 24시간 도서 반환통을 24시간 서점으로 잘못 읽었네" 라는 문구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정말 대단하지 않은가? '24시간 도서 반환통' 이 '24시간 서점'으로 잘못 읽은 문구에서 그는 '24시 서점'을 생각해냈고 그 서점에 비밀을 부여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만나게 해 놓았다. 아날로그는 아날로그만의 장점이 있고 디지털은 그야말로 '속도' 와 정보의 바다에서 혼자 정보를 찾는 것이 많은 이들의 도움을 받아 정말 눈깜짝 할 시간에 결과를 찾아낼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우리가 잘 쓰는 '초록언니'의 검색엔진 또한 많은 이들이 이용하며 A는 B다 라는 답을 그대로 믿는 이들이 많다. 그야말로 인터넷이 답인 경우가 우리 생활 깊숙히 들어와 있다.

 

요즘은 어딜 가도 스마트폰은 손에서 놓지 않은 이들이 대부분이지만 종이책을 펼쳐 들고 읽는 사람은 드물다. 나 또한 종이책을 외출 할 때는 가져가서 어디에서나 읽는데 모두가 이상한 나라에서 온 사람처럼 보는 경우가 있다. 늘 책을 읽는 것이 습관처럼 되었기에 장소와 시간에 아랑곳하지 않고 읽는 편인데 달나라에서라도 온 사람취급 하는 경우가 있다.그만큼 우리 곁에서 종이책은 멀어져가고 오래전에는 서점이 즐비하던 것이 지금은 서점을 찾아 보기도 힘들다.우리 동네만 해도 점점 서점이 줄고 있고 서점이 어쩌다 들어서면 놀란다. '서점 운영이 될까?' 우리나라 대학가에는 서점보다는 술집과 식당이 더 많다. 그러니 헌책방도 찾아 보기 힘들다. 점점 책냄새가 우리 생활에서 멀어져 가고 있는 것이다. 참 안타까운 일이다.그런데 그런 우리 곁에 24시간 서점이 있다면 참 편할 듯 하다.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찾을 듯 하다. 그런 서점에 일자리를 잃은 '클레이 재넌'이 살기 위하여 밤시간에 하는 일에 도전을 하게 된다. 그는 책과 친한 것이 아니라 디지털에 친하다. 웹디자이너인 그는 경력도 쌓지 못하고 베이글을 만드는 곳에서 일을 하다 그만두게 되었는데 이 서점에서는 그야말로 자신의 능력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서점은 한산 하기도 하고 책을 빌리러 오는 사람들은 비밀과 같은 코드만 대고는 책을 빌려 간다. 그런가하면 서점에서 일을 하려면 책을 펼쳐보면 안된다.앞서가와 뒷쪽 서가가 있는데 비밀에 쌓인 뒷쪽 서가의 책들은 무슨 비미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맞아.15세기 말엽의 일이지. 알두스 마누티우스 베네치아에 있는 자신의 인쇄소로 필경사와 학자들을 모아들였어. 거기서 고전들의 초판을 제작했지. 소포클레스,아리스토텔레스,플라톤,베르길리우스,호라티우스,그리고 오비디우스의 책들을."

 

이 서점 주인인 페넘브라씨도 의문의 사나이다. 그러다 그는 어느 날 이서점을 3D작업을 한다. 데이터화 하면 좀더 편할까 아니 그는 디지털과 친하기 때문에 작업을 하는 하다가 서점의 비밀에 한발짝 다가간다. 늘 오는 회원들에게서 비밀코드를 읽게 된 클레이는 룸메이트와 함께 그 비밀에 좀더 다가가려 하는가 하면 그가 구글에 광고한 것을 보고 온 구글직원인 캣과도 이 비밀을 나누게 된다. 이 서점의 비밀은 정말 무엇이고 회원들은 무슨 비밀을 풀기 위하여 이 서점을 드나드는 것인지.그러다 그들의 데이터의 움직임 속에서 찾아내게 된 '얼굴',페넘브라는 그것을 보고 자취를 감추게 되고 서점은 불이 꺼지게 된다. 무슨 일인가? 그는 자신의 일자리를 찾기 위하여 페넘브라도 찾고 서점의 비밀을 찾아 친구들과 함께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소통의 길에 클레이가 있다. 어떻게 될까? 서점은 어떤 비밀을 숨기고 있고 페넘브라는 어떤 인물인지.

 

책과 인연이 없던 클레이가 점점 책과 책의 역사에 빠져 들어 '부러지지 않은 책등' 회원들과 싸우며 그들과 맞써 자신만의 방법으로 그들이 풀지 못한 비밀을 풀어내기도 하지만 자신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찾아가기도 하는 희망적이기도 한 이야기다. 미스터리적 기법과 함께 마법과 같은 이야기가 펼쳐져서 첫 장을 펼치고는 마지막 장을 덮으며 일어날 수 있었다. 올드한 것과 새로운것이 만나는 이야기라고 할까. 책은 세월이 갈수록 점점 변해가기도 하고 요즘은 디저털과 맞써 더욱 크게 요동치고 있다. 그렇다고 종이책이 이 세상에서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종이가 존재하는 한.디지털이 주는 장점이 있겠지만 아날로그와 같은 책의 매력에 빠진 이들이 분명 있다. 아날로그가 좋다 디지털이 좋다라기 보다는 책을 읽는 것을 습관화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결말은 조금 아쉬운감도 있었지만 책에 관심이 있는 이라면 한번 읽어볼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